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5.01.31 09:00

뮤지킹 음악하기

조회 수 360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4
저자 크리스토퍼 스몰
출판사 효형출판
발표자 전정임
일자 2005-02-15
<<토론자 소개>> 충남대 음대 전정임 교수

<<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의 핵심적인 주장은 '음악 music'이란 말을 명사가 아닌 동사로 쓰자는 것, 그리하여 '음악하다 to music'라는 말이나 이 말의 동명사형인 '음악하기 musicking'라는 말이 폭넓게 쓰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음악 작품에 대한 지나친 관심 때문에 음악을 마치 고정된 사물처럼 파악해온 서구 근대 음악 문화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을 촉구하며, 나아가 독자에게 연주 행위와 청취 행위를 포함하는 음악 활동 일반에 주목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더불어 저자는 서구 고전음악에 다른 음악들보다 월등한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낯설고 모순된 현상임을 지적하고, 음악 작품을 우선시하는 역사가들과 음악학자들의 잘못된 관행을 비판하며, 이들 문제의 근원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크리스토퍼 스몰
1927년 뉴질랜드 태생. 웰링턴의 빅토리아 대학에서 동물학과 음악을 전공 뒤 수년동안 교직 생활을 하며 영화음악과 무대음악 분야에서 작곡 활동을 했다. 현직에서 은퇴한 뒤 현재 스페인의 휴양도시 시체스에 살면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역자: 조선우
가톨릭 대학 신학부 졸업 후 독일 괴팅엔 대학에서 철학(음악학)박사학위 수료. 2004년 현재 동아대학교 음악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민족음악학회의 대표를 맡고 있다.


역자: 최유준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음악이론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동아대학교 학과간 협동과정 음악문화학과 박사과정 수료.





목차

[목차보기]를 클릭하면 이 도서의 목차를 볼 수 있습니다.

전주곡/ 음악과 음악하기

1. 듣는 장소
2. 철저히 현대적인 직업
3. 낯선 사람들과 나누기
간주곡 1/ 제스처 언어

4. 분리된 세계
5. 겸손한 인사
6. 죽은 작곡가 불러내기
간주곡 2/ 모든 예술의 어머니

7. 악보와 파트보
8. 하모니, 천상의 하모니
간주곡 3/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여러 의미들

9. 연극의 기술
10. 관계들의 드라마
11. 질서상
12. 여기서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13. 고독한 피리 연주자

후주곡/ 훌륭한 연주란 무엇인가?







ㆍ미디어 리뷰ㆍ출판사 리뷰

• 미디어 리뷰

"객석-연주자 왜 따로 놀까" | 동아일보 책의 향기 유윤종 기자 | 2004-04-24 |

‘문화 체험’을 하기 위해 교향악 연주회에 간다. ‘연주회’지만 악기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당연히 전문가들이 연주해 줄 거니까.

목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한다면 노래를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침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높은 대리석 건물이 위압적인 데다가 신문에는 박수 치는 것까지 조심해서 하라고 나왔으니 연주회장으로 들어서는 마음은 점점 위축된다.

이 모든 일이 올바른 것일까? 저자는 단연코 아니라고 말한다. 서구 음악문화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수의 참여를 배제하는 쪽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음악이란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해 함께 연주하고 즐기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전통 속에서 스스로 길러온 능력을 발휘해 즉흥적으로 호흡을 맞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저자가 보는 서구 음악문화는 특이하다. 그는 ‘소수의 유능한 사람이 다수의 무능한 사람을 위해 음악을 생산하도록 자격을 부여받은 문화는 토대부터 잘못됐다’고 말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스스로 음악을 만들어 낼 힘을 잃어버렸다는 설명이다.

처음부터 이렇지는 않았다. 19세기 중반 전문 음악가들의 영역 분화가 뚜렷해지면서 아마추어들은 무대에서 사라졌다. 지휘자들의 역할이 뚜렷해진 것도 이때의 일이었다. 귀족의 행사에 맞춰 매번 새로운 곡을 써내던 음악가들은 표준 레퍼토리의 ‘명곡’을 거듭 무대에 올리기 시작했다. 작곡가는 일종의 예언자가 됐고 악보는 성스러운 경전, 이를 해석하는 지휘자는 사제의 위치에 오르게 됐다. 이 결과 오늘날 근대 연주회장에서는 거룩한 작곡가로부터 차례로 지휘자 연주자 청중에 이르는 일방적인 정보소통 체계만이 살아남게 됐다.

그러나 음악적 생산과정에서의 ‘소외’ 현상을 지적하는 저자의 주장은 범주화의 오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음악뿐 아니라 연극 문학 영화 미술 등 모든 문화 장르에 걸쳐 전문 인력그룹의 분화와 일방적 소통은 오늘날 보편화된 현상이 됐으며, 어느 정도의 권력 집중화와 사회 분화를 겪은 다른 문명권에서도 이는 마찬가지다. 전문화가 가져오는 콘텐츠의 발전과 풍요에 대해서도 저자는 부당하게 입을 다물고 있는 듯이 보인다.

19세기 교향악이 당시 시민계급의 ‘승리’ 이데올로기를 반영한다는 저자의 말은 타당하다. 그러나 그 세계관이 ‘폭력적’이라는 저자의 의견에 선뜻 동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듯하다. ‘고전음악의 이상주의적 세계관은 계급 이기주의를 넘어 인류의 보편 이상을 향한 투쟁으로 승화된 데에 그 가치가 있다’는 흔한 분석을 저자는 알지 못했거나 무시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60 122 인문사회 논어 file 박문호 2007.07.13 4963 동양고전연구회 지식산업사 이숙희 2007-07-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9 406 문학예술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file 조수윤 2019.09.26 297 이성낙 눌와 이성낙 2019-10-0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58 106 인문사회 탐라기행 file 관리자 2006.11.15 4237 시바 료타로 학고재 이석봉 대표 2006-11-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7 72 CEO 박정희 file 관리자 2005.06.14 3826 홍하상 국일미디어 이석봉 2005-06-28
256 142 인문사회 조선인 60만 노예가 되다 file 박문호 2008.05.15 5637 주돈식 학고재 이석봉 2008-05-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55 359 인문사회 세상의 끝, 남미 파타고니아 KBS 영상앨범 산 포토 에세이 첫 번째 기록 file 이근완 2017.08.17 300 김석원, 이상은, 이지원 공저 에이디미디 이상은(산악사진가) 2017-08-2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54 34 군주론 file 관리자 2003.09.30 3588 마키아벨리 까치글방 이봉철 박사 2003-11-22
253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300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52 284 영혼의 미술관 file 유화현 2014.04.24 4856 알랭 드 보통 (Alain de Botton) 문학동네 이보경 박사(큐레이터) 2014-05-13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251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7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50 176 세계종교사상사 file 박문호 2009.10.23 6743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학사 이병록 제독 2009-10-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49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8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248 270 조일전쟁 file 유화현 2013.09.26 6328 백지원 진명출판사 이병록 교수 (부산 동명대, 백북스 이사) 2013-10-08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 7시
247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7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246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62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45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8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244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51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243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53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242 74 공병호의 10년 후 세계 2 file 관리자 2005.07.11 3559 공병호 해냄 이규상 2005-07-26
241 86 기독교 죄악사 (상,하) file 관리자 2005.12.21 4017 조찬선 평단문화사 이규금 2006-01-24
240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7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239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4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38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7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37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8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236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45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5 171 인문사회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file 박문호 2009.07.30 6745 굿 소사이어티 지식산업사 윤여준 前환경부장관 2009-08-1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34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9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33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9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32 475 문학예술 불타는 작품 file 조수윤 2023.11.29 637 윤고은 작가 은행나무 윤고은 작가 2023-12-26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31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7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230 37 연금술사 file 관리자 2003.12.16 3797 파울로 코엘료 문학동네 유현숙 2004-01-07
229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5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228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90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7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6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32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225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90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24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1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23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64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22 331 문학예술 베토벤: 불굴의 힘 file 유화현 2016.05.13 1477 필리프 A. 오텍시에 저/박은영 역 시공사 오혁준 (객석 음악평론가) 2016-05-31 클라라하우스 (대전 도룡동) 오후 7시 15분
221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24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