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82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8
저자 F.뱃맨겔리지
출판사 동도원
발표자 박성일
일자 2006-02-28
책소개

20년 이상 꾸준한 임상실험을 바탕으로 인체의 물 부족(탈수)이 고통스러운 퇴행성질환, 천식, 알레르기, 고혈압, 비만, 우울증 등의 근본적인 원인이라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저자는 물에 대한 방대한 임상적, 과학적 연구결과를 근거로 물이야말로 여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천연의 약제’임을 강조한다.

물 대신 마시는 음료수, 평소 물을 잘 마시지 않는 습관 등으로 우리 몸은 갈증 자체를 잊고 있다. 결국 우리 몸은 필수불가결한 성분인 물의 부족으로 나날이 황폐해져가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약물 위주의 치료가 아니라 몸의 기본적인 원리에 바탕을 둔 의학을 현실 속에 자리 잡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F. 뱃맨겔리지
런던대학 세인트 메리병원 의과대학을 졸업한 후, 모국인 이란에서 의사생활을 시작했다. 열악한 이란의 의료시스템에 한계를 느낀 박사는 최대의 의료복합시설인 가족요양의료센터를 완성하였으나, 이란의 혁명정부는 이를 빌미로 그를 투옥시켰고, 전 재산을 몰수, 사형의 구실을 만들어냈다.
수감 중에 소화기 궤양에 물이 효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 후 물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하게 되었다. 의학적 업적을 인정받아 수용소에서 풀려난 박사는 몇 개월 뒤 미국으로 건너가 자신의 연구를 계속했다.
이후 물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의료구조의 변화를 꾀할 취지로 1983년 단수의학을 위한 재단을 설립했다. 또한 세계적인 전문가 모임에서 물의 효능에 관한 자시의 연구결과와 임상실험을 소개하고, 「단순의학을 위한 과학」을 펴내는 등 활발한 활동을 전개했다.


역자 : 박영일
서울대학교 간호학과와 서울외국어대학원대학교 한영 통/번역학과를 졸업했다. 삼성의료원에 다년간 근무. 의료 분양의 논문, 연설문을 다수 번역했다. 각종 행사의 통역을 진행. 현재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





책속으로

1 '약'으로 질병을 완전히 치료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2 몸이 원하는 거은 물인데, 약만 들이붓고 있는 현실

3 위통

4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5 스트레스와 우울증

6 고혈압

7 고콜레스테롤혈증

8 비만

9 천식과 알레르기

10 당뇨

11 에이즈에 대한 새로운 관점

12 물과 소금을 섭취하는 요령

맺음말



• 책속으로



이제 “인간 질병의 대부분은 만성탈수 때문에 발생한다”는 개념이 확립되어 의학계에 새로운 시대가 도래했다. 인체의 기본 구조는 상상 이상으로 완벽하게 설계되어 있다. 그런 인체가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질병을 앓는 것은 우리의 잘못 때문이다. 인체의 주 성분이 물인데도, 우리가 물을 규칙적으로 마시지 않는다면 우리 몸이 어떻게 물을 충분히 보충할 수 있을까? 이제는 우리 몸이 물을 절실히 필요로 할 때 보내는 신호를 깨닫고, 그 신호에 대해 심각히 고려해보아야 한다. 물의 가치를 알리려는 것에 다른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비밀스런 계획도 없다. 독자가 물에 대한 정보를 사랑하는 이와 함께 나눈다면, 결국 이익을 보게 될 사람은 독자 자신이다.
--- p. 17

탈수로 인한 질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해결책은 물을 꾸준히 마시는 것이다. 이 책이 강조하는 주제가 바로 이것이다. 평상시보다 물을 많이 마시는 단순한 행위로 몸이 건강해지는 것이 사실이라면, 사람들은 건강에 대해 걱정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만약 물 섭취량을 증가시켜도 몸이 건강해지지 않는다거나 질병이 지속된다면, 전문적인 도움을 구해야 한다. 이 책에서 제공하는 것은 질병예방과 탈수질환의 완치법에 대한 정보일 뿐이다.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는 수분 섭취량을 어떻게 늘려가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더불어 탈수질환을 예방하고 너무 늦기 전에 탈수질환을 완치하는 보완식이요법에 대한 정보도 제공될 것이다.
--- p. 26

위통은 인체의 가장 중요한 신호이다. 위통은 인체에 물이 부족하다는 탈수상태를 의미한다. 위통은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나타난다. 만성적이고 날로 악화되는 탈수는 인간 질병의 거의 모두를 일으킨다.
위통 중에서 위염, 십이지장염, 속쓰림으로 생긴 통증은 물의 섭취를 늘리는 방법만으로 치료해야 한다. 만약 통증이 궤양을 동반한다면 궤양부위의 조직회복을 촉진하는 식이로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다.
--- p. 55

류마티스 관절염과 그 통증은 처음부터 관절의 연골표면에 수분이 부족하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관절염 통증은 인체의 국소적 탈수상태를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이다. 일부 관절염 통증은 염분의 부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관절에서 연골표면은 많은 물을 함유하고 있다. 연골이 보유하고 있는 ‘물’은 윤활작용을 하기 때문에 관절이 움직일 때 연골표면끼리 부딪혀도 부드럽게 미끄러지게 된다.
---p. 75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0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19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2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7 282 민주주의에 反하다 file 유화현 2014.03.29 6130 하승우 낮은산 하승우 교수 (저자) 2014-04-0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6 283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file 유화현 2014.04.12 4579 정여울 홍익출판사 정여울 작가 2014-04-22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5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4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4 279 릴케의 침묵 file 유화현 2014.02.12 4939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4-02-25 탄방동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13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12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39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11 218 원자력 딜레마 1 file 강신철 2011.07.13 6973 김명자 사이언스 북스 김명자 전 환경부장관 2011-07-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10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1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9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5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8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37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7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6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5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5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7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2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2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0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