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2689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회차 70
저자 올리버 색스
출판사 살림터
발표자 박문호
일자 2005-05-24
<<책 소개>>


신경과 전문의이며 세계적인 논픽션 작가인 저자의 임상보고글. 뇌신경 이상으로 나타나는 이상한 증상과 투병과정을 그린 24편의 이야기다.


001. 상실
002. 과잉
003. 이행
004. 순진

우리는 매일 여러 사람을 만나,
따뜻한 인사와 정겨운 이야기를 나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이렇게 사람을 제대로 알아보고, 인사를 나눌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행복한 것인지를 깜빡 잊고 산다.

그러다가 어느날
뜻밖의 사고로 뇌를 다친 사람들이 보이는
여러 가지 기이한 현상에 대한 이야기를 듣게 되면,
사람을 알아보고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는 평범한 사실만으로도
얼마나 하루하루의 생활이 감사한 것인가를 새삼 깨닫게 된다.

뇌가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이 어디인가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인지 기능에 이상이 온다.

두뇌의 시각중추 손상을 입은 경우에는 보이는 사물에 대해 인식이 안된다.
두뇌의 오른쪽 반구의 후두엽이 다치면,
통각적 인식불능증(apperceptive agnosia)이 된다.
이 경우 사물의 윤곽은 어느 정도 정확하게 알아 차리지만,
모양이 같은 것들을 동일한 것으로 짝짓지 못한다.

보이는 사물에 대해 시각적으로는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 대상이 무엇인지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는
연상적 인식불능증(associative agnosia)이라고 한다.

그 외에도 뇌의 좌측 반구가 손상된 경우,
말을 하지 못하거나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거나,
글을 쓰지 못하는 언어상실증(aphasia)이 온다.

전두엽과 운동중추가 손상되면,
행동의 부분이 하나로 통일되지 못하는 행위상실증(apraxia)이 된다.

기억과 관련된 뇌의 부분이 손상되면 기억상실증(amnesia)이 된다.
기억상실증에는
전향기억상실(anterograde amnesia)과 후향기억상실(retrograde amnesia)이 있다.
전향기억상실의 경우는 새로운 장기기억을 만들지 못한다.
즉 과거의 일들은 잘 기억을 하지만 새로운 일은 잘 기억하지 못한다.
전향기억상실로 유명한 경우는
1953년에 뇌수술을 받았던 H. M.이라는 사례가 있었다.
그는 수술 전의 일은 잘 기억했으나,,
수술 후에 일어난 일을 잘 기억하지 못했다.
후향기억상실(retrograde amnesia)인 경우는 반대로
예전에 일어난 장기 기억을 잘 인출하지 못한다.

신경학 임상 의사인 올리버 색스(Oliver Sacks)는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The man who mistook his wife for a hat"라는
기이한 제목의 책을 썼다.
저자는 의사로서의 임상체험을 글로 발표한 인기 있는 논픽션 작가이다.

올리버 색스는 1933년 런던에서 태어나
옥스퍼드 대학에서 신경학을 전공하였다.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인턴을 거쳐 뉴욕에서 의료활동을 하였다.

이 책은 뇌신경에 이상이 있었던 P라는 음악가의
기묘하고 이상한 증상에 대해 썼다.
주인공은 이름 있는 성악가였지만,
뇌의 시각 중추 부위에 종양이 생겨 대상을 인식하지 못했다.
구두를 벗은 후에는 자기 발과 구두를 구별하지 못했으며,
장갑을 보면 만지고 난 후 ‘어떤 물건을 넣는 자루’라고 답했다.
심지어 음성이 들리지 않는 경우,
자기 부인의 모습을 보고 ‘모자’라고 착각하였다.
P에게는 대상이 시각적으로는 눈을 통해 정상적으로 입력되었지만,
입력된 대상이 무엇과 관계가 있는 것인지를 파악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이 만약 지금
사랑스런 아내(또는 남편)의 얼굴을 보고 "모자"라 아니하고
"나의 아내(또는 남편)"라고 말할 수 있다면
여러분은 지금 분명히 행복한 가을을 맞고 있는 것이 아닐까?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99 251 내 눈 속의 한의학 혁명 file 김형렬 2012.11.30 7064 박성일 천년의상상 박성일 원장 2012-12-11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298 236 피로사회 12 file 관리자 2012.04.12 5962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박성일 원장 (장소: 백북스홀) 2012-04-24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297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96 139 문학예술 현대음악사 file 박문호 2008.03.26 5648 폴그리피스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박순희 교수 2008-04-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5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1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4 222 클래식명곡을 낳은 사랑이야기 1 file 강신철 2011.09.16 7226 니시하라 미노루 문학사상사 박은아 플룻티스트 2011-09-27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293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618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92 471 기타 여행준비의 기술 file 조수윤 2023.07.26 548 박재영 작가 글항아리 박재영 작가 2023-08-22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91 295 도마시장 file 유화현 2014.10.31 3611 박재홍 시인 개미 박재홍 시인 2014-11-11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290 312 인문사회 뇌처럼 현명하게 file 이근완 2015.08.03 1207 패트리샤 처칠랜드 저/박제윤 역 자연과 철학사 박제윤 철학박사 2015-08-11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9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8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8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287 340 문학예술 책의 역사 file 이근완 2016.10.17 393 부길만(대학교수) 일진사 부길만(대학교수) 2016-10-25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6 310 자연과학 시간 연대기 file 이근완 2015.06.30 1379 애덤 프랑크 저/고은주 역 에이도스 부산대 물리교육과 김상욱교수 2015-07-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5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0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4 89 실마릴리온 file 관리자 2006.02.23 4252 존 로날드 로웰 톨킨 씨앗을뿌리는사람(페이퍼하우스) 서윤경 2006-03-14
283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2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1 29 괴짜들의 리더십 file 관리자 2003.08.12 3627 스티븐 샘플 김영사 성일석 교수 2003-08-26
280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279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78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596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277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76 30 최고경영자 예수 file 관리자 2003.08.29 3792 로리 베스 존스 한언 송윤호 2003-09-19
275 42 소유의 종말 file 관리자 2004.03.10 3726 제레미 리프킨 민음사 송윤호 2004-03-23
274 275 송년회 - 트렌드코리아 2014 1 file 유화현 2013.12.16 4444 김난도 미래의창 송윤호 백북스 이사 2013-12-26 백북스 홀 오후 7시
273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2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72 46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주년] 어떤 양형 이유 file 조수윤 2022.11.09 250 박주영 판사 김영사 송태호, 진종식,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태병권, 박순필, 송우주, 허은영 2022-11-22 이도저도 오후 7:15
271 357 자연과학 믿음의 엔진 1 file 이근완 2017.07.23 272 루이스 월퍼트 저 / 황소연 역 에코의 서재 송호준 (망원동 인공위성, F학점 공대생) 2017-07-25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70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6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69 309 문학예술 시각과 예술 2 file 이근완 2015.05.28 1875 마거릿 리빙스턴 저/정호경 역 두성북스 신동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015-06-23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68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267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266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65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1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4 47 유인원과의 산책 file 관리자 2004.05.25 3831 사이 몽고메리 르네상스 심정자 교수 2004-06-08
263 336 자연과학 뉴튼의 프린키피아 file 관리자 2016.08.02 287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박사 2016-08-09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62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61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7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60 116 팹 (FAB) file 박문호 2007.04.11 6205 닐 거센펠드 비즈앤비즈 안윤호 2007-04-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