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5.01.31 09:00

뮤지킹 음악하기

조회 수 360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4
저자 크리스토퍼 스몰
출판사 효형출판
발표자 전정임
일자 2005-02-15
<<토론자 소개>> 충남대 음대 전정임 교수

<<책소개>>

이 책에서 저자의 핵심적인 주장은 '음악 music'이란 말을 명사가 아닌 동사로 쓰자는 것, 그리하여 '음악하다 to music'라는 말이나 이 말의 동명사형인 '음악하기 musicking'라는 말이 폭넓게 쓰일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저자는 음악 작품에 대한 지나친 관심 때문에 음악을 마치 고정된 사물처럼 파악해온 서구 근대 음악 문화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을 촉구하며, 나아가 독자에게 연주 행위와 청취 행위를 포함하는 음악 활동 일반에 주목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더불어 저자는 서구 고전음악에 다른 음악들보다 월등한 특권을 부여하는 것은 낯설고 모순된 현상임을 지적하고, 음악 작품을 우선시하는 역사가들과 음악학자들의 잘못된 관행을 비판하며, 이들 문제의 근원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 크리스토퍼 스몰
1927년 뉴질랜드 태생. 웰링턴의 빅토리아 대학에서 동물학과 음악을 전공 뒤 수년동안 교직 생활을 하며 영화음악과 무대음악 분야에서 작곡 활동을 했다. 현직에서 은퇴한 뒤 현재 스페인의 휴양도시 시체스에 살면서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역자: 조선우
가톨릭 대학 신학부 졸업 후 독일 괴팅엔 대학에서 철학(음악학)박사학위 수료. 2004년 현재 동아대학교 음악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민족음악학회의 대표를 맡고 있다.


역자: 최유준
서울대학교 미학과에서 음악이론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동아대학교 학과간 협동과정 음악문화학과 박사과정 수료.





목차

[목차보기]를 클릭하면 이 도서의 목차를 볼 수 있습니다.

전주곡/ 음악과 음악하기

1. 듣는 장소
2. 철저히 현대적인 직업
3. 낯선 사람들과 나누기
간주곡 1/ 제스처 언어

4. 분리된 세계
5. 겸손한 인사
6. 죽은 작곡가 불러내기
간주곡 2/ 모든 예술의 어머니

7. 악보와 파트보
8. 하모니, 천상의 하모니
간주곡 3/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여러 의미들

9. 연극의 기술
10. 관계들의 드라마
11. 질서상
12. 여기서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나?
13. 고독한 피리 연주자

후주곡/ 훌륭한 연주란 무엇인가?







ㆍ미디어 리뷰ㆍ출판사 리뷰

• 미디어 리뷰

"객석-연주자 왜 따로 놀까" | 동아일보 책의 향기 유윤종 기자 | 2004-04-24 |

‘문화 체험’을 하기 위해 교향악 연주회에 간다. ‘연주회’지만 악기를 준비할 필요는 없다. 당연히 전문가들이 연주해 줄 거니까.

목에 대해 신경을 써야 한다면 노래를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침이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해서다. 높은 대리석 건물이 위압적인 데다가 신문에는 박수 치는 것까지 조심해서 하라고 나왔으니 연주회장으로 들어서는 마음은 점점 위축된다.

이 모든 일이 올바른 것일까? 저자는 단연코 아니라고 말한다. 서구 음악문화는 시간이 흐를수록 다수의 참여를 배제하는 쪽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음악이란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해 함께 연주하고 즐기는 것이었다. 사람들은 전통 속에서 스스로 길러온 능력을 발휘해 즉흥적으로 호흡을 맞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저자가 보는 서구 음악문화는 특이하다. 그는 ‘소수의 유능한 사람이 다수의 무능한 사람을 위해 음악을 생산하도록 자격을 부여받은 문화는 토대부터 잘못됐다’고 말한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스스로 음악을 만들어 낼 힘을 잃어버렸다는 설명이다.

처음부터 이렇지는 않았다. 19세기 중반 전문 음악가들의 영역 분화가 뚜렷해지면서 아마추어들은 무대에서 사라졌다. 지휘자들의 역할이 뚜렷해진 것도 이때의 일이었다. 귀족의 행사에 맞춰 매번 새로운 곡을 써내던 음악가들은 표준 레퍼토리의 ‘명곡’을 거듭 무대에 올리기 시작했다. 작곡가는 일종의 예언자가 됐고 악보는 성스러운 경전, 이를 해석하는 지휘자는 사제의 위치에 오르게 됐다. 이 결과 오늘날 근대 연주회장에서는 거룩한 작곡가로부터 차례로 지휘자 연주자 청중에 이르는 일방적인 정보소통 체계만이 살아남게 됐다.

그러나 음악적 생산과정에서의 ‘소외’ 현상을 지적하는 저자의 주장은 범주화의 오류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음악뿐 아니라 연극 문학 영화 미술 등 모든 문화 장르에 걸쳐 전문 인력그룹의 분화와 일방적 소통은 오늘날 보편화된 현상이 됐으며, 어느 정도의 권력 집중화와 사회 분화를 겪은 다른 문명권에서도 이는 마찬가지다. 전문화가 가져오는 콘텐츠의 발전과 풍요에 대해서도 저자는 부당하게 입을 다물고 있는 듯이 보인다.

19세기 교향악이 당시 시민계급의 ‘승리’ 이데올로기를 반영한다는 저자의 말은 타당하다. 그러나 그 세계관이 ‘폭력적’이라는 저자의 의견에 선뜻 동의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듯하다. ‘고전음악의 이상주의적 세계관은 계급 이기주의를 넘어 인류의 보편 이상을 향한 투쟁으로 승화된 데에 그 가치가 있다’는 흔한 분석을 저자는 알지 못했거나 무시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99 117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 별기 file 박문호 2007.05.03 5473 은정희 일지사 박문호 2007-05-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 186 물속의 발자국 5 file 강신철 2010.03.15 7394 이강산 문학과 경계 이강산 시인 2010-03-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7시
197 256 보이지 않는 세계 2 file 이정원 2013.03.06 4611 이강영 휴먼사이언스 이강영 교수 2013-03-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196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19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5 27 선비의 의식구조 file 관리자 2003.07.07 3886 이규태 신원문화사 김갑기 2003-07-22
194 162 고대도시 경주의 탄생 file 박문호 2009.03.12 4748 이기봉 박사 푸른 역사 이기봉 박사 2009-03-24
193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192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5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191 224 윤휴와 침묵의 제국 4 file 강신철 2011.10.12 6272 이덕일 다산초당 이덕일 박사 2011-10-25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190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3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89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3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88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187 423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0] 지구인의 우주공부 file 조수윤 2021.03.24 309 이명현 박사 바다출판사 책밤지기 : 이명현 박사 2021-04-13 이도저도 오후 7:15
186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5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84 406 문학예술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file 조수윤 2019.09.26 293 이성낙 눌와 이성낙 2019-10-0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83 189 경영경제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file 박문호 2010.04.29 6988 이숙경 성우애드컴 김학민 원장 2010-05-11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07호 소강당
182 45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44] 칠드런 액트 file 조수윤 2022.09.29 253 이언 매큐언 한겨레출판 책밤지기 : 정여울 작가 2022-10-11 이도저도 오후 7:15
181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6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80 75 대화 file 관리자 2005.07.26 3706 이영희 한길사 이진석 2005-08-09
179 13 최신유럽연합론 file 관리자 2003.06.21 4223 이원종 해남 2002-12-10
178 342 인문사회 중국을 만들고 일본을 사로잡고 조선을 뒤흔든 책 이야기(삼국지 박사 이은봉의 한중일 삼국지 문화사) file 이근완 2016.11.11 370 이은봉 천년의 상상 이은봉 2016-1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7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5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176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75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4 82 70일간의 음악여행 file 관리자 2005.11.08 3973 이장직 새터 허정인 2005-11-22
173 83 샤갈의 미술세계 file 관리자 2005.11.26 3733 이재흥 100 이재흥 2005-12-13
172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38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71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88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70 94 인문사회 탐독 file 관리자 2006.05.10 4165 이정우 아고라 이정우 2006-05-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9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6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8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09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67 150 신의 입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08.09.10 5576 이종필 마티 이종필 박사 2008-09-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66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65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64 50 노마디즘 file 관리자 2004.06.27 3750 이진경 휴머니스트 이진경 2004-07-27
163 278 삶을 위한 철학수업 file 강신철 2014.02.02 4277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박사 2014-02-10 백북스홀 오후7시
162 245 뻔뻔한 시대, 한 줌의 정치 6 file 김형렬 2012.09.01 4829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교수 2012-09-11 유성도서관 19시
161 334 인문사회 파격의 고전 file 이근완 2016.07.06 544 이진경 문학동네 이진경 2016-07-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60 229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3 file 강신철 2011.12.31 5453 이진호 코드미디어 이진호 2012-01-10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