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5.01.17 09:00

신의 방정식

조회 수 403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3
저자 아미르 D. 액셀
출판사 지호
발표자 박문호 박사
일자 2005-02-01
책소개

우주 어딘가에 우리가 알고 있는 것과 다른 형태의 수학이 존재할 수 있을까? 가령, 원주률이 π가 아닌 원이 있다면, 그런 원은 어떤 동그라미일까? 또는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닌 삼각형이 존재할 수 있을까? 이 책은 이런 수학적 의문에서 출발해 물리학과 천문학으로 그려낸 거대한 우주론이다.

1998년 1월, 우리의 우주관은 완전히 변했다. 우주가 우리의 희망과는 다르게 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다는 증거를 천문학자들이 발견한 것이다. 그해 5월, 전 세계 우주론 학자들과 천문학자들이 모여 계속 논의했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이렇게 하여 80년 전 아인슈타인이 “일생일대의 실수”라며 철회했던 우주상수가 되살아났다. 이 책은 유클리드부터 시작해 뉴턴, 아인슈타인, 그리고 리처드 파인만, 스티븐 호킹까지 이어지는, 수많은 과학자들의 결실의 노고인 “일반 상대성 이론”에 대한 전기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역자 : 김희봉
연세대학교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물리학을 전공했다. 과학서 전문 번역가로 맹렬하게 활동하고 있다. 『파인만 씨 농담도 잘하시네』『우주의 구멍』『숨겨진 질서』『네번째 불연속』『엉뚱하고 우습고 황당하고 짜릿한 과학 이야기』『천재성의 비밀』 등의 책들을 우리말로 옮겼다. 전문 물리학 용어보다는 그 뜻을 쉽게 풀어주는 우리말 표현들로 옮겨 독자들의 이해를 도왔다.


저자 : 아미르 D. 액설
과학 저술가이자 매사추세스 워튼햄 벤트리컬리지의 수학교수이다. 역사적인 사건들을 배경으로 난해한 과학적 개념을 이야기를 풀어내 대중들이 흥미진진하게 읽을 수 있도록 하는 재주꾼이다. 『무한의 신비』『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등으로 많은 과학 독자들의 확보하고 있는 과학전문 작가이다. 그의 저서들은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중국, 스페인 등 전 세계에서 출간되었다.


* 출판사 리뷰

“엄청난 실수”가 아니라 우주의 운명을 설명하는 방정식이었다니...

1912년,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우주의 구조를 설명하는 마당 방정식을 찾아냈다. 그러나 그 자신도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최근의 이론과 관측 결과들은 우주가 단지 팽창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점점 더 빠르게 팽창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수십 년 동안, 과학자들은 우주가 서서히 안으로 붕괴될 것인지, 적당한 크기까지 팽창한 후 그 상태로 머물 것인지, 또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지에 대해 논쟁해왔다. 거대한 초신성을 연구한 결과,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이라는 이론이 현재로서는 맞는 것처럼 보여 모두를 놀라게 하고 있다. 이 팽창의 문제는 이른바 “우주상수” 속에 놓여 있는데 이것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마당 방정식에서 보여진 개념이다. 아인슈타인 자신은 “우주상수”가 자신의 가장 큰 실수라고 말했지만, 많은 과학자들은 이른바 “웃기는 에너지funny energy”가 우주를 계속해서 밀어내고 있는 이 상황을 잘 설명하는 열쇠로 여기고 있다.

왜 아인슈타인은 “우주상수”를 빼버렸을까?
간단히 말하면 아인슈타인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사실을 몰랐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는 은하는 맹렬한 속도로 무한을 향해 멀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은 우리은하가 우주에 있는 유일한 은하인 줄로만 알고 있었다. 이는 1917년까지 우리말고도 별개의 은하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빚어진 오해다.

“마당 방정식”은 누가 맨 처음 풀었을까?
이 마당 방정식의 해는 이 이론이 완성되기도 전인 제1차대전에 참전중이던 군인이 풀었다. 1916년 독일의 천체물리학자인 칼 슈바르츠쉴트Karl Schwarzschild는 동부전선의 참호에서 러시아군과 대치하면서 아인슈타인의 논문과 방정식을 읽고 그것을 풀어냈다. 그는 해를 베를린에 있는 아인슈타인에게 우편으로 보냈는데, 참전중인 그를 대신하여 아인슈타인이 1월 16일 학술원에서 대신 발표했다. 슈바르츠쉴트는 전선에서 병에 걸려 5월 11일에 죽었다.

우주는 단지 팽창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점점 더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액설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이론의 마당 방정식을 현대 물리학의 관점에서 뿐 아니라 수학, 천문학의 역사적 관점으로도 설명한다. 아인슈타인이 그의 이론에서 중력개념을 제외하고 사고하기 시작했을때, 그의 이론이 빛과 특정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신했다. 무거운 물체를 떠난 빛은 빨강치우침 한다는 것, 그리고 이 파장은 더 길어진다는 것이다. 공간은 휘어있고, 그 곡률은 비유클리드 기하로 묘사될 수 있다. 비유클리드 기하는 유클리드의 다섯번째 공준으로부터 도출된 것이다. 이 다섯번째 공준을 증명하기 위해 수학자들은 지난 2천년 동안 노력해왔고 결국 증명할 수 없는 가정으로 판단내렸다. 비유클리드 기하는 이 가정에서부터 출발한다.

공간의 휘어짐과 이것이 빛에 미치는 효과는 상대성 이론의 검증에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예를 들어 일식 때 지구의 관점에서 태양 가까이에 있는 별의 위치는 태양의 위치가 다를 때 보이는 별의 위치와 다르게 보인다. 빛이 휜다는 것이다.

1919년의 개기일식때 영국의 아서 에딩턴이 이끄는 원정대에 의해 이러한 현상이 검증되어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이 옮음을 보여주었다. 아인슈타인은 자신의 이론속에 함의된 우주적 의미, 특히 우주가 팽창, 수축, 현상태유지중 어느 것일지를 고민했다. 아인슈타인은 스스로 우주상수가 자신의 가장 큰 실수라고 말했지만 현재의 과학자들은 현재의 우주상태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우주상수가 꼭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21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20 315 인문사회 수학의 언어(안 보이는 것을 보이게 하는 수학) file 이근완 2015.09.11 1643 케이스 데블린 해나무 한빛찬 원장(레드스쿨 석좌코치) 2015-09-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9 316 문학예술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 file 이근완 2015.09.24 1672 정승구 아카넷 정승구(영화감독) 2015-10-1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8 317 인문사회 대통령의 글쓰기 1 file 이근완 2015.10.19 1537 강원국 메디치미디어 강원국(前 대통령비서실 연설비서관) 2015-10-27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7 318 문학예술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file 이근완 2015.10.28 1473 전진성 천년의 상상 전진성(부산교육대 사회학과 교수) 2015-11-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6 319 자연과학 공생 멸종 진화 (생명 탄생의 24가지 결정적 장면) file 이근완 2015.11.11 1540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나무,나무 이정모(서대문자연사박물관장) 2015-11-2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5 321 경영경제 에너지 혁명 2030 file 유화현 2015.12.14 1564 토니 세바 교보문고 현영석 교수님 2015-12-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4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3 323 문학예술 풀꽃 나태주 시선집 file 이근완 2016.01.14 1677 나태주 지혜 나태주 2016-01-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2 324 자연과학 사피엔스(유인원에서 사이보그까지, 인간 역사의 대담하고 위대한 질문) file 이근완 2016.01.29 1596 유발 하라리 김영사 고원용 박사 2016-02-1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1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05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0 326 문학예술 단순한 기쁨 file 이근완 2016.02.26 1587 아베 피에르(신부) 마음산책 이충무(건양대 디지털콘텐츠학과 교수) 2016-03-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9 327 자연과학 외계생명체 탐사기 file 이근완 2016.03.09 1359 이명현, 문경수, 이유경 외 2명 저 서해문집 공저자 문경수 2016-03-2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8 328 인문사회 상식철학으로 읽는 인류문명과 한국 사회 현실(김의수 교수의 철학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3.24 1543 김의수 (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서광사 김의수(전북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2016-04-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7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3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6 330 문학예술 그림이 된 여인 file 이근완 2016.04.28 1320 허나영(미술평론가) 은행나무 허나영(미술평론가) 2016-05-10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5 332 자연과학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file 이근완 2016.06.02 980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동아시아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2016-06-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4 42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8] 페르세폴리스 file 조수윤 2021.03.03 265 마르잔 사트라피 휴머니스트 책밤지기 : 김태형 2021-03-09 대전 대흥동 가까운책방 오후 7:15
3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4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2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14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1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6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