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4.09.07 09:00

말하기의 다른 방법

조회 수 36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5
저자 존 버거
출판사 눈빛 출판사
발표자 임민수
일자 2004-10-12
사진작가를 모시고 사진의 세계를 산책하고자 합니다. 사진의 거장들이 보여주는 철학세계는 다른 것 같으면서도 우리의 사고에 가까이 접근한다고 하는 "절정의 상통"을 맛볼 수 있는 명저입니다. 이번 답사여행에는 카메라를 꼭 가지고 가셔서 생각이 담긴 사진을 한장 찍어보는 것도 별미일 것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 책은 현재 절판되었고 토론자가 가지고 있는 책을 텍스트 부분만 복사해서 회원들에게 나누어드리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토론회에 오시면 드리겠습니다.

<<책소개>>

이 책은 미술 비평가 존 버거와 사진가 장 모르가 공동으로 낸 네 번째 책이다. 그들은 이 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사진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사진은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사진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이 책은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선 장 모르가 사진가로서 직접 체험한 것을 글로 옮겼다. 그는 한 장의 사진이 보는 이에 따라 얼마나 모호하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한 장의 사진은 사진 찍는 사람, 찍히는 사람, 보는 사람, 이용하는 사람의 관심이 제각각 어우러져서 때로는 모순을 빚어내기도 하는 만남의 자리라는 것이다.
2부의 에세이에서는 사진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도하고 있다. 제대로된 이론이라면 경험적이거나 미학적인 차원을 넘어, 눈앞에 나타나는 모습, 그 자체의 의미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입장에서 전개한 글이다.
3부에는 아무 설명 없는 150장의 사진이 실려 있다.
4부에서는 3부에서 이야기하려 했던 방식에 내재된 이론적 함의들을 몇 가지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의 아주 짧은 부분은 농부들의 한평생에 걸친 노동을 다시 되돌아보는 자리이다.


“그림과 사진의 차이를 보면 ‘흔적’이 어떤 건지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림은 번역이다. ... 그림에선 하나의 형상이 나타날 때마다 그 주위의 모든 것이 직관적이건 체계적인 벌써 의식의 중재를 거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림에서는 사과가 둥근 구형으로 ‘만들어진다’면, 사진에서는 사과의 둥금과 빛, 그림자가 하나의 주어진 그대로 받아들여진다.”

“가령 지난 19세기에 유럽의 여행자, 군인, 식민지 관리, 모험가 들은 원주민들과 그들의 관습, 건축물, 부와 가난, 여자들 가슴, 머리장식 따위를 사진에 담았다. 이런 사진들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을 뿐 아니라 제국주의적인 세계분할의 정당성을 입증시키는 증거로서 제시되고 그렇게 읽혀졌다.”

“한 장의 사진이 과학적인 용도로 쓰일 때 사진에 나타난 뚜렷한 증거는 결론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 사진은 어떤 연구의 개념틀 속에서 정보를 제공한다. 그것은 빠져 있는 미세한 부분을 알려준다. 사진이 통제 체계에서 쓰일 때 사진에 나타난 증거는 신분을 확인하고 증명하는 데 국한되어 사용된다. 그렇지만 사진이 표현수단으로 쓰이는 순간부터 그것은 살아있는 체험의 본질과 관련을 맺게 되며 따라서 진실은 한결 복잡해진다.”

“카메라는 1839년 발명되었다. 오귀스트 콩트는 당시 막 [실증철학강의]를 완성했다. 실증주의와 사회학 그리고 카메라는 함께 자랐다. 이들을 떠받치고 있던 것은 과학자와 전문가에 의해 기록된 관찰 가능하고 수량화된 사실들이 언젠가 인간에게 자연과 사회에 대한 모든 지식을 주어 인간이 이 둘을 관리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었다.”


<<토론자 소개>> 임민수(1971년생)

중앙대 대학원 사진학과 졸업
“수많은 '나'들: 시선의 권력”
"서울생활의 재발견" - 공공적으로 기억되는 역사와 개인의 기억
"동학사“

임민수에게는 ‘나’를 만들어준 전통이 못마땅한 모양이다. 냉정하게 말해서 ‘나’와는 상관없는 전통이라는 것이 마치 어느날 갑자기 시골에서 올라와서 친척임을 내세우는 이상한 아저씨처럼 ‘나’의 공간 속에 들어와 앉아 있는 그 모습이 싫은 거다. 그래서 그는 전통을 시각화하는 그 장치들, 박물관, 초상, 역사화 같은 것들을 존경의 눈이 아니라 그저 사진가의 눈으로 보고 있다. 이건 기아와 질병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내전의 참상을 찍고 있는 외신기자의 눈이다. 마치 에스키모 박물관을 보는 관광객의 눈처럼 무감동적이고 무상관적인 눈이다. 여기서 상상계가 발동할 여지란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있다. 임민수의 시선이 하도 전통에 정나미 떨어져 하니까 보는 사람으로서는 재미있는 것이다. 제발 동일시 좀 해달라고 끈적거리고 달라붙는 그 전통을 걷어 차내듯이 바라보는 그 시선이 재미있다. 그 와중에서 사라지는 ‘나’를 보는 것도. 전통 자체는 허구는 아니다. 그런 것들은 실제로 존재했었고 그것들은 위대했었다. 그런데 현재의 왜소하고 바쁘며, 인터넷을 써서 살아가는 ‘나’와는 상관이 없다. 임민수의 사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은 ‘나’ 안에 살아 있다고 하는 믿음에 대해서 끼얹는 찬물이다.

- 이영준, [수많은 ‘나’들 : 시선의 권력] 전시 서문 중에서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81 429 문학예술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file 조수윤 2021.06.23 39503 전성원 뜨란 책밤지기 : 전성원 (황해문화 편집장) 2021-07-13 이도저도 오후 7:15
480 70 아내를 모자로 착각한 남자 관리자 2005.05.06 26895 올리버 색스 살림터 박문호 2005-05-24
479 61 사랑을 위한 과학 file 관리자 2004.11.25 26884 토머스 루이스,패리 애미니 등저 사이언스 북스 오대곤 2005-01-11
478 239 현대예술 (형이상학적 해명) 7 file 한빛찬 2012.05.29 24461 조중걸 지혜정원 조중걸 2012-06-12 대전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저녁7시
477 211 길들은 다 일가 친척이다 5 file 박문호 2011.03.26 13781 함민복 현대문학 함민복 시인 2011-04-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저녁 7시
476 207 위대한 설계 file 박문호 2011.01.27 13046 스티븐 호킹 까치 국가 핵융합연구소 이경수 소장 2011-02-08 대전 유성구 가정동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75 210 소립자를 찾아서 file 박문호 2011.03.17 11288 네이만 미래사 박문호 박사 2011-03-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74 209 허허당 - 비고 빈 집 6 file 강신철 2011.02.23 11256 허허당 스님 고인돌 허허당 스님 2011-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73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2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72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71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70 206 녹색융합비즈니스 file 박문호 2011.01.15 9628 차원용 아스펙 차원용 박사 2011-01-25 전자통신연구원 1동 소강당 오후 7시
469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7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8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6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67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466 212 애착장애로서의 중독 file 강신철 2011.04.20 9042 필립 플로레스 저, 김갑중 박춘삼 역 NUN 김갑중 원장 2011-04-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후 7시
465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8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4 182 저항의 인문학 file 강신철 2010.01.13 8761 Edward W. Said 마티 신명식 공동대표 2010-01-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463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6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62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3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61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7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60 213 호모 코뮤니타스 4 file 강신철 2011.04.28 8441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1-05-11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7시
459 181 경성, 사진에 박히다 file 박문호 2009.12.26 8420 이경민 산책자 이경민 작가 2010-01-1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58 215 세종처럼 - 소통과 헌신의 리더십 2 file 강신철 2011.05.25 8391 박현모 미다스북스 현영석 교수 2011-06-14 유성도서관 오후 7시
457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56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455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2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454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453 216 공론장의 구조변동 file 강신철 2011.06.18 8158 위르겐 하버마스 나남 김준기 대전시립미술관 학예실장 2011-06-2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52 201 생태페다고지 2 file 강신철 2010.10.25 8140 우석훈 개마고원 우석훈 교수 2010-11-09 유성도서관 오후 7시
451 178 기억을 찾아서 2 file 박문호 2009.11.13 7993 에릭 캔델 랜덤하우스 김갑중 원장 2009-11-24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50 199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4 file 강신철 2010.09.29 7963 한창훈 문학동네 한창훈 소설가 2010-10-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시
449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4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448 220 김탁환 쉐이크 - 영혼을 흔드는 스토리텔링 1 file 강신철 2011.08.10 7904 김탁환 다산북스 김탁환 소설가 2011-08-30 유성도서관 3층 강당 오후7시
447 217 청춘에게 안부를 묻다 2 file 강신철 2011.06.29 7708 김조년 바이북스 김조년 교수 2011-07-12 유성도서관 오후 7시
446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6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45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444 180 진화경제학 4 file 박문호 2009.12.14 7476 마이클셔머 한국경제신문 주명진 원장 2009-12-22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443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8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442 175 나는 문학이다 file 박문호 2009.10.01 7446 장석주 나무이야기 저자 장석주 2009-10-1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강당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