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5.03.21 09:00

양자역학의 모험

조회 수 440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회차 67
저자 T.C of LEX
출판사 과학과문화 (science culture)
발표자 강성열
일자 2005-04-13
책소개

일본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른 『양자 역학의 모험』의 영역판이다. 양자 역학에 대해 전혀 모르는 30여 명의 TCL(Transnational College of LEX )의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학습하며 써내려 간 책으로, 양자 역학에 대해 이해해 가는 과정에 함께 동참할 수 있다. 일반 대중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로 양자 역학의 기본적인 사항에서 출발하여 양자 역학 관련 방정식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설명되어 있는 이 책은 양자 역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박성근
고려대 물리학과 졸업,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 고에너지 입자 물리학 박사, 고려대학교 교수, 한국 검출기 연구소장. 저서 및 번역서 『입자물리 현상론』외 다수.


역자 김종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 미국 시카고 대학교 이학박사. 페르미 원자핵 연구소 연구원. 루이지아나 주립대 조교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국민훈장 석류장, 한국 물리학회 성봉 물리학상 수상. 저서 및 번역서 『일반역학』『현대광학』『신의 입자』『현대물리학』『상대성원리』등.


저자 : Transnational college of LEX
일본 동경에 7개 국어를 자연습득하자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만든 Hippo Family club 이 있었다. 그 club의 연구소가 바로 Transnational College of LEX (TCL)이다.

• 미디어 리뷰

| 국민일보 남도영 기자 | 2001-04-17 |

양자역학.현대 과학의 기본을 구성하는 학문으로 불린다.첨단 전자산업을 구성하는 반도체의 원리도 양자역학의 도움없이는 설명되지 않는다.하지만 양자역학은 이름 자체로 부담감을 준다."도대체 이런 학문을 알아야할 필요가 있을까"

『양자역학의 모험』(사이언스 컬처)은 한번쯤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알아보려는 독자를 위한 책이다.독특한 것은 책의 저자들이 물리학에 문외한이었다는 점이다.일본에는 외국어를 공부하는 모임인 'TCL(Transnational College of LEX)'이라는 단체가 있다.다양한 연령의 사람들이 자유롭게 영어,러시아어,한국어,중국어 등을 공부하는 모임으로 일본 내에서는 꽤 인기가 있는 모양이다.그런데 이 TCL의 한 그룹에서 갑자기 양자역학을 공부하자는 의견이 나왔다.한 멤버가 "난,양자역학 같은 걸 공부하고 싶은데"라고 말을 꺼냈고,다음 멤버는 "그래 양자역학을 공부해 보자구!그런데 양자역학이 뭐지?"라고 말했다.

어쨌든, 『양자역학 1,2』라는 책을 선정해 10주간의 공부가 시작됐고,이들은 그 과정을 책으로 엮어냈다.이들이 10주 후에 양자역학의 도사가 됐을까.물론 아니다.하지만 이들은 즐겁게 공부했고,머리가 지끈거리는수학공식이 등장할 때면 "모르면 이게 이런 맥락에서 나온 공식이구나"라고 이해하고 넘어갔다.양자역학을 알아보겠다고 시작한 공부였고,양자역학이 무슨 말인지를 알았으니 그것으로 좋은 것이었다.

양자역학의 출발은 '빛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에서부터였다고 한다.19세기만 해도 '빛은 파동'이라고 생각됐다.'슬릿의 실험'으로 확인된 결과였다.그런데 파동이라고 하기엔 결과가 이상한 '플랑크의 상수'가 발견됐고,곧 아인슈타인 선생이 나타나 '광전효과'라는 것을 보여주며 "빛은 입자"라고 말했다.

이제 문제는 다 풀린 것 같았다.하지만 또 빛이 파동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결과들이 계속 나타났다.이제 모든 것은 의문에 빠졌다.이럴 때 하이젠베르크와 보어가 나타났다.둘은 "전자는 관측되지 않을 때는 파동과 같이,그리고 관측될 때는 입자와 같이 행동한다"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완성했다.'입자냐,파동이냐'는 논란을 '입자이고,파동이다'라는 것으로 정리한 것이다.양자(원자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즉 전자,양성자,광자 등등)의 세계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그리고 불확정성 원리가 발견된 지 60여년이 흘렀지만,수많은 물리학자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 원리를 뒤짚을 만한 사실이나 이론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61 155 뇌 생각의 출현 file 박문호 2008.11.26 5402 박문호 휴머니스트 박문호 2008-12-09
360 144 문학예술 페니미즘 미술사 6 file 박문호 2008.06.12 5399 린다 노클린 예경 이지호 2008-06-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9 244 고산자 1 file 김형렬 2012.08.14 5356 박범신 문학동네 박범신 2012-08-26 장동산림욕장 16:00
358 2 승려와 수수께끼 file 관리자 2003.06.21 5330 랜디 코미사 바다 2002-06-25
357 276 How to be happy(행복도 연습이 필요하다) 1 file 유화현 2013.12.30 5323 소냐 류보머스키(Sonja Lyubomirsky) 지식노마드 김항중 교수(대전대) 2014-01-14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56 254 누구와 함께 살 것인가 file 관리자 2013.02.05 5312 또 하나의 문화 또 하나의 문화 김억중 교수 2013-02-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 7시
355 232 삶의 정도 3 file 이정원 2012.02.16 5294 윤석철 위즈덤하우스 현영석 교수 2012-02-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54 145 기타 궁궐의 우리나무 2 file 관리자 2008.06.26 5288 박상진 눌와 안여종 2008-07-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3 143 문학예술 가재미 3 file 박문호 2008.05.28 5281 문태준 문학과 지성 문태준 시인 2008-06-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2 131 경영경제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file 박문호 2007.12.01 5280 최홍섭 w미디어 이언오 SERI전무 2007-12-11
351 154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file 박문호 2008.11.12 5271 안철수 김영사 안철수 2008-11-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50 125 인문사회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file 박문호 2007.08.26 5268 고병권 그린비 고병권 2007-09-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9 96 기타 타인최면 file 관리자 2006.06.20 5259 류한평 갑진출판사 류한평 2006-06-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8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58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347 120 인문사회 총, 균, 쇠 file 박문호 2007.06.13 5254 제레드 다이아몬드 문학사상사 정영옥 2007-06-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6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54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5 273 더 선(The Son) 3 file 유화현 2013.11.15 5243 필립 마이어 (Philipp Meyer) 올(사피엔스21) 임재서 번역가(백북스 회원) 2013-11-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44 161 최초의 3분 file 관리자 2009.02.25 5228 스티븐 와인버그 양문 김봉규 박사 2009-03-10
343 286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file 유화현 2014.05.30 5217 강명관 천년의 상상 강명관 교수(저자) 2014-06-10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42 250 문학예술 세계명화 비밀 file 김홍섭 2012.11.21 5181 모니카 봄 두첸 생각의 나무 정은영 교수(한남대) 2012-11-26 백북스홀(대전 서구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41 114 인문사회 얼굴, 한국인의 낯 file 관리자 2007.03.18 5160 조용진 사계절 조용진 2007-03-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40 289 휴보이즘 file 유화현 2014.07.10 5150 전승민 MID 전승민 기자(저자) 2014-07-22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39 157 나스타샤 file 박문호 2008.12.24 5129 조지수 베아르피 조지수 2009-01-13
338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8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7 158 사라진 손바닥 file 박문호 2009.01.14 5112 나희덕 문학과지성사 나희덕 시인 2009-01-30
336 164 슈거블루스 1 file 강신철 2009.04.15 5105 윌리엄 더프티 북라인 한명학 박사 2009-04-28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335 257 피렌체, 시간에 잠기다 3 file 이정원 2013.03.13 5026 고형욱 사월의책 이정원 2013-03-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34 119 마이크로코스모스 file 박문호 2007.05.29 502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범양사 홍욱희 2007-06-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3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2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332 127 인문사회 부서진 미래 file 박문호 2007.10.03 5021 김미정 삶이 보이는 창 토론 2007-10-09 시민지식 네트워크를 위한 독서크로젝트
331 126 기타 호주 file 박문호 2007.09.18 4983 일자 샤프 휘슬러 호주학습탐사팀 2007-09-2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30 285 키치, 달콤한 독약 file 유화현 2014.05.14 4980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박사(저자) 2014-05-27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29 4 만년샤쓰 file 관리자 2003.06.21 4974 방정환 길벗어린이 2002-07-23
328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9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327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63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26 122 인문사회 논어 file 박문호 2007.07.13 4962 동양고전연구회 지식산업사 이숙희 2007-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5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55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324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8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3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7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22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2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