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5.03.21 09:00

양자역학의 모험

조회 수 440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회차 67
저자 T.C of LEX
출판사 과학과문화 (science culture)
발표자 강성열
일자 2005-04-13
책소개

일본에서 베스트셀러에 오른 『양자 역학의 모험』의 영역판이다. 양자 역학에 대해 전혀 모르는 30여 명의 TCL(Transnational College of LEX )의 학생들이 머리를 맞대고 학습하며 써내려 간 책으로, 양자 역학에 대해 이해해 가는 과정에 함께 동참할 수 있다. 일반 대중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내용들로 양자 역학의 기본적인 사항에서 출발하여 양자 역학 관련 방정식에 이르기까지 철저하게 설명되어 있는 이 책은 양자 역학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할 것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박성근
고려대 물리학과 졸업,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 고에너지 입자 물리학 박사, 고려대학교 교수, 한국 검출기 연구소장. 저서 및 번역서 『입자물리 현상론』외 다수.


역자 김종오
서울대학교 물리학과 졸업, 미국 시카고 대학교 이학박사. 페르미 원자핵 연구소 연구원. 루이지아나 주립대 조교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 국민훈장 석류장, 한국 물리학회 성봉 물리학상 수상. 저서 및 번역서 『일반역학』『현대광학』『신의 입자』『현대물리학』『상대성원리』등.


저자 : Transnational college of LEX
일본 동경에 7개 국어를 자연습득하자는 목표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만든 Hippo Family club 이 있었다. 그 club의 연구소가 바로 Transnational College of LEX (TCL)이다.

• 미디어 리뷰

| 국민일보 남도영 기자 | 2001-04-17 |

양자역학.현대 과학의 기본을 구성하는 학문으로 불린다.첨단 전자산업을 구성하는 반도체의 원리도 양자역학의 도움없이는 설명되지 않는다.하지만 양자역학은 이름 자체로 부담감을 준다."도대체 이런 학문을 알아야할 필요가 있을까"

『양자역학의 모험』(사이언스 컬처)은 한번쯤 양자역학이 무엇인지 알아보려는 독자를 위한 책이다.독특한 것은 책의 저자들이 물리학에 문외한이었다는 점이다.일본에는 외국어를 공부하는 모임인 'TCL(Transnational College of LEX)'이라는 단체가 있다.다양한 연령의 사람들이 자유롭게 영어,러시아어,한국어,중국어 등을 공부하는 모임으로 일본 내에서는 꽤 인기가 있는 모양이다.그런데 이 TCL의 한 그룹에서 갑자기 양자역학을 공부하자는 의견이 나왔다.한 멤버가 "난,양자역학 같은 걸 공부하고 싶은데"라고 말을 꺼냈고,다음 멤버는 "그래 양자역학을 공부해 보자구!그런데 양자역학이 뭐지?"라고 말했다.

어쨌든, 『양자역학 1,2』라는 책을 선정해 10주간의 공부가 시작됐고,이들은 그 과정을 책으로 엮어냈다.이들이 10주 후에 양자역학의 도사가 됐을까.물론 아니다.하지만 이들은 즐겁게 공부했고,머리가 지끈거리는수학공식이 등장할 때면 "모르면 이게 이런 맥락에서 나온 공식이구나"라고 이해하고 넘어갔다.양자역학을 알아보겠다고 시작한 공부였고,양자역학이 무슨 말인지를 알았으니 그것으로 좋은 것이었다.

양자역학의 출발은 '빛의 성격'을 탐구하는 것에서부터였다고 한다.19세기만 해도 '빛은 파동'이라고 생각됐다.'슬릿의 실험'으로 확인된 결과였다.그런데 파동이라고 하기엔 결과가 이상한 '플랑크의 상수'가 발견됐고,곧 아인슈타인 선생이 나타나 '광전효과'라는 것을 보여주며 "빛은 입자"라고 말했다.

이제 문제는 다 풀린 것 같았다.하지만 또 빛이 파동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실험결과들이 계속 나타났다.이제 모든 것은 의문에 빠졌다.이럴 때 하이젠베르크와 보어가 나타났다.둘은 "전자는 관측되지 않을 때는 파동과 같이,그리고 관측될 때는 입자와 같이 행동한다"는 '불확정성의 원리'를 완성했다.'입자냐,파동이냐'는 논란을 '입자이고,파동이다'라는 것으로 정리한 것이다.양자(원자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즉 전자,양성자,광자 등등)의 세계를 완전하고 정확하게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다.그리고 불확정성 원리가 발견된 지 60여년이 흘렀지만,수많은 물리학자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이 원리를 뒤짚을 만한 사실이나 이론은 아직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한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79 33 대화의 법칙 file 관리자 2003.09.30 3972 래리 킹 청년정신 김홍범 2003-11-05
78 1 끝없는 도전과 용기 file 관리자 2003.06.21 5834 젝 웰치 청림 2002-06-04
77 28 생각의 속도 1 file 관리자 2003.07.21 3871 빌게이츠 청림출판 강신철 2003-08-12
76 104 경영경제 부의 미래 file 관리자 2006.10.15 4762 앨빈 토플러 청림출판 이재흥 아주미술관 관장 2006-10-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75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3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74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73 308 인문사회 그림자 여행 file 이근완 2015.05.23 1307 정여울 추수밭 저자 정여울 2015-05-26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2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0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71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3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70 44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5] 리얼리티 버블 file 조수윤 2022.05.18 290 지야 통 코쿤북스 책밤지기 : 고원용 박사 2022-05-24 이도저도 오후 7:15
69 472 인문사회 교양 고전 독서 file 조수윤 2023.08.23 553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노명우 교수(아주대학교 사회학과) 2023-09-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68 292 첫 술에 행복하랴 1 file 유화현 2014.09.02 4958 조웅래 토네이도 조웅래 회장(더맥키스컴퍼니 CEO) 2014-09-23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67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66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09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5 78 기찬 하루 file 관리자 2005.09.04 3850 권오상 팬덤하우스 권오상 2005-09-27
64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63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3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62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48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61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50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60 39 5백년 내력의 명문가 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2.03 3861 조용헌 푸른역사 진현웅 교수 (한남대 경영) 2004-02-10
59 56 영조와 정조의 나라 file 관리자 2004.10.11 3742 박광용 푸른역사 박문호 2004-10-26
58 42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3] 이제 당신의 손을 보여줘요 file 조수윤 2021.05.17 252 알렉상드르 타로 풍월당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5-25 이도저도 오후 7:15
57 449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6] 우아한 우주 file 조수윤 2022.05.30 316 엘라 프랜시스 샌더스 프시케의숲 책밤지기 : 궤도(안될과학 과학 커뮤니케이터) 2022-06-14 이도저도 오후 7:15
56 409 자연과학 우주날씨 이야기 file 조수윤 2019.11.13 272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플루토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2019-11-26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55 347 문학예술 새벽 2시, 페소아를 만나다(나를 묻는 밤의 독서) file 이근완 2017.01.31 330 김운하 필로소픽 김운하 2017-02-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4 166 뇌와 내부세계 file 관리자 2009.05.15 6511 마크 솜즈 / 김종주 역 하나의학사 역자 김종주 2009-05-26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53 106 인문사회 탐라기행 file 관리자 2006.11.15 4232 시바 료타로 학고재 이석봉 대표 2006-11-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5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1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50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6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9 313 인문사회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file 이근완 2015.08.16 1222 존 브래드쇼 학지사 김영돈(정신건강의학 전문의) 2015-08-25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8 45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4] 칠드런 액트 file 조수윤 2022.09.29 253 이언 매큐언 한겨레출판 책밤지기 : 정여울 작가 2022-10-11 이도저도 오후 7:15
47 10 Next Society file 관리자 2003.06.21 4544 피터드러커 한국경제신문 2002-10-26
46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1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45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75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4 277 현대자동차 스피드경영 4 file 유화현 2014.01.18 4817 현영석 한국린경영연구원 현영석 교수(백북스 이사장) 2014-01-28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3 112 인문사회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file 관리자 2007.02.14 4945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전재성 2007-02-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2 230 붉은 광장의 아이스링크 18 file 한빛찬 2012.01.12 6810 김현택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임석희 2012-01-31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747 박성일한의원 6층) 7:30
41 81 후손을 위한 원자력 file 관리자 2005.10.25 4518 장인순 한국원자력연구소 장인순 2005-11-08
40 268 카프카의 서재 2 file 유화현 2013.08.29 4836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3-09-1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