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55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74
저자 공병호
출판사 해냄
발표자 이규상
일자 2005-07-26

<< 책소개 >>

<10년 후, 한국>으로 현재 한국사회의 암울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파헤친 자유주의 경제학자 공병호 박사. 그는 문제의식의 범위를 세계로 넓혀 <10년 후, 세계>를 펴냈다. 중국의 위협과 미국의 패권, 시장 경제의 냉혈한 논리 속에 이제 세계의 문제는 곧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의 문제가 되고 있다. 무한 경쟁, 무한 속도, 무한 팽창의 10년 후 세계. 대한민국의 운명과 한국인의 먹고사는 문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될 세계정세와 주요 변화들을 알아보고, 거기에 대한 우리의 준비는 어떠한지 냉철하게 분석한다.


<< 저자 소개 >>

공병호

걸출한 국내 전문가가 별로 없는 자기계발 분야에서 계속적인 글쓰기를 하고 있는 공병호 박사. 일찍부터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의 중도노선을 걷는 글쓰기로 《기업가》 《한국기업흥망사》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등 약 30여 권을 집필한 바 있다. 최근에 펴낸 《공병호의 자기경영노트》 《황금의 씨앗을 뿌려라》 《80/20법칙(역)》 등이 모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그는 한경와우TV에서 <공병호 독서대학>, MBC라디오에서 <공병호의 독서산책>, 한국경제신문에서 <공병호의 책이 있는 풍경>을 비롯해서 일간, 주간, 월간지 등에 다수의 기명 고정칼럼을 갖고 있다. 강연과 집필, 방송 및 기고 그리고 경영자문으로 그의 삶 자체가 바로 혁신과 개선의 살아있는 생생한 사례이다.


<< 토론자 소개 >>

이규상

목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여는 글| 세계의 변화는 바로 오늘 당신의 문제다

제1부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세계의 현재와 미래
1. 하나의 시장으로 달려가는 세계경제
2. 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경제
3. 팽창하는 중국, 대륙의 위협
4. 미국, 이보다 더 강할 수는 없다
5. 영어가 권력이다
6. 적자생존, 다국적기업이 살아남는다
7. 심화되는 변화격차, 중간은 없다
8. 가열되는 자원전쟁
9. 세계평화는 언제 오는가
10. 新유목사회, 증가하는 이동
11.. 부는 머리에서 나온다
12. 유통이 세계시장을 지배한다
13. 달러를 둘러싼 끝없는 갈등
14. 과잉유동성, 과잉투자 그리고 디플레이션
15. 상상이 현실로, 정보통신 혁명
16. 차세대 주력산업, 생명공학
17. 속도전쟁, 그 무한경쟁 속으로
18.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19. 미(美)가 경쟁력이다
20. 고령화 시대, 늙어가는 지구촌
21.위험천만한 세상, 미래의 리스크들


제2부 살아남기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10년 후 대비
1. 변화의 물살을 타고 나아가라
2. 개인의 미래 준비
3. 기업의 미래 준비
4. 가정의 미래 준비
5. 공동체의 미래 준비

|맺는 글| 생존하라, 그것은 시대의 사명이다


• 책속으로

앞으로 10년 후의 세계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우리들은 매우 역동적이며 창조적인 시대를 살고 있다. 더 이상 안정적인 미래란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는 순간순간의 선택에 의해 스스로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을 뿐이다. 그동안 어떤 길을 걸어왔든 과거가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여지란 남아 있지 않다.‘기회의 시대’ ‘창조성의 시대’ ‘시장의 시대’ ‘실질과 실용의 시대’ 등 이 시대와 미래의 특징을 묘사할 수 있는 단어들은 많지만, 선택권을 쥔 사람은 다름아닌 당신 자신뿐이다. 그러므로 당신의 세계관과 가치관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과거의 기득권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준비하고 실험하고 창조하는 자만이 새로운 기회의 물결을 탈 수 있다. 역사는 결정적인 터닝포인트를 놓쳐버린 개인과 공동체가 겪는 부침으로 가득 차 있음을 기억하라. 10년 후, 우리에게 휘몰아칠 세계화의 거센 바람 그 누구에게도 더 이상의 방패막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이 책을 통해 급변하는 세계의 정세와 변화흐름을 아우를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미래가 불안한 당신에게, 미래를 주도해 나가야 할 당신에게.
--- 본문 중에서


미래를 제대로 준비할 만한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앞으로 10년 후, 한국은 고령화사회의 전형적인 문제들을 드러내기 시작할 것이다.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외에도 노인층을 위한 재정 지출은 1997년 1,300억 원에서 2004년 4,819억 원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우리가 개인의 지적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공동체가 되기를 원한다면,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들, 이를테면 교육·노사관계·규제·연금과 기금·행정 등의 문제를 가감 없이 원칙대로 해결하는 일이다. 일부가 주장하는, 평등과 분배를 지향하는 진보적 개혁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따름이다. 정치논리가 아니라 시장논리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적 개혁만이 유일한 대안이다.10년 후, 세계를 주도하는 공동체는 상인정신이 지배하는 곳이 될 것이다. 화려한 상인정신의 꽃을 피우기 위해 정치나 행정이 할 일은 우선 시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즉 왜곡된 정책으로 공동체 전체가 위기를 맞지 않도록 제대로 위험 관리를 하는 일이다. 정치와 행정을 담당하는 이들은 “어떻게 하면 이 땅에 상인정신을 꽃 피우게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공동체의 미래를 위한 대안을 구할 수 있다. 즉 시장의 영역을 대폭 확대하는 일이 필요하다.

― 2부 5. 공동체의 미래 준비 중에서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외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듯, 우리는 최고의 정치와 행정 서비스로 무장하여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와서 살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만들어야 한다. 고객을 감동시키는 정치·행정 서비스를 실현하려면 공공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 위로는 대통령부터 아래로는 현장의 공무원까지 세상의 변화를 깊이 인식해야 한다. 여유 있는 계층은 언제라도 생물학적 조국과 결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실제 떠나지 않는다 해도 이들이 공동체에 대한 ‘감정적인 애착’을 포기할 때 생산과 소비, 기부나 자선 등이 모두 감소한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정치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라면, ‘당신들의 대한민국’이 아니라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될 수 있도록 특히 노력해야 한다.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이동성이란 정치적 자유나 경제적 자유와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자유이다. ‘인간은 자유로워야 한다’는 믿음에 동의한다면, 넓은 세계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도와야 한다. 아는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 세대가 담당해야 할 일이다.

― 10. 新유목사회, 증가하는 이동성 중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 최고경영자인 K씨는 사석에서 이런 말을 했다.“저희들이 뉴욕에 있는 I사와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출장길에 미국 측 실무자들을 만나서 ‘우리 연구진들이 일을 잘합니까?’라는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지요. ‘스마트하고, 부지런하다는 점에서 손색이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언어소통에 큰 문제가 있습니다. 회의에서 상대방을 논리적으로 설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손해를 보게 되고 일감을 잔뜩 떠안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자연히 일의 진행 속도는 느려질 수밖에 없고요’라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이런 일화를 들려주면서 K씨는 자신의 방침을 이렇게 전했다.“저는 임직원들에게 누누이 이야기합니다. ‘우리도 충분히 영어를 잘할 수 있다. 이제부터 노력을 해서 컨퍼런스 콜 정도를 능숙하게 할 수 없다면, 아무리 유능해도 임원까지 갈 수는 없다.’기업의 활동이 글로벌화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환경에 노출되기 시작한 우리사회는 경쟁력이라는 면에서 영어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 앞으로 10년 이상 일해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영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의무 사항이다. 언어란 한 인간에게 운명과 같은 것이다. 받아들이기 가장 좋은 시기에 언어에 투자를 하게 된다는 점에서, 언어영역이 한창 성장중인 시기에 민족어에 전부를 투자해 버린 사람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세계어를 구사할 수 없는 사람들은 정보나 지식으로부터 소외될 뿐만 아니라 행동반경 역시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수의 대학교수들과 ‘교육 특구’로 여겨지는 강남의 일부 부모들이 자녀의 유학에 그토록 열심인 이유는, 언어에 대한 투자가 개인의 일생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5. 영어가 권력이다 중에서


아시아권에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의 축에는 미국과 중국, 인도와 더불어 일본이 있다. 이 새로운 질서 안에서 한국은 과연 어떻게 자신을 포지셔닝할 수 있을까? 창의성을 요구하는 지식 집약 서비스에서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는 일은 쉽지 않으며, 원천기술이나 핵심기술로 일본과 승부를 겨루는 일 또한 만만찮은 과제이다. 그렇다고 단순 제조 분야에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입장도 아니며, 백오피스 관련 전문 서비스업은 비영어권이라는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인도에게 선두를 양보할 수밖에 없다.
한국호는 어느 방향으로 키를 잡아가야 할 것인가? 한국은 지식 집약적 제조와 서비스 분야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제조업의 토양은 이미 척박해졌고 이들 분야에서 한국은 점점 낙오되어 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희망이 있다면, 그동안 교역이나 제조업으로 부를 만들어내는 역량을 가진 인적 자산이 여전히 국내에 남아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미 갖고 있는 자산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가는 정치적 안정과 역동적인 비즈니스환경을 제공하고,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다. 중국과 일본 사이의 틈새를 노려봄직도 하다. 중국과 일본은 언어나 객관적인 자료로 표현하기 힘든 ‘심리적 간격’을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은 일본과 좀더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도록 노력하여 한국과 일본, 한국과 중국의 분업관계에서 이점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한국은 국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2.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경제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01 219 자연과학 생명이란 무엇인가 4 file 관리자 2011.08.02 5752 에르빈 슈뢰딩거 궁리 엄준호 박사 2011-08-09 유성도서관 저녁 7시
100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99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98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97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1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96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4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5 274 식물은 알고 있다 1 file 유화현 2013.11.27 5858 대니얼 샤모비츠 (Daniel Chamovitz) 다른 류충민 박사(감수자) 2013-12-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94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3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92 241 그림과 눈물 3 file 김홍섭 2012.07.02 4706 제임스 엘킨스 아트북스 정은영 교수(한남대 예술문화학과) 2012-07-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91 252 여행하는 인문학자 7 file 김형렬 2012.12.28 6527 공원국 민음사 공원국 저자 2013-01-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90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6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89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5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88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6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7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86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3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85 227 자연과학 생명 40억년의 비밀 file 문경수 2011.11.18 6687 리처드포티 까치글방 문경수 2011-12-06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4 223 담금질 7 file 강신철 2011.09.28 7442 안희정 나남 안희정 충남도지사 2011-10-11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3 228 생강 발가락 file 관리자 2011.12.07 5741 권덕하 애지 권덕하 시인 2011-12-20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2 231 문학예술 테마 현대미술 노트 5 file 송윤호 2012.02.03 6106 진 로버트슨, 크레이그 맥다니엘 공저 두성북스 미술비평가 김준기 (대전문화예술의전당 학예실장) 2012-02-14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저녁 7시
81 225 블랙홀 전쟁 4 file 강신철 2011.10.26 7282 레너드 서스킨드 - 이종필역 사이언스 북스 이종필 박사 2011-11-08 유성도서관 시청각실 오후7시
80 247 닥터스 씽킹 (How Doctors Think) 3 file 김형렬 2012.09.29 4704 제롬 그루프먼 해냄 김대경 교수 2012-10-09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79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78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59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77 42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9] 내 이름은 빨강 1~2권 file 조수윤 2021.03.11 314 오르한 파묵 민음사 책밤지기 : 장은수 2021-03-23 이도저도 오후 7:15
76 42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1]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file 조수윤 2021.04.14 222 구정은 후마니타스 책밤지기 : 정혜승 2021-04-27 이도저도 오후 7:15
75 42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2] 대화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5.04 284 시어도어 젤딘 어크로스 책밤지기 : 윤성원(프로젝트 썸원) 2021-05-11 이도저도 오후 7:15
74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3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73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72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9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71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2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70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56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69 433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0] 모스크바의 신사 1 file 조수윤 2021.10.05 300 에이모 토울스 현대문학 책밤지기 : 최진영(과학과 사람들 대표) 2021-10-12 이도저도 오후 7:15
68 43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1] 슬픈 불멸주의자 file 조수윤 2021.10.18 253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흐름출판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2021-10-26 이도저도 오후 7:15
67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7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66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301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65 439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6]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file 조수윤 2022.01.03 276 오후 동아시아 책밤지기 : 이강환 2022-01-11 이도저도 오후 7:15
64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74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63 442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9] 신의 전쟁 file 조수윤 2022.02.11 335 카렌 암스트롱 교양인 책밤지기 : 문학수 경향신문 선임기자 2022-02-22 이도저도 오후 7:15
62 444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31] 언젠가 반짝일 수 있을까 file 조수윤 2022.03.14 315 조진주 아웃사이트 책밤지기 : 엄윤미(도서문화재단 씨앗 / 번뇌하는 언니들) 2022-03-22 이도저도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