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55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74
저자 공병호
출판사 해냄
발표자 이규상
일자 2005-07-26

<< 책소개 >>

<10년 후, 한국>으로 현재 한국사회의 암울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파헤친 자유주의 경제학자 공병호 박사. 그는 문제의식의 범위를 세계로 넓혀 <10년 후, 세계>를 펴냈다. 중국의 위협과 미국의 패권, 시장 경제의 냉혈한 논리 속에 이제 세계의 문제는 곧 대한민국의 오늘을 사는 우리의 문제가 되고 있다. 무한 경쟁, 무한 속도, 무한 팽창의 10년 후 세계. 대한민국의 운명과 한국인의 먹고사는 문제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게 될 세계정세와 주요 변화들을 알아보고, 거기에 대한 우리의 준비는 어떠한지 냉철하게 분석한다.


<< 저자 소개 >>

공병호

걸출한 국내 전문가가 별로 없는 자기계발 분야에서 계속적인 글쓰기를 하고 있는 공병호 박사. 일찍부터 저널리즘과 아카데미즘의 중도노선을 걷는 글쓰기로 《기업가》 《한국기업흥망사》 《시장경제와 민주주의》 등 약 30여 권을 집필한 바 있다. 최근에 펴낸 《공병호의 자기경영노트》 《황금의 씨앗을 뿌려라》 《80/20법칙(역)》 등이 모두 베스트셀러에 올랐다. 그는 한경와우TV에서 <공병호 독서대학>, MBC라디오에서 <공병호의 독서산책>, 한국경제신문에서 <공병호의 책이 있는 풍경>을 비롯해서 일간, 주간, 월간지 등에 다수의 기명 고정칼럼을 갖고 있다. 강연과 집필, 방송 및 기고 그리고 경영자문으로 그의 삶 자체가 바로 혁신과 개선의 살아있는 생생한 사례이다.


<< 토론자 소개 >>

이규상

목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목차/책속으로>>

• 목차보기


|여는 글| 세계의 변화는 바로 오늘 당신의 문제다

제1부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가:세계의 현재와 미래
1. 하나의 시장으로 달려가는 세계경제
2. 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경제
3. 팽창하는 중국, 대륙의 위협
4. 미국, 이보다 더 강할 수는 없다
5. 영어가 권력이다
6. 적자생존, 다국적기업이 살아남는다
7. 심화되는 변화격차, 중간은 없다
8. 가열되는 자원전쟁
9. 세계평화는 언제 오는가
10. 新유목사회, 증가하는 이동
11.. 부는 머리에서 나온다
12. 유통이 세계시장을 지배한다
13. 달러를 둘러싼 끝없는 갈등
14. 과잉유동성, 과잉투자 그리고 디플레이션
15. 상상이 현실로, 정보통신 혁명
16. 차세대 주력산업, 생명공학
17. 속도전쟁, 그 무한경쟁 속으로
18. 브랜드 브랜드 브랜드
19. 미(美)가 경쟁력이다
20. 고령화 시대, 늙어가는 지구촌
21.위험천만한 세상, 미래의 리스크들


제2부 살아남기 위하여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10년 후 대비
1. 변화의 물살을 타고 나아가라
2. 개인의 미래 준비
3. 기업의 미래 준비
4. 가정의 미래 준비
5. 공동체의 미래 준비

|맺는 글| 생존하라, 그것은 시대의 사명이다


• 책속으로

앞으로 10년 후의 세계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우리들은 매우 역동적이며 창조적인 시대를 살고 있다. 더 이상 안정적인 미래란 존재하지 않으며, 우리는 순간순간의 선택에 의해 스스로의 미래를 만들어가고 있을 뿐이다. 그동안 어떤 길을 걸어왔든 과거가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는 여지란 남아 있지 않다.‘기회의 시대’ ‘창조성의 시대’ ‘시장의 시대’ ‘실질과 실용의 시대’ 등 이 시대와 미래의 특징을 묘사할 수 있는 단어들은 많지만, 선택권을 쥔 사람은 다름아닌 당신 자신뿐이다. 그러므로 당신의 세계관과 가치관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과거의 기득권 좁은 시야에서 벗어나 준비하고 실험하고 창조하는 자만이 새로운 기회의 물결을 탈 수 있다. 역사는 결정적인 터닝포인트를 놓쳐버린 개인과 공동체가 겪는 부침으로 가득 차 있음을 기억하라. 10년 후, 우리에게 휘몰아칠 세계화의 거센 바람 그 누구에게도 더 이상의 방패막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나는 이 책을 통해 급변하는 세계의 정세와 변화흐름을 아우를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미래가 불안한 당신에게, 미래를 주도해 나가야 할 당신에게.
--- 본문 중에서


미래를 제대로 준비할 만한 시간이 그리 많지 않다. 앞으로 10년 후, 한국은 고령화사회의 전형적인 문제들을 드러내기 시작할 것이다.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외에도 노인층을 위한 재정 지출은 1997년 1,300억 원에서 2004년 4,819억 원으로 4배 가까이 증가했다. 우리가 개인의 지적 능력을 최고도로 발휘함으로써 최고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공동체가 되기를 원한다면, 단기적인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한국사회가 갖고 있는 본질적인 문제들, 이를테면 교육·노사관계·규제·연금과 기금·행정 등의 문제를 가감 없이 원칙대로 해결하는 일이다. 일부가 주장하는, 평등과 분배를 지향하는 진보적 개혁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따름이다. 정치논리가 아니라 시장논리에 바탕을 둔 자유주의적 개혁만이 유일한 대안이다.10년 후, 세계를 주도하는 공동체는 상인정신이 지배하는 곳이 될 것이다. 화려한 상인정신의 꽃을 피우기 위해 정치나 행정이 할 일은 우선 시장에 걸림돌이 되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즉 왜곡된 정책으로 공동체 전체가 위기를 맞지 않도록 제대로 위험 관리를 하는 일이다. 정치와 행정을 담당하는 이들은 “어떻게 하면 이 땅에 상인정신을 꽃 피우게 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으로부터 공동체의 미래를 위한 대안을 구할 수 있다. 즉 시장의 영역을 대폭 확대하는 일이 필요하다.

― 2부 5. 공동체의 미래 준비 중에서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외자 유치를 위해 노력하듯, 우리는 최고의 정치와 행정 서비스로 무장하여 가능한 많은 사람들이 와서 살고 싶은 마음이 들도록 만들어야 한다. 고객을 감동시키는 정치·행정 서비스를 실현하려면 공공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 위로는 대통령부터 아래로는 현장의 공무원까지 세상의 변화를 깊이 인식해야 한다. 여유 있는 계층은 언제라도 생물학적 조국과 결별할 수 있다는 사실을 말이다. 실제 떠나지 않는다 해도 이들이 공동체에 대한 ‘감정적인 애착’을 포기할 때 생산과 소비, 기부나 자선 등이 모두 감소한다는 사실도 알아야 한다. 정치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들이라면, ‘당신들의 대한민국’이 아니라 ‘우리들의 대한민국’이 될 수 있도록 특히 노력해야 한다. 이동성이 증가하는 시대에 당신과 당신의 아이들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가? 이동성이란 정치적 자유나 경제적 자유와 마찬가지로 또 하나의 자유이다. ‘인간은 자유로워야 한다’는 믿음에 동의한다면, 넓은 세계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는 미래를 준비할 수 있도록 아이들을 도와야 한다. 아는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 세대가 담당해야 할 일이다.

― 10. 新유목사회, 증가하는 이동성 중에서


한국의 대표적인 기업 최고경영자인 K씨는 사석에서 이런 말을 했다.“저희들이 뉴욕에 있는 I사와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출장길에 미국 측 실무자들을 만나서 ‘우리 연구진들이 일을 잘합니까?’라는 질문을 던진 적이 있었지요. ‘스마트하고, 부지런하다는 점에서 손색이 전혀 없습니다. 그런데 언어소통에 큰 문제가 있습니다. 회의에서 상대방을 논리적으로 설득하지 못하기 때문에 항상 손해를 보게 되고 일감을 잔뜩 떠안는 일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자연히 일의 진행 속도는 느려질 수밖에 없고요’라는 대답을 들었습니다.” 이런 일화를 들려주면서 K씨는 자신의 방침을 이렇게 전했다.“저는 임직원들에게 누누이 이야기합니다. ‘우리도 충분히 영어를 잘할 수 있다. 이제부터 노력을 해서 컨퍼런스 콜 정도를 능숙하게 할 수 없다면, 아무리 유능해도 임원까지 갈 수는 없다.’기업의 활동이 글로벌화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글로벌환경에 노출되기 시작한 우리사회는 경쟁력이라는 면에서 영어를 다시 볼 수밖에 없다. 앞으로 10년 이상 일해야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영어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의무 사항이다. 언어란 한 인간에게 운명과 같은 것이다. 받아들이기 가장 좋은 시기에 언어에 투자를 하게 된다는 점에서, 언어영역이 한창 성장중인 시기에 민족어에 전부를 투자해 버린 사람들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세계어를 구사할 수 없는 사람들은 정보나 지식으로부터 소외될 뿐만 아니라 행동반경 역시 한정될 가능성이 높다. 다수의 대학교수들과 ‘교육 특구’로 여겨지는 강남의 일부 부모들이 자녀의 유학에 그토록 열심인 이유는, 언어에 대한 투자가 개인의 일생에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 5. 영어가 권력이다 중에서


아시아권에 형성되는 새로운 질서의 축에는 미국과 중국, 인도와 더불어 일본이 있다. 이 새로운 질서 안에서 한국은 과연 어떻게 자신을 포지셔닝할 수 있을까? 창의성을 요구하는 지식 집약 서비스에서 미국과의 격차를 좁히는 일은 쉽지 않으며, 원천기술이나 핵심기술로 일본과 승부를 겨루는 일 또한 만만찮은 과제이다. 그렇다고 단순 제조 분야에서 중국과 경쟁할 수 있는 입장도 아니며, 백오피스 관련 전문 서비스업은 비영어권이라는 구조적인 요인 때문에 인도에게 선두를 양보할 수밖에 없다.
한국호는 어느 방향으로 키를 잡아가야 할 것인가? 한국은 지식 집약적 제조와 서비스 분야에서 해법을 찾아야 한다. 하지만 제조업의 토양은 이미 척박해졌고 이들 분야에서 한국은 점점 낙오되어 가고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희망이 있다면, 그동안 교역이나 제조업으로 부를 만들어내는 역량을 가진 인적 자산이 여전히 국내에 남아 있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이미 갖고 있는 자산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국가는 정치적 안정과 역동적인 비즈니스환경을 제공하고,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는 시대적 과제를 안고 있다. 중국과 일본 사이의 틈새를 노려봄직도 하다. 중국과 일본은 언어나 객관적인 자료로 표현하기 힘든 ‘심리적 간격’을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은 일본과 좀더 긴밀하고 유기적인 관계를 맺도록 노력하여 한국과 일본, 한국과 중국의 분업관계에서 이점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지금, 한국은 국가 차원의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 2.새롭게 재편되는 아시아경제 중에서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00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9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198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97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0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6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6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195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48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194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193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192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191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90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3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9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88 423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0] 지구인의 우주공부 file 조수윤 2021.03.24 309 이명현 박사 바다출판사 책밤지기 : 이명현 박사 2021-04-13 이도저도 오후 7:15
187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6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85 406 문학예술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file 조수윤 2019.09.26 293 이성낙 눌와 이성낙 2019-10-0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84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183 45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4] 칠드런 액트 file 조수윤 2022.09.29 253 이언 매큐언 한겨레출판 책밤지기 : 정여울 작가 2022-10-11 이도저도 오후 7:15
182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7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1 75 대화 file 관리자 2005.07.26 3706 이영희 한길사 이진석 2005-08-09
180 13 최신유럽연합론 file 관리자 2003.06.21 4223 이원종 해남 2002-12-10
179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0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8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77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9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76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5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3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174 83 샤갈의 미술세계 file 관리자 2005.11.26 3734 이재흥 100 이재흥 2005-12-13
173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9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72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89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1 94 인문사회 탐독 file 관리자 2006.05.10 4165 이정우 아고라 이정우 2006-05-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0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6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9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14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68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7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66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65 50 노마디즘 file 관리자 2004.06.27 3750 이진경 휴머니스트 이진경 2004-07-27
164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163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162 334 인문사회 파격의 고전 file 이근완 2016.07.06 545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2016-07-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1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3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