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4.09.07 09:00

말하기의 다른 방법

조회 수 366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5
저자 존 버거
출판사 눈빛 출판사
발표자 임민수
일자 2004-10-12
사진작가를 모시고 사진의 세계를 산책하고자 합니다. 사진의 거장들이 보여주는 철학세계는 다른 것 같으면서도 우리의 사고에 가까이 접근한다고 하는 "절정의 상통"을 맛볼 수 있는 명저입니다. 이번 답사여행에는 카메라를 꼭 가지고 가셔서 생각이 담긴 사진을 한장 찍어보는 것도 별미일 것이라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 책은 현재 절판되었고 토론자가 가지고 있는 책을 텍스트 부분만 복사해서 회원들에게 나누어드리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토론회에 오시면 드리겠습니다.

<<책소개>>

이 책은 미술 비평가 존 버거와 사진가 장 모르가 공동으로 낸 네 번째 책이다. 그들은 이 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사진이란 도대체 무엇인가? 사진은 무슨 의미를 가지는가? 사진은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

이 책은 5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선 장 모르가 사진가로서 직접 체험한 것을 글로 옮겼다. 그는 한 장의 사진이 보는 이에 따라 얼마나 모호하게 나타날 수 있는지를 강조한다. 한 장의 사진은 사진 찍는 사람, 찍히는 사람, 보는 사람, 이용하는 사람의 관심이 제각각 어우러져서 때로는 모순을 빚어내기도 하는 만남의 자리라는 것이다.
2부의 에세이에서는 사진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시도하고 있다. 제대로된 이론이라면 경험적이거나 미학적인 차원을 넘어, 눈앞에 나타나는 모습, 그 자체의 의미를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입장에서 전개한 글이다.
3부에는 아무 설명 없는 150장의 사진이 실려 있다.
4부에서는 3부에서 이야기하려 했던 방식에 내재된 이론적 함의들을 몇 가지 검토하고 있다.
마지막의 아주 짧은 부분은 농부들의 한평생에 걸친 노동을 다시 되돌아보는 자리이다.


“그림과 사진의 차이를 보면 ‘흔적’이 어떤 건지 분명히 알 수 있다. 그림은 번역이다. ... 그림에선 하나의 형상이 나타날 때마다 그 주위의 모든 것이 직관적이건 체계적인 벌써 의식의 중재를 거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그림에서는 사과가 둥근 구형으로 ‘만들어진다’면, 사진에서는 사과의 둥금과 빛, 그림자가 하나의 주어진 그대로 받아들여진다.”

“가령 지난 19세기에 유럽의 여행자, 군인, 식민지 관리, 모험가 들은 원주민들과 그들의 관습, 건축물, 부와 가난, 여자들 가슴, 머리장식 따위를 사진에 담았다. 이런 사진들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을 뿐 아니라 제국주의적인 세계분할의 정당성을 입증시키는 증거로서 제시되고 그렇게 읽혀졌다.”

“한 장의 사진이 과학적인 용도로 쓰일 때 사진에 나타난 뚜렷한 증거는 결론으로 이끄는 데 도움을 준다. 사진은 어떤 연구의 개념틀 속에서 정보를 제공한다. 그것은 빠져 있는 미세한 부분을 알려준다. 사진이 통제 체계에서 쓰일 때 사진에 나타난 증거는 신분을 확인하고 증명하는 데 국한되어 사용된다. 그렇지만 사진이 표현수단으로 쓰이는 순간부터 그것은 살아있는 체험의 본질과 관련을 맺게 되며 따라서 진실은 한결 복잡해진다.”

“카메라는 1839년 발명되었다. 오귀스트 콩트는 당시 막 [실증철학강의]를 완성했다. 실증주의와 사회학 그리고 카메라는 함께 자랐다. 이들을 떠받치고 있던 것은 과학자와 전문가에 의해 기록된 관찰 가능하고 수량화된 사실들이 언젠가 인간에게 자연과 사회에 대한 모든 지식을 주어 인간이 이 둘을 관리할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었다.”


<<토론자 소개>> 임민수(1971년생)

중앙대 대학원 사진학과 졸업
“수많은 '나'들: 시선의 권력”
"서울생활의 재발견" - 공공적으로 기억되는 역사와 개인의 기억
"동학사“

임민수에게는 ‘나’를 만들어준 전통이 못마땅한 모양이다. 냉정하게 말해서 ‘나’와는 상관없는 전통이라는 것이 마치 어느날 갑자기 시골에서 올라와서 친척임을 내세우는 이상한 아저씨처럼 ‘나’의 공간 속에 들어와 앉아 있는 그 모습이 싫은 거다. 그래서 그는 전통을 시각화하는 그 장치들, 박물관, 초상, 역사화 같은 것들을 존경의 눈이 아니라 그저 사진가의 눈으로 보고 있다. 이건 기아와 질병에 시달리는 아프리카 내전의 참상을 찍고 있는 외신기자의 눈이다. 마치 에스키모 박물관을 보는 관광객의 눈처럼 무감동적이고 무상관적인 눈이다. 여기서 상상계가 발동할 여지란 원천적으로 배제되어 있다. 임민수의 시선이 하도 전통에 정나미 떨어져 하니까 보는 사람으로서는 재미있는 것이다. 제발 동일시 좀 해달라고 끈적거리고 달라붙는 그 전통을 걷어 차내듯이 바라보는 그 시선이 재미있다. 그 와중에서 사라지는 ‘나’를 보는 것도. 전통 자체는 허구는 아니다. 그런 것들은 실제로 존재했었고 그것들은 위대했었다. 그런데 현재의 왜소하고 바쁘며, 인터넷을 써서 살아가는 ‘나’와는 상관이 없다. 임민수의 사진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은 ‘나’ 안에 살아 있다고 하는 믿음에 대해서 끼얹는 찬물이다.

- 이영준, [수많은 ‘나’들 : 시선의 권력] 전시 서문 중에서 -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401 401 문학예술 갈매기의 꿈 file 관리자 2019.07.11 453 리처드 바크 나무옆의자 서윤신 (몸짓 아티스트, FCD무용단 대표) 2019-07-23 대전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400 400 문학예술 한국화의 기초 - 세기의 전환기 file 조수윤 2019.06.26 292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앤스로디자인 선승혜(대전시립미술관장) 2019-07-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9 399 인문사회 다시, 책으로 file 조수윤 2019.06.12 371 매리언 울프(역자 전병근) 어크로스 전병근(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정책연구통계센터장) 2019-06-25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8 398 자연과학 과학책은 처음입니다만 file 조수윤 2019.05.29 290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사월의책 이정모(서울시립과학관장) 2019-06-11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7 397 경영경제 포노사피엔스(스마트폰이 낳은 신인류) file 조수윤 2019.05.15 1331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쌤앤파커스 최재붕(성균관대 기계공학부 교수) 2019-05-28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6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7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5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2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4 394 인문사회 글자 풍경 file 관리자 2019.03.27 345 유지원 을유문화사 유지원 2019-04-09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93 393 인문사회 인생극장 file 관리자 2019.03.13 324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사계절 노명우(아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2019-03-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15분
392 392 인문사회 같이 읽고 함께 살다 file 관리자 2019.02.27 366 장은수 느티나무책방 장은수 2019-03-12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7시 30분
391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66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390 390 인문사회 파이 굽는 엄마 file 이근완 2019.01.25 364 김요한 바이북스 김요한 2019-0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9 389 인문사회 하늘에 새긴 우리 역사 file 이근완 2019.01.19 251 박창범 김영사 샤론 2019-01-2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4번 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8 388 인문사회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file 이근완 2018.12.26 431 전시륜 행복한마음 박대기(방송기자) 2019-01-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87 387 자연과학 이명현의 과학책방(별처럼 시처럼, 과학을 읽다) file 이근완 2018.12.03 361 이명현 사월의책 이명현(연구인) 2018-12-11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30분
386 386 인문사회 요시다 쇼인 시대를 반역하다 file 이근완 2018.11.14 382 김세진 호밀밭 김세진 2018-11-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5 385 내성적인 여행자 file 관리자 2018.10.30 334 정여울 해냄 정여울 2018-11-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4 384 문학예술 클림트 file 관리자 2018.10.08 272 전원경 arte 전원경 2018-10-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3 383 인문사회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file 관리자 2018.09.01 353 김연숙 천년의상상 김연숙 2018-09-11 대전 백북스혹 (탄방역 4번출구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2 382 문학예술 획: 글자쓰기에 대해 file 이정원 2018.07.27 485 헤릿 노르트제이 안그라픽스 유지원 (타이포그래피 연구자) 2018-08-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1 381 문학예술 신의 영혼 오로라 file 관리자 2018.07.13 233 권오철 씨네21북스 권오철 천체사진가 2018-07-2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80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0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9 379 자연과학 뷰티풀 퀘스천 file 관리자 2018.06.18 282 프랭크 월첵 흐름출판 원병묵 교수 2018-06-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8 378 자연과학 괴델의 증명 file 관리자 2018.05.27 336 더글러스 호프스태터 외 승산 윤태웅 교수 (고려대학교) 2018-06-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7 377 문학예술 휠체어는 나의 날개 file 이근완 2018.05.11 232 차인홍 (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마음과생각 차인홍(오하이오 라이트 주립대학교 음악원 교수) 2018-05-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수요일 오후 7시 15분
376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0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75 375 자연과학 생각의 기원 file 관리자 2018.04.12 363 마이클 토마셀로 이데아 이정원 2018-04-24 대전 오후 7:15
374 374 문학예술 미술관에 간 의학자 file 이근완 2018.03.28 298 박광혁(내과전문의) 어바웃어북 박광혁(내과전문의) 2018-04-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73 373 문학예술 프랑스 미술관 산책 file 관리자 2018.03.16 267 이영선 시공아트 이영선 2018-03-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2 372 문학예술 회색인간 file 관리자 2018.03.04 476 김동식 요다 김동식 & 김민섭 2018-03-1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71 371 인문사회 대한민국의 설계자들 file 관리자 2018.02.20 216 김건우 느티나무책방 김건우 교수 2018-02-27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370 370 인문사회 대리사회 file 이근완 2018.01.28 322 김민섭 와이즈베리 김민섭 2018-02-1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9 369 문학예술 손으로 쓰고 그린 호주 40일 file 관리자 2018.01.12 279 밥장 시루 밥장 (일러스트레이터) 2018-01-23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68 368 자연과학 블랙홀과 시간여행 file 관리자 2018.01.03 281 킵 손 반니 오정근 박사 (국가수리과학연구소) 2018-01-09 백북스홀 (대전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67 367 인문사회 세계는 왜 싸우는가? 김영미 세계 분쟁 지역 전문 PD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분쟁의 진실 file 이근완 2017.12.18 232 김영미PD 추수밭 김영미PD 2017-12-26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66 366 문학예술 낭만주의에 대한 사실주의적 해부 보바리 부인 file 이근완 2017.12.02 292 귀스타브 플로베르 펭귄클래식코리아 이봉지(배재대학교 프랑스어문화학과 교수) 2017-12-12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65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3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64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6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63 362-363 인문사회 우리는 고독할 기회가 적기 때문에 외롭다 file 이근완 2017.09.28 355 김규항 알마 김규항 2017-10-10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362 361 인문사회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Understanding Media) file 이근완 2017.09.21 205 마셜 맥루언 저, 김성기 역 민음사 강신철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경영정보학과 교수 2017-09-26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19시 30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3 Next
/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