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40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84
저자 제럴드 에델만
출판사 범양사
발표자 박문호
일자 2005-12-20
[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
제럴드 에델만 저 황희숙 역 범양사

http://www.scripps.edu/

세계적인 신경생물학자인 저자가 인간의 두뇌에 대하 여 설명한 전문서. 의식과 사고가 인간 뇌의 진화로부터 어떻게 생겨났는가의 탐구를 통해 마음이 신경진화의 산물임을, 신경세포로부터 의식 있는 마음에 이르 는 통로를 기술, 입증하였다.


차례


1. 마음
2. 마음을 자연 속으로 되돌려 놓기
3. 마음을 이루는 물질
4. 심리학을 생물학적 기반 위에 올려 놓기
5. 형태와 마음 : 다윈 프로그램의 완성
6. 위상생물학 : 배로부터의 교훈
7. 다시 생각해 볼 문제들
8. 재인에 대한 학문들
9. 신경 다윈주의
10. 기억과 개념 : 의식으로 가는 다리 놓기
11. 의식 : 기억된 현재
12. 언어와 고차원적 의식
13. 주의와 무의식
14. 층과 고리 : 요약
15. 학설들의 무덤 : 철학과 그 주장들
16. 기억과 개인의 영혼 : 어리석은 화원론에 맞서서
17. 고차원의 산물 : 사고, 판단, 정서
18. 마음의 병 : 재통합된 자기
19. 의식있는 인공물을 구성할 수 있는가?
20. 대칭과 기억 : 마음의 궁극적인 기원에 대하여
21. 에필로그
22. 생물학 없는 마음 : 비판적 후기


마음에서 출발하기에 항상 과학의 공격으로부터 끝까지나마 저항이 가능하다고 여겼던 종교와 철학이 그 터전을 상실하고 항복을 강요받고 있다. 마음도 이제는 더 이상 비밀스러운 영역이 아니다. 인간이라는 이름의 생물체가 발현하는 한 현상일 뿐이다. 마음 안에 또 하나의 인간이 들어 있어 독자적인 말과 생각을 늘어놓는 것이 아니다. 마음 현상을 설명하면서 마음에다 절대적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이제 일방적인 처사로 간주된다. 생물학에서 시작하지 않는 마음 탐구는, 마음이 그 동안 지탱해온 우월적 신비성을 따로 빼돌리기 위한 변장술의 일환이다. 마음을 생물학에서 출발시킴으로 자연과 괴리된 마음이 아니라 자연의 일부로서 제 본질을 드러내는 마음의 실체를 찾아주고자 하는 것이 본 책의 의미이다. 이 주장의 바탕 고리를 나열해 본다.
자연이라는 것이 인간이 수신해서 해독해 낼 수 있는 신호의 체제가 아니다. 물리학자들이 물질을 다루면서 측정 가능한 모델로 삼고서는 그것으로 마음의 영역까지 확대시킨 것은 잘못이다. 두뇌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 조직의 물리적 성질을 해명하는 것으로는 어떻게 해도 마음을 설명할 수 없다. 뇌가 정교한 컴퓨터의 일종이라는 견해는, 사건을 분류하는 두뇌의 작용이 컴퓨터의 논리나 계산과 전혀 닮지 않다는 명백한 증거에 의해 와해되어야 마땅하다. 두뇌의 구성요소가 '물질이 아니다'라는 말은 아니다. 물질과 물질 사이를 연결하는 전기 배선 같은 것이나 소프트웨어 같은 것은 없다는 말이다. 두뇌는 마치 정글과 같다. 이 정글 속에서는 형성되는 마음의 의식은 실체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과정으로 등장된다. 자극에 따른 반응적 행동을 연구하는 것으로 인간의 정신을 설명할 수 없다. 현재의 인간 두뇌를 이끌어온 원동력에는 유전적 고유의 항구성과 기억이라는 요소가 주도했다. 따로 궁극적 목표점으로 이끄는 지령 같은 것이 있는 것이 아니다. 즉 또하나의 절대적 소형인간 같은 것이 두뇌 안에 들어 있다고 가정할 필요가 없다. 저절로 실시되는 선택 행위에 통해서 개체군 유전자의 빈도를 높이게 된다. 그러나 DNA에서 단백질이 형성되는 차원과 세포에 의해서 두뇌를 형성하기 위한 배(胚)가 발달하는 차원은 또 다른 차원이다. DNA에서 RNA를 만들고 또한 그 RNA에서 단백질을 만드는 것은 우전 정보의 특성을 부여하는 차원이다. 그러나 배(胚)가 만들어지는 것은 단백질이 아니라 다양한 유형의 세포가 모여서 이루어진다. 이 세포들은 하나 하나가 서로 다른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다. 지정된 기관이 형성되는 것은 철저히 '장소 의존적'이다. 특정한 곳에 세포가 오게 되면 세포 사이에 교류가 일어난다. 이 교류는 단일층에서 벗어나 층 자체가 변이 되는대로 그 결합을 풀지 않고 움직이며 작업한다. 이 과정에서 세포가 분화되는데 적절한 신호를 통해 차별화된 유전자를 소지하면서 바로 이 분화로 인해 간세포가 피부 세포와 다르게 되고, 피부세포가 뇌세포와 다르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 동원되는 유전자는 세포의 특수화와 연속적인 조화가 일어나야 하는데 이는 배 형성에 있어 단백질 모양을 지정해주는 유전자만에 설명치 충분치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예측 불가능한 방식으로 움직이고 또한 소멸되는 개개의 세포야말로 실질적인 구동력이 된다. 비슷하게 생긴 세포의 표면 형성은 특정한 장소의 움직임과 무관하지 않다. 어쨋던 전체적으로 봐서 1차원에 속한 유전자가 3차원 구조에 속한 동물 개체에게 어떤 식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느냐 것에는 환경적 요인을 무시할 수 없다. 생명체의 변이는 적응을 위한 것이다. 환경에서 제공하는 정보(지령)는 필요치 않다. 그러나 생명체 내부에 선택계를 유발시킨다. 인간의 두뇌 역시 내부 선택계로서 작용한다. 이런 선택 시스템의 좋은 예는 인체 내의 면역계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분자 수준에서 이미 자아와 비자아와의 구별이 일어난다. 자아는 항구성과 기억성을 함유하면서 계속 자신의 유전자의 빈도를 증가하는 지향성으로 변화를 위한 선택작용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접근은 이처럼 물리학과는 달리 역사성이 있는 시스템이다. 두뇌 안에 있는 뉴런(신경세포)의 집단 선택은 새로운 종류의 신호를 생산하는데 새로 생산된 신호들은 외부 세계의 신호와 더불어 작용해서 재입력을 실시하여 새로운 선택성 특성을 조성한다. 기억이란 두뇌 안에 있는 소뇌와 피질의 역할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소뇌는 움직임을 관장하는 곳이며 피질 중에서 특히 '해마'라는 기관은 단순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 두 기관과 기저핵의 작용으로 인해 범주화(範疇化)와 재범주화가 일어난다. 범주란 곧 개념 형성을 뜻한다. 개념은 지각과는 달리 즉각적인 입력 없이도 작용이 가능하다. 즉 외부적 자극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의 활동에 의해서 지도화가 일어나는데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과 같은 고차원적 피질 등에서 발견된다. 이로서 기억을 재범주화라 말하고, 개념을 스스로의 활동을 범주화하는 뇌의 산물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개념화는 곧 언어 능력의 기반이다. 언어 능력 이전에 발생한다. 언어 구사 능력이 있다는 말은 자의식이 이미 생성되어 있다는 말이며 동시에 타인과의 공통적인 감각질을 형성하고 있다는 말이다. 자의식은 우선 1차적 의식부터 출발하는데 이는 자기 신체를 돌보기 위한 기능을 위한 뇌간과 대뇌 변연계(쾌락계)가 상호 연결되어 있고 더나아가서 여기에다 시상피질계가 합세하므로 환경에 적응하는 적합한 학습행위가 가능해 진다. 가치범주와 개념 범주가 형성되어되고 이로서 이미지 형성을 통한 상관관계가 가능하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 단계는 어디까지 동물 수준이다. 인간에게는 이러한 1차의식을 넘어서 고차원적 의식에 성사되는데 이는 피질계의 발달로 가능해진 기능들이다. 특히 언어 가능은 진정한 자기(사회적 자기)의 개념적 표상에 연결되는데 과거에 대한 모형 뿐만 아니라 개성에 대한 개념적 모형도 반드시 형성시킨다. 두뇌에 있어 브로카 영역과 베르니케 영역에서는 언어에 관해서 의미론과 구문론과 음운론의 기능을 발휘하는데 ,음운론적 능력은 학습에 의한 개념과 몸짓과 연계되어 있고, 이로써 의미론이 가능해지고, 의미론의 발생으로 의미를 가진 단어와 구를 조립할 수 있는 구문론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것은 모두 자기와 세계를 연결하고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모형 기능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것은 지각 자력작용과 또 다른 의미론적 자력작용이다. 한 예로서, 우리 자신에게 유리하도록 다른 사람들을 향하여 진지하게 속일 수도 능력도 이런 작용을 통해서 주어진다. 이것은 동물들에 비해서 인간들만이 갖는 고차원적인 의식이다. 동물들도 갖고 있는 의식은 일반 자연 환경과만이 관련되지만 고차원적인 의식은 사회적 환경과 관련 있다. 모든 정신 이상은 뉴런(신경세포)과 뉴런의 연결 고리(시냅스)의 수준에서 고찰이 가능하다. 정신 질환은 범주화, 기억, 재입력, 통합의 장애로 생긴 병이며, 신경학적 질환은 시각, 운동들을 관장하는 국소적 기능성 장애로 인하여 생겨난다. 그러나 어느 경우에도 약물에 의해 치료가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마음이란 자연에서 생긴다. 마음이란 자연 환경 속에서의 선택의 결과이지 논리적 결과가 아니다. 논리에 의해서가 아니라 합성된 양식에 의해서 생각이 일어난다. 컴퓨터와는 달리 뇌에는 반복되는 기억이 없다. 뇌는 가치 범주화에 의해 자극되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의 두뇌 작용에 대해서 일률적인 계산 과정(알고리즘)으로 이해하는 인지과학적 관점은 틀린 이론이다. 또한 모든 우주에 걸쳐 의식이나 마음이 있다는 범심론도 옳지 않는 이론인데 그 이유는, 의식이나 마음은 혹독한 물리적 상황에서는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섭씨 10만도에서는 그 어떤 의식이나 화학적 작용도 생성될 수 없다. 생명체는 생명체 차원에서 다루어야지 물리학이나 화학으로 환원해서 다룰 수 없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이다. 그것은 지향성이란 오직 마음을 소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는 생물체의 고유 현상이기 때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20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9 311 문학예술 통찰의 시대 (뇌과학이 밝혀내는 예술과 무의식의 비밀, The Age of Insight) file 이근완 2015.07.17 1360 에릭 캔델 저 /이한음 역 알에이치코리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5-07-2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8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3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17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79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16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5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4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6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313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2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35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1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0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2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9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2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8 326 문학예술 단순한 기쁨 file 이근완 2016.02.26 1587 아베 피에르(신부) 마음산책 이충무(건양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 2016-03-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7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5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6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305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1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4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0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3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2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301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0 299 근대예술 file 이정원 2014.12.24 285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5-01-1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99 294 유니버설 랭귀지 file 유화현 2014.10.21 3482 박문호의자연과학세상 엑셈 박문호 박사 2014-10-28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98 43 변경 file 관리자 2004.03.23 3514 렁청진 더난출판 강신철 2004-04-07
297 74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2 file 관리자 2005.07.11 3554 공병호 해냄 이규상 2005-07-26
296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7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295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599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294 64 뮤지킹 음악하기 file 관리자 2005.01.31 3604 크리스토퍼 스몰 효형출판 전정임 2005-02-15
293 295 도마시장 file 유화현 2014.10.31 3611 박재홍 시인 개미 박재홍 시인 2014-11-11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92 85 경영.경제.인생 강좌 45편 file 관리자 2005.12.21 3612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강신철 2006-01-10
291 22 미래속으로 file 관리자 2003.06.21 3627 에릭 뉴트 이끌리오 2003-05-06
290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7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289 23 file 관리자 2003.06.21 3634 틱낫한 명진 강신철 교수 2003-05-27
288 79 미래기업의 조건 file 관리자 2005.09.04 3639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비즈니스 북스 현영석 2005-10-11
287 90 유뇌론 file 관리자 2006.03.20 3645 요로다케시 재인 박문호 2006-03-28
286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285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5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284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1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283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2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282 92 꽃의 고요 file 관리자 2006.04.12 3693 황동규 문학과지성사 황동규 2006-04-25
281 75 대화 file 관리자 2005.07.26 3706 이영희 한길사 이진석 2005-08-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