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401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6
저자 조찬선
출판사 평단문화사
발표자 이규금
일자 2006-01-24
책소개

이 책은 과거에 기독교가 저지른 죄악을 속죄하고 다시는 그러한 과오를 범하지 않도록 경종을 울리며, 또 기독교가 혁명적인 개혁을 통하여 진정한 예수의 올바른 가르침으로 되돌아가 인류에게 참다운 구원, 희망, 사랑, 평등, 평화 등을 보장하고, 타종교와 공존공영할 수 있는 새로운 종교로 혁신하게 하려는 목적으로 쓰였다. 즉, 이 책은 기독교의 근본인 사랑의 교훈을 정면으로 무시하고 위반한 성직자들의 감추어져 왔던 죄악상을 파헤치고, 미래 인류 사회를 위한 대대적인 종교의 개혁을 담고 있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 조찬선
동경 신학대학
Asbury Theological Seminary
Boston University, School of Theology
전 감리교신학대학 교수
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동 대학 교목 실장
동 대학교회 담임목사
전 목원대학 교수
전 전국 기독교학교 교목회장
전 Yuin University 부총장
미국연합감리교에서 목회 후 정년 은퇴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1.교회의 존재는 사회에 도움이 되는가?
성직자들의 장사하는 집으로 전락한 교회
교회는 죄인을 만드는 곳인가?
'통성기도'시간은 위선과 기만의 연습인가?
원죄는 있는가?
십일조와 공갈협박
교회는 신도들을 보이지 않는 쇠사슬로 묶어 구속하는 곳인가?
신앙은 생활화 되었는가?
타락한 성직자들

2.기독교 세계 선교는 성령의 역사인가, 사탄의 역사인가?
기독교는 선교지의 전통문화와 고유 종교의 말살을 중지하라
기독교 선교는 선교지 주민들에게 행복을 가져다 주었는가, 불행을 가져다 주었는가?
기독교 세계 선교의 전망

3.콜럼버스는 성자였는가, 악마였는가?
콜럼버스와 스페인 왕실의 후원
콜럼버스 아메리카 도착
콜럼버스는 성자였는가?
콜럼버스는 악마였는가?
콜럼버스의 죄악상

4.십자군은 하나님의 군대였는가?
십자군의 작전경로
십자군의 죄악상
십자군이 인류사에 남긴 교훈

5.로마 천주교의 존재는 인류 사회에 도움이 되는가?
면죄부는 유효했는가?
천주교는 개신교나 타종교와 공존공영할 수 있는가?
교황은 진정 베드로의 계승자인가?
역대 교황 명단
교황무류설
천쥬교와 유대인들과의 광계 개선
교황과 측근들의 부패한 성생활
천주교의 '혼인무효제도'는 정당한가?
과거의 로마 천주교는 살인교였는가?



• 책속으로



콜럼버스는 자신의 신념은 성경에 토대하고 있으며 자신이 가는 길은 성경에 암시되어 있다고 하며, 여왕에게 성경 구절을 반복 설명하면서 하나님의 뜻을 주장하였다. 현대 사람들은 믿지 않겠지만 그 당시의 독실한 신도들은 다 그의 말을 믿었을 것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콜럼버스는 자기가 발견하고 정복한 모든 것을 스페인 왕에게 바치겠다고 굳게 맹세하며 간곡하게 부탁하였다. 콜럼버스를 호의적으로 본 이사벨 여왕은 왕을 설득하여 전쟁에서 사용하고 남은 배세 척과 필요한 자금 지원을 해주었다.

당시의 스페인 왕실도, 포르투갈이 인도와 중국의 직항로를 발견하기 전에 자기들이 그 길을 발견하면 세계 최강국이 될 수 있고, 스페인 출신의 교황도 자기들을 도와주리라 믿고 콜럼버스를 지원하기로 했다.

일확천금과 부귀영화를 꿈꾸던 콜럼버스가 제시한 조건은 자기를 총지휘관인 제독으로 임명할 것과 수익금의 10%를 자기에게 줄 것 등이었다. 쌍방의 욕망과 꿈이 어루러져 만들어진 합작품이었다.--- p.125


독자들은 어떤 종류의 사람들이 에수를 처형했다고 생각하는가? 예수는 타락한 성직자들과 권력 앞에 꼼짝 못하고 패배자가 되신 분이다. 그는 자기의 출세나 성공을 위하여 권력과 손을 잡지 않았다. 권력과 경쟁한 일도 없었다. 도리어 권력자들에게 붙잡혀 처형을 당하신 분이다. 다시 말하면 그는 권력을 이기고 승리하신 분이 아니고 권력에게 지고 처형당함으로 승리하신 분이다. 그것이 예수의 방법이었다.

예수의 열한 제자들이 열심히 스승의 교훈을 듣고 있을 때, 가룟 유다는 권력과 손을 잡고 예수를 팔았다. 마귀 사탄의 방법이었다. 이와 같이 타락한 성직자들은 가룟 유다의 뒤를 따르고 있었다. 즉 권력과 결탁하려고 했다.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나 재벌이 교회에 나타나면 큰 고기를 잡은 양 속으로 만세를 불러대는 철면피들이다.

그것은 권력의 뒷받침으로 교회를 부흥시켜 보려는 의도이다. 언제나 타락한 성직자나 교회는 권력과 손을 잡고 스스로를 하녀로 격하시키고 있는데, 그것은 예수의 방법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러한 부흥은 타락한 부흥이요 가룟 유다의 부흥이요, 마귀 사탄의 부흥이지, 예수의 부흥은 아니다.---pp.77~78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통해 기쁨과 희망을 얻기보다는 도리어 불안과 죄책감을 느끼면서 살게 되는 것 같다. 교회라는 조직체에 속하기 위해서는 위선과 기만으로 성인군자를 가장하면서도 속으로는 평생을 죄의식 속에서 살아야만 한다는 것이다. 교회안에서 살기위해서는 신도들은 스스로를 위선의 죄인으로 만들어야만 했던 것 같다.

교회는 의도적이든 혹은 비의도적이든 신도들이 기쁨과 화평과 희망속에서 살아가게 하기보다는 도리어 죄의식을 심어주고 죄인으로서 불안하게 살게하는데 주력하여 온 것 같다. 종교는, 고민속에서도 기뻐하고 억울한 처지에서도 인생을 감사로 살아가며, 절망속에서도 희망과 보람을 찾아 현실을 극복하는 힘을 주어 사회를 바르게 인도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pp.31-34


교회는 자기의 구원과 축복만으로 만족하는 곳이 아니다.만일 교회가 그런 것만으로 사명을 다한 줄 알고 만족한다면 그런 교회는 그 사회에서 쓸모 없는 교회, 끼리 끼리들만이 모이는, 빛이 없는 이기적인 집단으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사회 참여로 소금과 빛의 역할을 할 때 비로소 참 교회의 모습이 드러날 것이다.--- p.4-8


---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
이탈리아의 항해자, 독실한 카톨릭 신자. 에스파냐 여왕 이사벨 1세의 원조를 받아 1492년 대서양을 서항하여 인도에 도달한 후, 네 번에 걸친 항해 끝에 쿠바.자메이카,도미니카.남아메리카.중앙 아메리카의 일부를 발견.

콜럼버스(Chistopher Columbus:1451?~1506)는 세계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역사적인 인물로 기록되어 왔다. 그는 스페인 왕의 후원을 받아 4차에 걸친 모험적인 항해를 계속하면서 중남미 지역의 여러 섬들을 발견하고 마침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할 수 있는 길을 개척하였다. 그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는 4차에 걸친 그의 항해와 당시의 역사적인 배경을 잠시 간략하게 살펴보자.

13세기 전반에 몽고의 왕과 장성들이 이끄는 기마군의 동유럽 정복과 실크 로드(Silk Road)교역을 통하여 이미 동양의 부와 신비를 알고 있던 유럽인들의 마음을 더욱 부풀게 한 것은 베니스의 여행가 마르코 폴로(Marco Polo:1254~1324)의 [동방견문록]이었다.

그의 여행기가 나오고 나서 약 200년 후에 유럽의 탐험가들과 무역 상인들은 그때 유럽에서 보물과 같은 가치가 있었던 향미료와 양념료(spice)및 실크의 원산지로 알려진 인도 지역과 중국에서 그것들을 직수입할 수 있는 새로운 무역 항로를 찾으려는 꿈을 꾸고 있다.

당시 사용하고 있었던 해상무역수로인 인도양에서 많은 회교도 해적들 때문에 막대한 피해를 입고 있었던 기독교인들은 아프리카 서부를 통한 새로운 수로를 찾고 있었다.--- p. 125



  1. 팹 (FAB)

    Date2007.04.11 By박문호 Reply0 Views6207 회차116 저자닐 거센펠드 출판사비즈앤비즈 발표자안윤호 일자2007-04-24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2. No Image

    요가와 뇌

    Date2005.10.06 By관리자 Reply0 Views4071 회차80 저자안의태 출판사요가코리아사 발표자안의태 일자2005-10-25 file
    Read More
  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Date2010.01.27 By강신철 Reply5 Views8217 회차183 저자안인희 출판사민음사 발표자안인희 박사 일자2010-02-09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4. No Image

    알기쉬운 요가

    Date2006.01.24 By관리자 Reply0 Views4090 회차87 저자안지용 출판사도서출판 그린 발표자안지용 일자2006-02-14 file
    Read More
  5.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Date2008.11.12 By박문호 Reply0 Views5271 회차154 저자안철수 출판사김영사 발표자안철수 일자2008-11-25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6. 담금질

    Date2011.09.28 By강신철 Reply7 Views7444 회차223 저자안희정 출판사나남 발표자안희정 충남도지사 일자2011-10-11 장소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시간오후7시 file
    Read More
  7. No Image

    면역의 의미론

    Date2007.02.28 Category자연과학 By관리자 Reply0 Views4917 회차113 저자타다 토미오 출판사한울 발표자엄준호 일자2007-03-13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
    Read More
  8. 생명이란 무엇인가

    Date2011.08.02 Category자연과학 By관리자 Reply4 Views5764 회차219 저자에르빈 슈뢰딩거 출판사궁리 발표자엄준호 박사 일자2011-08-09 장소유성도서관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9. 물리주의

    Date2013.08.17 By유화현 Reply0 Views5471 회차267 저자김재권 출판사아카넷 발표자엄준호 박사님 일자2013-08-27 장소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0. 뇌과학과 학습혁명

    Date2013.05.29 By이정원 Reply1 Views4969 회차262 저자테리 도일 출판사돋을새김 발표자역자 강신철 교수 일자2013-06-11 장소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1. 뇌와 내부세계

    Date2009.05.15 By관리자 Reply0 Views6518 회차166 저자마크 솜즈 / 김종주 역 출판사하나의학사 발표자역자 김종주 일자2009-05-26 장소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file
    Read More
  12. 언어의 탄생

    Date2014.09.26 Category문학예술 By이정원 Reply0 Views4838 회차293 저자필립 리버만 출판사글로벌콘텐츠 발표자역자 김형엽 교수 일자2014-10-14 장소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13. 내 아이와 함께한 수학 일기

    Date2013.06.28 By유화현 Reply4 Views4540 회차264 저자알렉산더 즈본킨 출판사양철북 발표자역자 박병하 박사님 일자2013-07-09 장소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4. 몽골의 역사

    Date2009.08.15 By강신철 Reply3 Views6703 회차172 저자강톨가 출판사동북아역사재단 발표자역자 이평래 일자2009-08-25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15. No Image

    사랑을 위한 과학

    Date2004.11.25 By관리자 Reply0 Views26886 회차61 저자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출판사사이언스 북스 발표자오대곤 일자2005-01-11 file
    Read More
  16. 반 룬의 예술사

    Date2016.06.18 Category문학예술 By이근완 Reply1 Views688 회차333 저자헨드릭 빌렘 반 룬 출판사들녘 발표자오병권 (대전문화예술의전당 관장) 일자2016-06-28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17. 블랙홀과 시간여행

    Date2018.01.03 Category자연과학 By관리자 Reply0 Views283 회차368 저자킵 손 출판사반니 발표자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일자2018-01-09 장소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저녁 7시 15분 file
    Read More
  18.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Date2016.06.02 Category자연과학 By이근완 Reply0 Views981 회차332 저자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출판사동아시아 발표자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일자2016-06-14 장소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19.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Date2010.07.21 By강신철 Reply0 Views6142 회차194 저자민은기 출판사음악세계 발표자오지희 교수 일자2010-07-27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20. 습관의 힘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Date2016.12.31 Category인문사회 By이근완 Reply0 Views453 회차345 저자찰스 두히그/ 강주헌 번역 출판사갤리온 발표자오진법사 일자2017-01-10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1.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Date2020.01.15 Category기타 By조수윤 Reply0 Views1322 회차412 저자유현준 출판사을유문화사 발표자오한솔 일자2020-01-28 장소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15 file
    Read More
  22. 베토벤: 불굴의 힘

    Date2016.05.13 Category문학예술 By유화현 Reply0 Views1476 회차331 저자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출판사시공사 발표자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일자2016-05-31 장소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3. 만지고 싶은 기분

    Date2023.03.29 Category문학예술 By조수윤 Reply2 Views460 회차467 저자요조 가수/작가 출판사마음산책 발표자요조 가수/작가 일자2023-04-25 장소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저녁 7:15 file
    Read More
  24. 생태페다고지

    Date2010.10.25 By강신철 Reply2 Views8141 회차201 저자우석훈 출판사개마고원 발표자우석훈 교수 일자2010-11-09 장소유성도서관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25. 뷰티풀 퀘스천

    Date2018.06.18 Category자연과학 By관리자 Reply0 Views288 회차379 저자프랭크 월첵 출판사흐름출판 발표자원병묵 교수 일자2018-06-26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6.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Date2017.04.03 Category자연과학 By이근완 Reply0 Views330 회차351 저자유재준 출판사계단 발표자유재준 일자2017-04-11 장소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7. 글자 풍경

    Date2019.03.27 Category인문사회 By관리자 Reply0 Views345 회차394 저자유지원 출판사을유문화사 발표자유지원 일자2019-04-09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8. 획: 글자쓰기에 대해

    Date2018.07.27 Category문학예술 By이정원 Reply0 Views487 회차382 저자헤릿 노르트제이 출판사안그라픽스 발표자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일자2018-08-28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29. 소셜 네트워크 e혁명

    Date2010.12.29 By강신철 Reply1 Views10854 회차205 저자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출판사행간 발표자유창선 평론가 일자2011-01-11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오후7시 file
    Read More
  30. No Image

    연금술사

    Date2003.12.16 By관리자 Reply0 Views3796 회차37 저자파울로 코엘료 출판사문학동네 발표자유현숙 일자2004-01-07 file
    Read More
  31. 대중문화와 미술

    Date2014.03.01 By유화현 Reply0 Views4216 회차280 저자유현주 출판사미진사 발표자유현주 박사(저자) 일자2014-03-11 장소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32. 불타는 작품

    Date2023.11.29 Category문학예술 By조수윤 Reply0 Views630 회차475 저자윤고은 작가 출판사은행나무 발표자윤고은 작가 일자2023-12-26 장소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15 file
    Read More
  33. 윤구병일기

    Date2017.03.03 Category문학예술 By이근완 Reply1 Views308 회차349 저자윤구병 출판사천년의상상 발표자윤구병 일자2017-03-14 장소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34.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Date2019.04.24 Category기타 By조수윤 Reply1 Views379 회차396 저자윤승철 출판사 발표자윤승철 일자2019-05-14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35.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Date2009.07.30 Category인문사회 By박문호 Reply0 Views6743 회차171 저자굿 소사이어티 출판사지식산업사 발표자윤여준 前환경부장관 일자2009-08-11 장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저녁 7시 file
    Read More
  36. 괴델의 증명

    Date2018.05.27 Category자연과학 By관리자 Reply0 Views341 회차378 저자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출판사승산 발표자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일자2018-06-12 장소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시간오후 7시 15분 file
    Read More
  37. 물속의 발자국

    Date2010.03.15 By강신철 Reply5 Views7398 회차186 저자이강산 출판사문학과 경계 발표자이강산 시인 일자2010-03-23 장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시간오후7시 file
    Read More
  38. 보이지 않는 세계

    Date2013.03.06 By이정원 Reply2 Views4613 회차256 저자이강영 출판사휴먼사이언스 발표자이강영 교수 일자2013-03-12 장소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39. 경성, 사진에 박히다

    Date2009.12.26 By박문호 Reply0 Views8422 회차181 저자이경민 출판사산책자 발표자이경민 작가 일자2010-01-12 장소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file
    Read More
  40.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Date2010.11.10 By강신철 Reply1 Views8386 회차202 저자이인식 출판사고즈윈 발표자이광섭 교수 일자2010-11-23 장소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시간오후 7시 file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