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8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8
저자 F.뱃맨겔리지
출판사 동도원
발표자 박성일
일자 2006-02-28
책소개

20년 이상 꾸준한 임상실험을 바탕으로 인체의 물 부족(탈수)이 고통스러운 퇴행성질환, 천식, 알레르기, 고혈압, 비만, 우울증 등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저자는 물에 대한 방대한 임상적, 과학적 연구결과를 근거로 물이야말로 여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의 약제’임을 강조한다.

물 대신 마시는 음료수, 평소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습관 등으로 우리 몸은 갈증 자체를 잊고 있다. 결국 우리 몸은 필수불가결한 성분인 물의 부족으로 나날이 황폐해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약물 위주의 치료가 아니라 몸의 기본적인 원리에 바탕을 둔 의학을 현실 속에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F. 뱃맨겔리지
런던대학 세인트 메리병원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모국인 이란에서 의사생활을 시작했다. 열악한 이란의 의료시스템에 한계를 느낀 박사는 최대의 의료복합시설인 가족요양의료센터를 완성하였으나, 이란의 혁명정부는 이를 빌미로 그를 투옥시켰고, 전 재산을 몰수, 사형의 구실을 만들어냈다.
수감 중에 소화기 궤양에 물이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후 물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의학적 업적을 인정받아 수용소에서 풀려난 박사는 몇 개월 뒤 미국으로 건너가 자신의 연구를 계속했다.
이후 물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의료구조의 변화를 꾀할 취지로 1983년 단수의학을 위한 재단을 설립했다. 또한 세계적인 전문가 모임에서 물의 효능에 관한 자시의 연구결과와 임상실험을 소개하고, 「단순의학을 위한 과학」을 펴내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역자 : 박영일
서울대학교 간호학과와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한영 통/번역학과를 졸업했다. 삼성의료원에 다년간 근무. 의료 분양의 논문, 연설문을 다수 번역했다. 각종 행사의 통역을 진행.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





책속으로

1 '약'으로 질병을 완전히 치료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몸이 원하는 거은 물인데, 약만 들이붓고 있는 현실

3 위통

4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5 스트레스와 우울증

6 고혈압

7 고콜레스테롤혈증

8 비만

9 천식과 알레르기

10 당뇨

11 에이즈에 대한 새로운 관점

12 물과 소금을 섭취하는 요령

맺음말



• 책속으로



이제 “인간 질병의 대부분은 만성탈수 때문에 발생한다”는 개념이 확립되어 의학계에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 인체의 기본 구조는 상상 이상으로 완벽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런 인체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질병을 앓는 것은 우리의 잘못 때문이다. 인체의 주 성분이 물인데도, 우리가 물을 규칙적으로 마시지 않는다면 우리 몸이 어떻게 물을 충분히 보충할 수 있을까? 이제는 우리 몸이 물을 절실히 필요로 할 때 보내는 신호를 깨닫고, 그 신호에 대해 심각히 고려해보아야 한다. 물의 가치를 알리려는 것에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비밀스런 계획도 없다. 독자가 물에 대한 정보를 사랑하는 이와 함께 나눈다면, 결국 이익을 보게 될 사람은 독자 자신이다.
--- p. 17

탈수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해결책은 물을 꾸준히 마시는 것이다. 이 책이 강조하는 주제가 바로 이것이다. 평상시보다 물을 많이 마시는 단순한 행위로 몸이 건강해지는 것이 사실이라면, 사람들은 건강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만약 물 섭취량을 증가시켜도 몸이 건강해지지 않는다거나 질병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구해야 한다. 이 책에서 제공하는 것은 질병예방과 탈수질환의 완치법에 대한 정보일 뿐이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수분 섭취량을 어떻게 늘려가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더불어 탈수질환을 예방하고 너무 늦기 전에 탈수질환을 완치하는 보완식이요법에 대한 정보도 제공될 것이다.
--- p. 26

위통은 인체의 가장 중요한 신호이다. 위통은 인체에 물이 부족하다는 탈수상태를 의미한다. 위통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난다. 만성적이고 날로 악화되는 탈수는 인간 질병의 거의 모두를 일으킨다.
위통 중에서 위염, 십이지장염, 속쓰림으로 생긴 통증은 물의 섭취를 늘리는 방법만으로 치료해야 한다. 만약 통증이 궤양을 동반한다면 궤양부위의 조직회복을 촉진하는 식이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 p. 55

류마티스 관절염과 그 통증은 처음부터 관절의 연골표면에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관절염 통증은 인체의 국소적 탈수상태를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이다. 일부 관절염 통증은 염분의 부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관절에서 연골표면은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다. 연골이 보유하고 있는 ‘물’은 윤활작용을 하기 때문에 관절이 움직일 때 연골표면끼리 부딪혀도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된다.
---p. 75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6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5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4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3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2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1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0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0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35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9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7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6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5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4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5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2 326 문학예술 단순한 기쁨 file 이근완 2016.02.26 1587 아베 피에르(신부) 마음산책 이충무(건양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 2016-03-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1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0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9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2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8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7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6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5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4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54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2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Next
/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