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4.11.23 09:00

생활의 발견

조회 수 37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60
저자 임어당
출판사 홍신문화사
발표자 김정렬
일자 2004-12-28
쇼펜하우어는 "책은 작가의 에센스"라고 했다. 그래서 실제로 만나서 교제하는 것보다 그 사람이 쓴 책을 읽는 것이 더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는다고. 또 정신 수준이 높은 사람은 인간에 대한 흥미가 아니라 책에 대한 흥미의 경지로 나아간다고 주장한다. 그는 참 독특하면서 파격적이고 멋지기도 하지만, 어떻게 보면 고집스럽고 바보처럼 느껴진다. 반면 임어당은 파격적이지 않지만 멋있다. 고집스러운 면도 없다. 편하다. 임어당은 1976년에 죽었지만, 그의 글은 이렇게 살아 숨쉬며 1996년 봄에 나와 이야기를 나눈다. 책에서 그 사람의 인격이라는 향기를 느끼는 것은 언제나 기쁘고 환상적인 체험이다. 임어당. 중국 작가로 문명비평가로 동양과 서양의 문화를 흡수하여 자신의 독특한 사상 체계를 구축한 세계적인 석학이다. 이 중국인은 그 성장과정이 특이하다. 중국 복건성에서 태어나, 목사인 아버지 밑에서 엄격한 기독교 교육을 받고, 신학대학에 다녔지만 곧 기독교에 회의를 느껴 이교도(?)가 되고, 미국 하버드와 독일 라이프치히 대학에서 언어학을 전공, 중국으로 귀국하여 한동안 북경대학 교수를 지냈다.

그는 중국에서 자랐지만 기독교 사상(서양 철학과 사상)을 강요받았다. 그러나 곧 중국 철학(동양 사상)을 받아들여 동양과 서양의 문화를 비교하면서 기독교 사상을 바탕으로 한 서구 문화를 반박하기에 이른다. 저술활동은 주로 미국에서 했으며, 영어로 쓴 서적과 중국어로 쓴 서적이 있다. 이 책 <생활의 발견The Importance of Living>은 영어로 쓰여진 것으로, 그의 사상을 요약한 책이라 할 수 있다. 미국에서 처음 출판되어 서구인들의 필독서가 되어 버렸고 현재는 세계 곳곳에 번역되어 읽혀지고 있다. 작가는 이 책의 머리말에서 "나는 철학의 객관성이라는 것을 경멸하는 쪽이다. 객관적 진리보다 사물에 대한 견해나 사고방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한다. 또 이 책을 스스로 '서정철학'이라고 부르고 싶지만 너무 훌륭하게 내세운 이름인 것 같고 독자들이 지나치게 기대할 것 같아 포기했다고 한다.

이 책은 읽기 어려운 철학책이나 웅대한 사상서와는 다르다. 평범한 산문이다. 추상적인 말로 거창하게 진리를 말하지 않고, 구체적인 말로 겸손하고 솔직하게 평범한 삶과 위대한 자연을 찬미한다. 그래서 임어당은 자신의 철학을 "진리를 알기 위해서보다는 인생을 알기 위해 애쓰는 철학"이라고 말한다. 제목인 "생활의 발견The Importance of Living"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은 사소한 일상 생활을 즐기고 여유를 갖는 것이 참다운 인생이라 한다. 그래서 제9장 생활의 즐거움에서는 술과 담배 예찬론을 벌이기도 한다. 난 담배를 피우지는 않지만, 그의 담배 예찬론은 재미있게 읽었다. "인생이란 궁극적으로 먹고, 자고, 친구들과 만났다 헤어지고, 울고, 웃고, 2주일에 한 번 이발하"는 것이지, "인생현상에 관한 우리의 생각을 일종의 아카데믹한 헛소리로 꾸며대는 것은" 공허하다고 주장한다. 괜히 이성적인 인간인양 하지 말고 솔직하게 동물적 성격이 있음을 인정하고, 자를 재듯 살지 말며 인생을 즐기고 여유와 유머를 즐기라고 충고한다. 가정, 생활, 자연, 교양 등에서 즐거움을 찾는 작가의 솔직하고 담백한 인생론은 유머와 정감이 넘치는 문체로 표현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상서라기보다는 재미있는 수필처럼 느껴진다. 그는 자연과 인생과 사람과 여유와 생활을 사랑한다. 이런 임어당의 생각은 중국 철학이 바탕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서양의 논리(論理)보다 동양의 정리(情理)를 강조한다.

나의 세계관이나 인생관은 임어당과 비슷한 편이다. 서양 철학보다는 동양 철학을 사랑한다. 천국이니, 지옥이니, 신이니, 도사(道士)니, 득도(得道)니 하는 따위에는 그다지 관심이 없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살면 그뿐이다. 남이 알아주건 말건 상관없다. 내가 좋으면 그만이다. 이 글을 누가 읽건, 읽지 않건 상관없다. 내가 좋아서 쓰는 글이고, 누가 읽어서 도움이 되었다면 그것은 내게 2차적인 즐거움이다. 1차적인 즐거움은 지금 이 글을 쓰고 있다는 것에 있다. 임어당은 독서에 대해서 아주 평범하지만 중요한 말들을 했다. 반드시 읽어야 하는 책도, 세상에 누구나 읽어야 하는 책도 없으며 읽고 싶은 책을 읽고, 읽기 싫은 책은 다른 사람이 읽도록 내버려두며, 좋아하는 작가를 발견하는 일은 지적 발전에 있어서 의미 있는 일이며, 마음이 내키면 장소와 때에 상관없이 읽는 것이 진정한 독서법이라, 한다. 이 책은 내 인생의 책이다. 임어당이 썼지만, 그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이 책에서 다했다. 좋은 책이다. 추천하고 싶다. 이 글을 읽고 있는 그대 인생의 책이 될지도 모른다.


발표하실 분은 김정렬씨이시고, 독서토론회에 오셨던 분이고, 주부독서회의 전회장이시기도 하십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80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9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8 403 자연과학 욕망이 멈추는 곳, 라오스 file 조수윤 2019.08.21 274 오소희 북하우스 김현옥(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7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7 404 자연과학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file 조수윤 2019.08.28 261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이음 전치형(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2019-09-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76 405 문학예술 Paint it Rock file 관리자 2019.09.12 320 남무성 북폴리오 김용석 2019-09-2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5 406 문학예술 초상화, 그려진 선비정신 file 조수윤 2019.09.26 293 이성낙 눌와 이성낙 2019-10-0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4 407 자연과학 인간 지성의 최후의 보루 (COMER 매거진) file 관리자 2019.10.21 209 이정원 패스트캠퍼스 이정원 2019-10-2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3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28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2 409 자연과학 우주날씨 이야기 file 조수윤 2019.11.13 272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플루토 황정아(한국천문연구원 책인연구원) 2019-11-26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1 410 인문사회 수집가의 철학 file 조수윤 2019.11.27 373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천년의상상 이병철(여주시립 폰박물관장) 2019-12-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70 411 자연과학 과학의 품격 1 file 조수윤 2019.12.31 493 강양구 기자 사이언스북스 강양구 기자 2020-0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9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8 413 문학예술 노인과 바다 2 file 조수윤 2020.10.28 299 어니스트 헤밍웨이 민음사 이정원(대전 백북스) 2020-11-10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67 41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 나는 당신들의 아랫사람이 아닙니다 1 file 조수윤 2020.11.12 350 배윤민정 푸른숲 책밤지기 : 김호 2020-11-24 대전 탄방동 엘리먼트랩 오후 7:15
66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4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65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2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64 41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4] 향모를 땋으며 1 file 조수윤 2020.12.23 278 로빈 월 키머러 에이도스 책밤지기 : 이정모(국립과천과학관장) 2021-01-12 이도저도 오후 7:15
63 418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file 조수윤 2021.01.13 272 이토 아사 현암사 책밤지기 : 김초엽 작가 2021-01-26 이도저도 오후 7:15
62 41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6] 건지 감자껍질파이 북클럽 file 조수윤 2021.01.27 259 메리 앤 섀퍼, 애니 배로스 이덴슬리벨 책밤지기 : 전원경(세종사이버대 휴머니티칼리지 교수) 2021-02-09 이도저도 오후 7:15
61 42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7] 사람, 장소, 환대 file 조수윤 2021.02.10 304 김현경 문학과지성사 책밤지기 : 김겨울 2021-02-23 이도저도 오후 7:15
60 421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8] 페르세폴리스 file 조수윤 2021.03.03 264 마르잔 사트라피 휴머니스트 책밤지기 : 김태형 2021-03-09 대전 대흥동 가까운책방 오후 7:15
59 422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9] 내 이름은 빨강 1~2권 file 조수윤 2021.03.11 314 오르한 파묵 민음사 책밤지기 : 장은수 2021-03-23 이도저도 오후 7:15
58 423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0] 지구인의 우주공부 file 조수윤 2021.03.24 309 이명현 박사 바다출판사 책밤지기 : 이명현 박사 2021-04-13 이도저도 오후 7:15
57 42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1] 사라진, 버려진, 남겨진 file 조수윤 2021.04.14 222 구정은 후마니타스 책밤지기 : 정혜승 2021-04-27 이도저도 오후 7:15
56 42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12] 대화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5.04 284 시어도어 젤딘 어크로스 책밤지기 : 윤성원(프로젝트 썸원) 2021-05-11 이도저도 오후 7:15
55 42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3] 이제 당신의 손을 보여줘요 file 조수윤 2021.05.17 250 알렉상드르 타로 풍월당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5-25 이도저도 오후 7:15
54 427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4] 무너지지 않기 위하여 file 조수윤 2021.05.28 351 유제프 차프스키 밤의책 책밤지기 : 최성은(풍월당 실장) 2021-06-08 이도저도 오후 7:15
53 428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5] 실험실의 진화 file 조수윤 2021.06.10 336 홍성욱 김영사 책밤지기 : 홍성욱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장) 2021-06-22 이도저도 오후 7:15
52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481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51 430 기타 [백북스시즌2 책밤17] 깊은 바다, 프리다이버 file 조수윤 2021.07.14 388 제임스 네스터 글항아리 책밤지기 : 박태근 (前 알라딘 MD) 2021-08-24 이도저도 오후 7:15
50 431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8] 시간과 물에 대하여 file 조수윤 2021.08.25 252 안드리 스나이르 마그나손 북하우스 책밤지기 : 윤고은 작가 2021-09-14 이도저도 오후 7:15
49 432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19] 우주에서 가장 작은 빛 file 조수윤 2021.09.24 256 사라 시거 세종서적 책밤지기 : 이정원(백북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09-28 이도저도 오후 7:15
48 433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0] 모스크바의 신사 1 file 조수윤 2021.10.05 297 에이모 토울스 현대문학 책밤지기 : 최진영(과학과 사람들 대표) 2021-10-12 이도저도 오후 7:15
47 434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1] 슬픈 불멸주의자 file 조수윤 2021.10.18 253 셀던 솔로몬, 제프 그린버그, 톰 피진스키 흐름출판 책밤지기 : 천관율(시사IN 기자) 2021-10-26 이도저도 오후 7:15
46 435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2] 당신과 지구와 우주 file 조수윤 2021.10.27 687 크리스토퍼 포터 까치 책밤지기 :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1-11-09 이도저도 오후 7:15
45 436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주년] 쫌 이상한 사람들 file 조수윤 2021.11.16 478 미겔 탕코 문학동네 한빛찬, 임석희, 박정애, 조수윤, 이정원, 이주영, 백정민, 박순필, 김홍섭, 태병권 2021-11-23 대전 신성동 책방 이도저도 오후 7:15
44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299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43 438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25] 돈키호테 1~2권 file 조수윤 2021.12.20 328 미구엘 드 세르반테스 시공사 책밤지기 : 이상혁 헤드헌터 2021-12-28 이도저도 오후 7:15
42 439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6]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file 조수윤 2022.01.03 276 오후 동아시아 책밤지기 : 이강환 2022-01-11 이도저도 오후 7:15
41 440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7] 스토리텔링의 비밀 file 조수윤 2022.01.19 274 마이클 티어노 아우라 책밤지기 : 김용석 2022-01-25 이도저도 오후 7:1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