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55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74
저자 공병호
출판사 해냄
발표자 이규상
일자 2005-07-26

<< 책소개 >>

<10년 후, 한국>으로 현재 한국사회의 암울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파헤친 자유주의 경제학자 공병호 박사. 그는 문제의식의 범위를 세계로 넓혀 <10년 후, 세계>를 펴냈다. 중국의 위협과 미국의 패권, 시장 경제의 냉혈한 논리 속에 이제 세계의 문제는 곧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의 문제가 되고 있다. 무한 경쟁, 무한 속도, 무한 팽창의 10년 후 세계. 대한민국의 운명과 한국인의 먹고사는 문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될 세계정세와 주요 변화들을 알아보고, 거기에 대한 우리의 준비는 어떠한지 냉철하게 분석한다.


<< 저자 소개 >>

공병호

걸출한 국내 전문가가 별로 없는 자기계발 분야에서 계속적인 글쓰기를 하고 있는 공병호 박사. 일찍부터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의 중도노선을 걷는 글쓰기로 《기업가》 《한국기업흥망사》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등 약 30여 권을 집필한 바 있다. 최근에 펴낸 《공병호의 자기경영노트》 《황금의 씨앗을 뿌려라》 《80/20법칙(역)》 등이 모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그는 한경와우TV에서 <공병호 독서대학>, MBC라디오에서 <공병호의 독서산책>, 한국경제신문에서 <공병호의 책이 있는 풍경>을 비롯해서 일간, 주간, 월간지 등에 다수의 기명 고정칼럼을 갖고 있다. 강연과 집필, 방송 및 기고 그리고 경영자문으로 그의 삶 자체가 바로 혁신과 개선의 살아있는 생생한 사례이다.


<< 토론자 소개 >>

이규상

목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여는 글| 세계의 변화는 바로 오늘 당신의 문제다

제1부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세계의 현재와 미래
1. 하나의 시장으로 달려가는 세계경제
2. 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경제
3. 팽창하는 중국, 대륙의 위협
4. 미국, 이보다 더 강할 수는 없다
5. 영어가 권력이다
6. 적자생존, 다국적기업이 살아남는다
7. 심화되는 변화격차, 중간은 없다
8. 가열되는 자원전쟁
9. 세계평화는 언제 오는가
10. 新유목사회, 증가하는 이동
11.. 부는 머리에서 나온다
12. 유통이 세계시장을 지배한다
13. 달러를 둘러싼 끝없는 갈등
14. 과잉유동성, 과잉투자 그리고 디플레이션
15. 상상이 현실로, 정보통신 혁명
16. 차세대 주력산업, 생명공학
17. 속도전쟁, 그 무한경쟁 속으로
18.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19. 미(美)가 경쟁력이다
20. 고령화 시대, 늙어가는 지구촌
21.위험천만한 세상, 미래의 리스크들


제2부 살아남기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10년 후 대비
1. 변화의 물살을 타고 나아가라
2. 개인의 미래 준비
3. 기업의 미래 준비
4. 가정의 미래 준비
5. 공동체의 미래 준비

|맺는 글| 생존하라, 그것은 시대의 사명이다


• 책속으로

앞으로 10년 후의 세계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우리들은 매우 역동적이며 창조적인 시대를 살고 있다. 더 이상 안정적인 미래란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는 순간순간의 선택에 의해 스스로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을 뿐이다. 그동안 어떤 길을 걸어왔든 과거가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여지란 남아 있지 않다.‘기회의 시대’ ‘창조성의 시대’ ‘시장의 시대’ ‘실질과 실용의 시대’ 등 이 시대와 미래의 특징을 묘사할 수 있는 단어들은 많지만, 선택권을 쥔 사람은 다름아닌 당신 자신뿐이다. 그러므로 당신의 세계관과 가치관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과거의 기득권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준비하고 실험하고 창조하는 자만이 새로운 기회의 물결을 탈 수 있다. 역사는 결정적인 터닝포인트를 놓쳐버린 개인과 공동체가 겪는 부침으로 가득 차 있음을 기억하라. 10년 후, 우리에게 휘몰아칠 세계화의 거센 바람 그 누구에게도 더 이상의 방패막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이 책을 통해 급변하는 세계의 정세와 변화흐름을 아우를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미래가 불안한 당신에게, 미래를 주도해 나가야 할 당신에게.
--- 본문 중에서


미래를 제대로 준비할 만한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앞으로 10년 후, 한국은 고령화사회의 전형적인 문제들을 드러내기 시작할 것이다.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외에도 노인층을 위한 재정 지출은 1997년 1,300억 원에서 2004년 4,819억 원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우리가 개인의 지적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공동체가 되기를 원한다면,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들, 이를테면 교육·노사관계·규제·연금과 기금·행정 등의 문제를 가감 없이 원칙대로 해결하는 일이다. 일부가 주장하는, 평등과 분배를 지향하는 진보적 개혁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따름이다. 정치논리가 아니라 시장논리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적 개혁만이 유일한 대안이다.10년 후, 세계를 주도하는 공동체는 상인정신이 지배하는 곳이 될 것이다. 화려한 상인정신의 꽃을 피우기 위해 정치나 행정이 할 일은 우선 시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즉 왜곡된 정책으로 공동체 전체가 위기를 맞지 않도록 제대로 위험 관리를 하는 일이다. 정치와 행정을 담당하는 이들은 “어떻게 하면 이 땅에 상인정신을 꽃 피우게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공동체의 미래를 위한 대안을 구할 수 있다. 즉 시장의 영역을 대폭 확대하는 일이 필요하다.

― 2부 5. 공동체의 미래 준비 중에서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외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듯, 우리는 최고의 정치와 행정 서비스로 무장하여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와서 살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만들어야 한다. 고객을 감동시키는 정치·행정 서비스를 실현하려면 공공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 위로는 대통령부터 아래로는 현장의 공무원까지 세상의 변화를 깊이 인식해야 한다. 여유 있는 계층은 언제라도 생물학적 조국과 결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실제 떠나지 않는다 해도 이들이 공동체에 대한 ‘감정적인 애착’을 포기할 때 생산과 소비, 기부나 자선 등이 모두 감소한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정치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라면, ‘당신들의 대한민국’이 아니라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될 수 있도록 특히 노력해야 한다.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이동성이란 정치적 자유나 경제적 자유와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자유이다. ‘인간은 자유로워야 한다’는 믿음에 동의한다면, 넓은 세계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도와야 한다. 아는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 세대가 담당해야 할 일이다.

― 10. 新유목사회, 증가하는 이동성 중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 최고경영자인 K씨는 사석에서 이런 말을 했다.“저희들이 뉴욕에 있는 I사와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출장길에 미국 측 실무자들을 만나서 ‘우리 연구진들이 일을 잘합니까?’라는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지요. ‘스마트하고, 부지런하다는 점에서 손색이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언어소통에 큰 문제가 있습니다. 회의에서 상대방을 논리적으로 설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손해를 보게 되고 일감을 잔뜩 떠안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자연히 일의 진행 속도는 느려질 수밖에 없고요’라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이런 일화를 들려주면서 K씨는 자신의 방침을 이렇게 전했다.“저는 임직원들에게 누누이 이야기합니다. ‘우리도 충분히 영어를 잘할 수 있다. 이제부터 노력을 해서 컨퍼런스 콜 정도를 능숙하게 할 수 없다면, 아무리 유능해도 임원까지 갈 수는 없다.’기업의 활동이 글로벌화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환경에 노출되기 시작한 우리사회는 경쟁력이라는 면에서 영어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 앞으로 10년 이상 일해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영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의무 사항이다. 언어란 한 인간에게 운명과 같은 것이다. 받아들이기 가장 좋은 시기에 언어에 투자를 하게 된다는 점에서, 언어영역이 한창 성장중인 시기에 민족어에 전부를 투자해 버린 사람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세계어를 구사할 수 없는 사람들은 정보나 지식으로부터 소외될 뿐만 아니라 행동반경 역시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수의 대학교수들과 ‘교육 특구’로 여겨지는 강남의 일부 부모들이 자녀의 유학에 그토록 열심인 이유는, 언어에 대한 투자가 개인의 일생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5. 영어가 권력이다 중에서


아시아권에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의 축에는 미국과 중국, 인도와 더불어 일본이 있다. 이 새로운 질서 안에서 한국은 과연 어떻게 자신을 포지셔닝할 수 있을까? 창의성을 요구하는 지식 집약 서비스에서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는 일은 쉽지 않으며, 원천기술이나 핵심기술로 일본과 승부를 겨루는 일 또한 만만찮은 과제이다. 그렇다고 단순 제조 분야에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입장도 아니며, 백오피스 관련 전문 서비스업은 비영어권이라는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인도에게 선두를 양보할 수밖에 없다.
한국호는 어느 방향으로 키를 잡아가야 할 것인가? 한국은 지식 집약적 제조와 서비스 분야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제조업의 토양은 이미 척박해졌고 이들 분야에서 한국은 점점 낙오되어 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희망이 있다면, 그동안 교역이나 제조업으로 부를 만들어내는 역량을 가진 인적 자산이 여전히 국내에 남아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미 갖고 있는 자산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가는 정치적 안정과 역동적인 비즈니스환경을 제공하고,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다. 중국과 일본 사이의 틈새를 노려봄직도 하다. 중국과 일본은 언어나 객관적인 자료로 표현하기 힘든 ‘심리적 간격’을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은 일본과 좀더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도록 노력하여 한국과 일본, 한국과 중국의 분업관계에서 이점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한국은 국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2.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경제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40 62 한남자의 그림사랑 file 관리자 2005.01.11 3812 김순응 생각의 나무 허진권 2005-01-25
439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73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438 60 생활의 발견 file 관리자 2004.11.23 3799 임어당 홍신문화사 김정렬 2004-12-28
437 6 영혼이 있는 승부 file 관리자 2003.06.21 4576 최인호 김영사 2002-08-27
436 59 성탄축제 file 관리자 2004.11.23 3649 F.D.E. Schleiermacher 문학사상사 최신한 2004-12-14
435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1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434 57 성령, 민중의 생명 file 관리자 2004.10.23 3599 권진관 나눔사 권진관 2004-11-10
433 56 영조와 정조의 나라 file 관리자 2004.10.11 3742 박광용 푸른역사 박문호 2004-10-26
432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5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431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78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430 53 무탄트 메시지 file 관리자 2004.08.25 3848 말로 모건 정신세계사 김용전 2004-09-07
429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428 51 서희 협상을 말하다 file 관리자 2004.07.29 3681 김기홍 새로운 제안 김기홍 2004-08-10
427 50 노마디즘 file 관리자 2004.06.27 3750 이진경 휴머니스트 이진경 2004-07-27
426 5 금산적병강 야유회 file 관리자 2003.06.21 4784 2002-08-15
425 49 아무도 기획하지 않은 자유 file 관리자 2004.06.23 3729 고미숙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4-07-13
424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175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23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3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422 479 자연과학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4.08 446 카를로 로벨리 쌤앤파커스 임석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4-04-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21 478 인문사회 법정으로 간 정신과 의사 file 조수윤 2024.03.07 458 차승민 아몬드 차승민 2024-03-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20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616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9 476 인문사회 기억되는 것은 사라지지 않는다 file 조수윤 2024.01.02 457 진용주 작가 단추 진용주 작가 2024-01-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8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08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7 474 인문사회 해양실크로드 문명사 file 조수윤 2023.10.25 574 주강현 바다위의정원 주강현 2023-1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6 473 문학예술 내 머릿속 미술관 file 관리자 2023.10.14 526 임현균 지식의 날개 임현균 2023-10-24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15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1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14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46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13 470 자연과학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 5 file 조수윤 2023.07.03 1087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바다출판사 김상욱 교수(경희대학교 물리학과) 2023-07-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12 47 유인원과의 산책 file 관리자 2004.05.25 3831 사이 몽고메리 르네상스 심정자 교수 2004-06-08
411 469 인문사회 은유가 만드는 삶 file 조수윤 2023.05.24 552 김용규, 김유림 공저 천년의상상 김용규, 김유림 작가 2023-06-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10 468 경영경제 그렇게 물어보면 원하는 답을 들을 수 없습니다 file 조수윤 2023.04.26 360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위즈덤하우스 김호 더랩에이치 대표 2023-05-23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09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408 466 자연과학 창문을 열면, 우주 file 조수윤 2023.03.17 350 문경수 과학탐험가 시공사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3-03-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07 465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2] 빛과 물질에 관한 이론 file 조수윤 2023.02.15 365 앤드루 포터 문학동네 책밤지기 : 박혜진 문학평론가 2023-02-28 이도저도 오후 7:15
406 46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51] 빼앗긴 자들 file 조수윤 2023.01.30 231 어슐러 K. 르 귄 황금가지 책밤지기 : 복도훈 문학평론가 2023-02-14 이도저도 오후 7:15
405 463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0] 다락방의 미친여자 file 조수윤 2023.01.03 329 샌드라 길버트, 수전 구바 북하우스 책밤지기 : 강창래 작가 2023-01-10 이도저도 오후 7:15
404 46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9] 생명이란 무엇인가 file 조수윤 2022.12.16 280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공저 리수 책밤지기 : 하리하라 이은희 작가 2022-12-27 이도저도 오후 7:15
403 461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8] 소년이 온다 file 조수윤 2022.11.24 273 한강 창비 책밤지기 : 편성준 작가 2022-12-13 이도저도 오후 7:15
402 46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file 조수윤 2022.11.09 250 박주영 판사 김영사 송태호, 진종식,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태병권, 박순필, 송우주, 허은영 2022-11-22 이도저도 오후 7:15
401 46 뇌로부터 마음을 읽는다 file 관리자 2004.05.18 3867 오키고스케 전파과학사 박문호 박사 2004-05-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