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조회 수 382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52
저자 이덕일
출판사 김영사
발표자 임해경
일자 2004-08-24
<<토론자 소개>>

충남대학교 관현학과 교수, 첼로 전공, 아래는 토론자 임해경 교수님의 첼로독주회에 관한 KBS의 공연평이다.

끊임없이 연구와 새로운 시도를 보여주는 첼리스트 임해경의 독주회가 5월 20일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아트홀에서 열렸다. 임해경은 대학의 연구실에 안주하지 않고 끊임없이 연주하는 연주자이다. 실내악, 협연, 독주회 등 매년 의미를 갖는 연주를 하여 왔다. 이번 독주회는 임해경의 첼리스트로서의 데뷔 25주년을 맞이하는 연주회로, 독주회로서는 17회에 해당한다. KBS교향악단의 수석주자를 지냈고, 현재는 충남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는 그는 이번 독주회에서 자신의 연주활동의 25년을 정리해보고자 하였다.

이날의 프로그램은 베토벤의 <모짜르트 요술피리 주제의 의한 변주곡>, 오이돈의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슬픈 노래>, 쇼팽의 <화려한 폴로네이즈 작품 3>, 쇼팽의 <첼로소나타 작품 65> 등이었으며, 피아노는 뮌헨국립음악대학에서 최고연주자과정을 졸업하고 전문연주자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는 한기정이 맡았다.

오이돈(호서대 교수)의 <슬픈 노래>는 서정적인 슬픈 선율보다는 허튼소리와 한판 춤으로 슬픈을 갈무리하려는 표현을 담은 곡이었다. 임해경은 이 창작곡을 오래 연주하여 왔던 곡처럼 소화된 음악을 들려주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창작곡의 연주에서 볼 수 있는 연주의 불안감과 해석의 모호함을 읽을 수 없었다. 그만큼 충실히 준비된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곡의 클라이맥스라 할 수 있는 빠르게 진행되는 리듬 음형의 액센트와 다이나믹의 처리에서 긴장감이 돋보였다.

임해경은 이번 독주회에서 두 곡의 쇼팽 작품을 택하였고, 그가 비중을 둔 작품이기도 했다. 피아니스트인 쇼팽의 작품인 만큼 첼로 독주에 피아노 반주가 붙은 곡이기보다는, 첼로와 피아노의 이중주라는 개념이 어울리는 곡이었다. 임해경과 피아니스트 한기정은 이러한 곡의 성격을 잘 파악하고 있었다. 서로 매우 밀도깊은 호흡의 일치를 들려주고 있었는데, 그 일치가 서로를 의식적으로 배려한것이기보다는, 두 연주자가 곡이 갖는 음악의 흐름에 충실함으로서 나타나고 있었다. 음악에 두 연주자가 함몰된 연주를 하고 있었다. 곧 두 연주자는 곡이 갖는 음악의 뜻과 자신의 해석을 자연스럽게 융해시키고 있었다.

<화려한 폴로네이즈>에서 우아한 서주와 폴로네이즈의 리듬감이 있는 두 부분을 명확히 대조시키고 있었으며, 폴로네이즈의 리듬 처리는 역동적 화려함을 드러내었고, 긴장과 이완의 미묘한 조절도 눈에 띄었다. <소나타>에서는 각 악장의 특징을 잘 드러내면서도 악장간 균형감있는 연결을 놓치지 않음으로서 잘 짜여진 구축력을 들려주었다. 특히 빠른 악장에서의 역동성의 표현이 눈에 띄었다.

독주회에서 쉽지 않은 창작곡을 선택하였고 그것을 충분히 자기화한 연주 그리고 악곡의 성격을 잘 파악하여 음악의 뜻과 자신의 해석을 조화시키고 있는 점 등 끊임없는 자기 연구와 그것이 연륜으로 쌓아진 연주자임을 보여준 연주회였다.

<<책 내용 소개>>

정약용 삼형제와 개혁 군주 정조. 이들의 등장과 사라짐은 우리 역사에서 가장 드라마틱한 사건이다. 정약용은 정조의 강력한 지지를 바탕으로 수많은 사회경제적 개혁을 이뤄나갔고, 정약전은 민중과 호흡하면서 『자산어보』를 남겼다. 또한 정약종은 한국 천주교사에 교리 연구가이자 신념의 순교자로 기억된다. 개혁과 수구의 처절한 싸움이 벌어졌던 조선 후기, 그 희망과 좌절의 기록이 생생하게 펼쳐진다.


<<저자소개>>

1997년 『당쟁으로 보는 우리 역사』를 첫 책으로 본격적인 역사서를 쓰기 시작하여 『사도세자의 고백』『누가 왕을 죽였는가』『우리 역사의 수수껚』등으로 화제를 일으켰다. 학문적 깊이와 인간 중심의 사관을 바탕으로 역사연구의 성과를 대중에게 알리는 역사서술에 주력, 2000년 이후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아나키스트 이회영과 젊은 그들』『역사에게 길을 묻다』『오국사기』(전3권)등을 내놓았으며, 2003년 8월 새로운 개념의 한국사 통사로 『살아있는 한국사 1,2,3』를 펴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320 75 대화 file 관리자 2005.07.26 3706 이영희 한길사 이진석 2005-08-09
319 33 대화의 법칙 file 관리자 2003.09.30 3972 래리 킹 청년정신 김홍범 2003-11-05
318 273 더 선(The Son) 3 file 유화현 2013.11.15 5234 필립 마이어 (Philipp Meyer) 올(사피엔스21) 임재서 번역가(백북스 회원) 2013-11-26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17 335 인문사회 더 힘들어질 거야 더 강해질 거야 더 즐거울 거야(프랑스 녹색당 해바라기상 수상 작가 김수박의 만화 에세이) file 이근완 2016.07.15 397 김수박 천년의 상상 김수박 2016-07-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화요일 오후 7시 15분
316 295 도마시장 file 유화현 2014.10.31 3611 박재홍 시인 개미 박재홍 시인 2014-11-11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315 412 기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file 조수윤 2020.01.15 1313 유현준 을유문화사 오한솔 2020-01-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314 77 돈, 섹스, 권력 file 관리자 2005.08.24 4407 리차드 포스터 두란노 이재흥 2005-09-13
313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5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312 314 인문사회 동물들의 침묵 (진보를 비롯한 오늘날의 파괴적 신화에 대하여) 1 file 이근완 2015.08.28 1314 존 그레이 이후 박성일(백북스 대표) 2015-09-08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11 233 동의보감, 몸과 우주 그리고 삶의 비전을 찾아서 8 file 관리자 2012.02.29 5249 고미숙 그린비 고미숙 박사 2012-03-1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저녁 7시
310 131 경영경제 두바이 기적의 리더십 file 박문호 2007.12.01 5274 최홍섭 w미디어 이언오 SERI전무 2007-12-11
309 380 인문사회 등대의 세계사 file 관리자 2018.06.29 250 주강현 서해문집 주강현 2018-07-1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8 8 디지털이다(being digital) file 관리자 2003.06.21 4465 네그로폰테 박영율 2002-09-28
307 105 경영경제 디트로이트의 종말 file 관리자 2006.11.09 4784 미쉐린 메이너드 인디북 현영석 교수 2006-11-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306 395 인문사회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file 관리자 2019.04.10 321 이흥섭(역자 : 번역공동체 잇다) 논형 심아정(번역공동체 잇다 대표) 2019-04-23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5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65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304 322 인문사회 러브 온톨로지 : 사랑에 관한 차가운 탐구 file 이근완 2015.12.23 1522 조중걸(사학자) 세종서적 조중걸(사학자) 2015-01-12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303 298 런던 미술관 산책 2 file 박성일 2014.12.11 3692 전원경 시공사 전원경 박사 2014-12-16 백북스홀(탄방동) 오후 7시
302 402 자연과학 로켓 컴퍼니 file 조수윤 2019.07.29 385 패트릭 J. G. 스티넌(Patrick J. G. Stiennon), 데이비드 M. 호어(David M. Hoerr) 황금가지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선임연구원) 2019-08-20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301 98 문학예술 루오전 1 file 관리자 2006.07.11 4582 루오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2006-07-25 대전시립미술관
300 279 릴케의 침묵 file 유화현 2014.02.12 4939 김운하 한권의 책 김운하 작가 2014-02-25 탄방동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홈플러스탄방점 맞은편) 오후 7시
299 11 링크 (원제: Linked;) file 관리자 2003.06.21 4237 바라바시 동아시아 2002-11-12
298 32 마당을 나온 암탉 file 관리자 2003.09.30 3944 황선미 사계절 아동문고 장미란 2003-10-25
297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296 165 기타 마음 거울 2 file 박문호 2009.04.30 5719 청안스님 김영사 청안스님 2009-05-11 오후 7시 |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95 159 마음의 기원 file 박문호 2009.02.02 5426 데이비드 버스 나노미디어 주명진 원장 2009-02-10
294 258 마음의 서재 file 이정원 2013.03.29 4949 정여울 천년의상상 정여울 작가 2013-04-09 대전 유성도서관 오후 7시
293 99 마음찾기 file 관리자 2006.07.29 4091 박영의 여시아문 박영의 2006-08-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2 119 마이크로코스모스 file 박문호 2007.05.29 5024 린 마굴리스, 도리언 세이건 범양사 홍욱희 2007-06-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91 184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7 file 박문호 2010.02.12 9476 비고츠키 학이시습 박문호 박사 2010-02-23 저녁7시 |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290 480 문학예술 마지막 외출 file 조수윤 2024.04.30 181 조지수 지혜정원 조지수 2024-05-28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289 4 만년샤쓰 file 관리자 2003.06.21 4963 방정환 길벗어린이 2002-07-23
288 130 인문사회 만들어진 신 4 file 박문호 2007.11.17 6061 리처드 도킨스 김영사 도정일 2007-11-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7 467 문학예술 만지고 싶은 기분 2 file 조수윤 2023.03.29 445 요조 가수/작가 마음산책 요조 가수/작가 2023-04-25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15
286 118 문학예술 말랑말랑한 힘 file 박문호 2007.05.13 5249 함민복 문학세계사 함민복 2007-05-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5 55 말하기의 다른 방법 file 관리자 2004.09.07 3665 존 버거 눈빛 출판사 임민수 2004-10-12
284 248 머물지 마라 그 아픈 상처에 4 file 이정원 2012.10.12 5439 허허당 스님 예당 허허당 스님 2012-10-23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오후 7시
283 113 자연과학 면역의 의미론 file 관리자 2007.02.28 4910 타다 토미오 한울 엄준호 2007-03-1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82 307 인문사회 모델링 file 강신철 2015.05.04 1242 강신철 글누리 강신철 2015-05-12 백북스홀 (대전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281 160 모두에게 공정한 무역 file 박문호 2009.02.11 4516 앤드루 찰턴 지식의 숲 김홍기 교수 2009-02-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