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5.01.17 09:00

신의 방정식

조회 수 40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3
저자 아미르 D. 액셀
출판사 지호
발표자 박문호 박사
일자 2005-02-01
책소개

우주 어딘가에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형태의 수학이 존재할 수 있을까? 가령, 원주률이 π가 아닌 원이 있다면, 그런 원은 어떤 동그라미일까? 또는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닌 삼각형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런 수학적 의문에서 출발해 물리학과 천문학으로 그려낸 거대한 우주론이다.

1998년 1월, 우리의 우주관은 완전히 변했다. 우주가 우리의 희망과는 다르게 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를 천문학자들이 발견한 것이다. 그해 5월, 전 세계 우주론 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이 모여 계속 논의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하여 80년 전 아인슈타인이 “일생일대의 실수”라며 철회했던 우주상수가 되살아났다. 이 책은 유클리드부터 시작해 뉴턴, 아인슈타인, 그리고 리처드 파인만, 스티븐 호킹까지 이어지는, 수많은 과학자들의 결실의 노고인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전기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 김희봉
연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과학서 전문 번역가로 맹렬하게 활동하고 있다.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우주의 구멍』『숨겨진 질서』『네번째 불연속』『엉뚱하고 우습고 황당하고 짜릿한 과학 이야기』『천재성의 비밀』 등의 책들을 우리말로 옮겼다. 전문 물리학 용어보다는 그 뜻을 쉽게 풀어주는 우리말 표현들로 옮겨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저자 : 아미르 D. 액설
과학 저술가이자 매사추세스 워튼햄 벤트리컬리지의 수학교수이다. 역사적인 사건들을 배경으로 난해한 과학적 개념을 이야기를 풀어내 대중들이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재주꾼이다. 『무한의 신비』『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등으로 많은 과학 독자들의 확보하고 있는 과학전문 작가이다. 그의 저서들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중국, 스페인 등 전 세계에서 출간되었다.


* 출판사 리뷰

“엄청난 실수”가 아니라 우주의 운명을 설명하는 방정식이었다니...

1912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우주의 구조를 설명하는 마당 방정식을 찾아냈다. 그러나 그 자신도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최근의 이론과 관측 결과들은 우주가 단지 팽창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은 우주가 서서히 안으로 붕괴될 것인지, 적당한 크기까지 팽창한 후 그 상태로 머물 것인지, 또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지에 대해 논쟁해왔다. 거대한 초신성을 연구한 결과,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이라는 이론이 현재로서는 맞는 것처럼 보여 모두를 놀라게 하고 있다. 이 팽창의 문제는 이른바 “우주상수” 속에 놓여 있는데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마당 방정식에서 보여진 개념이다. 아인슈타인 자신은 “우주상수”가 자신의 가장 큰 실수라고 말했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이른바 “웃기는 에너지funny energy”가 우주를 계속해서 밀어내고 있는 이 상황을 잘 설명하는 열쇠로 여기고 있다.

왜 아인슈타인은 “우주상수”를 빼버렸을까?
간단히 말하면 아인슈타인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는 은하는 맹렬한 속도로 무한을 향해 멀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우리은하가 우주에 있는 유일한 은하인 줄로만 알고 있었다. 이는 1917년까지 우리말고도 별개의 은하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빚어진 오해다.

“마당 방정식”은 누가 맨 처음 풀었을까?
이 마당 방정식의 해는 이 이론이 완성되기도 전인 제1차대전에 참전중이던 군인이 풀었다. 1916년 독일의 천체물리학자인 칼 슈바르츠쉴트Karl Schwarzschild는 동부전선의 참호에서 러시아군과 대치하면서 아인슈타인의 논문과 방정식을 읽고 그것을 풀어냈다. 그는 해를 베를린에 있는 아인슈타인에게 우편으로 보냈는데, 참전중인 그를 대신하여 아인슈타인이 1월 16일 학술원에서 대신 발표했다. 슈바르츠쉴트는 전선에서 병에 걸려 5월 11일에 죽었다.

우주는 단지 팽창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점점 더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액설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마당 방정식을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뿐 아니라 수학, 천문학의 역사적 관점으로도 설명한다. 아인슈타인이 그의 이론에서 중력개념을 제외하고 사고하기 시작했을때, 그의 이론이 빛과 특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신했다. 무거운 물체를 떠난 빛은 빨강치우침 한다는 것, 그리고 이 파장은 더 길어진다는 것이다. 공간은 휘어있고, 그 곡률은 비유클리드 기하로 묘사될 수 있다. 비유클리드 기하는 유클리드의 다섯번째 공준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이 다섯번째 공준을 증명하기 위해 수학자들은 지난 2천년 동안 노력해왔고 결국 증명할 수 없는 가정으로 판단내렸다. 비유클리드 기하는 이 가정에서부터 출발한다.

공간의 휘어짐과 이것이 빛에 미치는 효과는 상대성 이론의 검증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예를 들어 일식 때 지구의 관점에서 태양 가까이에 있는 별의 위치는 태양의 위치가 다를 때 보이는 별의 위치와 다르게 보인다. 빛이 휜다는 것이다.

1919년의 개기일식때 영국의 아서 에딩턴이 이끄는 원정대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검증되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옮음을 보여주었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이론속에 함의된 우주적 의미, 특히 우주가 팽창, 수축, 현상태유지중 어느 것일지를 고민했다. 아인슈타인은 스스로 우주상수가 자신의 가장 큰 실수라고 말했지만 현재의 과학자들은 현재의 우주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우주상수가 꼭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1 286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file 유화현 2014.05.30 5218 강명관 천년의 상상 강명관 교수(저자) 2014-06-10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400 17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file 관리자 2003.06.21 4416 한국역사연구 청년사 2003-02-25
399 108 자연과학 조상이야기 file 관리자 2006.10.25 4819 리처드 도킨스 까치글방 송윤호 회원 2006-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98 226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3 file 강신철 2011.11.10 5839 정재승, 진중권 웅진지식하우스 진중권 2011-11-17 중구문화원 오후 7시
397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7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396 52 정약용과 그의 형제들 1,2권 file 관리자 2004.07.29 3827 이덕일 김영사 임해경 2004-08-24
395 320 자연과학 정신병을 만드는 사람들- 한 정신 의학자의 정신병 산업에 대한 경고 3 file 이근완 2015.11.25 1604 앨런 프랜시스 (지은이),김명남 (옮긴이) 사이언스북스 송민령(KAIST 바이오 및 뇌공학 박사과정) 2015-12-08 탄방동 엘리먼트랩 카페 2층(백북스홀 뒷골목 20m거리) 저녁 19시 15분
394 19 정상에서 만납시다 file 관리자 2003.06.21 4108 지그 지글러 산수야 강신철 교수 2003-03-25
393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7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392 26 적극적 사고방식 1 file 관리자 2003.06.27 4104 노먼빈센트필 세종서적 기영석 교수 2003-07-08
391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4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390 48 재미있는 통계이야기 file 관리자 2004.06.09 4206 더렐 허프 청아출판사 권세혁 2004-06-22
389 15 장쩌민 file 관리자 2003.06.21 3802 브루스 질리 한국경제신문 2003-01-21
388 355 문학예술 작은 집 1 file 이근완 2017.06.21 281 르 코르뷔지에(건축가) 저 이관석 역 열화당 김억중(한남대학교 교수) 2017-06-27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7 281 자아폭발 - 타락 file 유화현 2014.03.15 6057 스티브 테일러(Steve Taylor) 다른세상 이병록 교수님(동명대) 2014-03-25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386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43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385 68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관리자 2005.04.13 4131 임해경 ETRI 강당 임해경 2005-04-26
384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5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383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2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7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381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32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380 261 인류의 발자국 1 file 이정원 2013.05.17 4275 앤터니 페나 삼천리 고원용 박사 2013-05-28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379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5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8 95 인문사회 인간본성에 대하여 file 관리자 2006.05.21 4182 에드워드 윌슨 사이언스북스 이진석 2006-06-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7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20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76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7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5 221 이준연 아동문학 50년 2 file 강신철 2011.08.31 6089 이은하 국학자료원 이은하 교수 2011-09-15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374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8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373 45 이브의 일곱 딸들 file 관리자 2004.04.21 3874 브라이언 싸이키스 따님 정완식 교수 2004-05-12
372 132 이보디보 : 생명의 블랙박스를 열다 file 박문호 2007.12.12 5128 션 캐럴 지호 황보영 회원 2007-12-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71 243 이방인 6 file 관리자 2012.07.29 5524 알베르 카뮈 민음사 강현욱 작가 2012-08-07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370 343 문학예술 이반 일리치의 죽음 file 이근완 2016.11.25 590 레프 톨스토이(소설가) 저/ | 박은정 역 웅진씽크빅 최나경 플룻티스트 2016-1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9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8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68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7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67 110 인문사회 이머전스 file 관리자 2007.01.10 4824 스티븐 존슨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07-0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6 121 문학예술 이것이 한국화다 file 박문호 2007.07.02 4646 류병학 아트북스 이종상 2007-07-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5 58 의식혁명 file 관리자 2004.11.10 3903 데이비드 호킨스 저/이종수 역 한문화 강신철 2004-11-23
364 101 자연과학 의식의 탐구 file 관리자 2006.08.24 4866 크리스토프 코흐 시그마프레스 박문호 2006-09-1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3 149 인문사회 의미의 논리 file 박문호 2008.08.27 5469 이정우 한길사 이정우 박사 2008-09-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62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7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