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3.09.30 09:00

군주론

조회 수 358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34
저자 마키아벨리
출판사 까치글방
발표자 이봉철 박사
일자 2003-11-22
지금까지 선정되었던 대부분의 책들이 최근의 베스트셀러나 경영관련 서적의 비중이 너무 많았다는 회원들의 지적에 따라 두세달에 한 번씩 좀 볼륨이 있는 고전 교양서적을 읽어나갈 예정입니다. 회원 여러분들이 다시 읽고 싶은 책들을 도서추천난에 많이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군주론>>

16세기 초반 분열되어있던 이탈리아에서 살다간 '현대적인 의미에서의 첫번째 정치학자'라는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o Machiavelli)의 너무나도 유명한 저서입니다. 그가 살고 있던 피렌체의 군주였던 Piero de' Medici에게 헌정하기 위해 쓴 글입니다. 마키아벨리는 이 책에서 우선 군주국의 다양한 종류의 그의 특성에 관해서 논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군주국은 우리 역사에서 존재했던 조선왕조나 고려왕조와는 다른 개념인 듯 합니다. 아무래도 동양이 아니라 이탈리아라는 서양 문명이라서 그렇겠죠. 서양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갖는 절대 군주가 등장한 것은 18세기 이후일 겁니다. 그런 의미에서 마키아벨리가 말하는 '군주'는 세습 등의 방법을 통해서 임의적으로 권력을 넘길 수 있는 일인통치제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지금의 북한이 비슷할까요? ^^;). 군주제의 다양한 면을 언급하면서, 특히 새로이 군주가 된 이(신생 군주)가 어떻게 해야 잡은 권력을 잘 유지하면서 확장할 수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합니다. 그리고 후반부에서는 군주가 가져야만 하는 여러 가지 면을 보여줍니다. 특이한 것은, 저자 스스로가 밝히기도 하지만, 결코 이상적인 사회에서의 이상적인 군주의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이상적인 모습이라면 군주는 약속도 잘 지키고 인간적인 성품을 가져야겠지만, 마키아벨리는 인간이란 원래 약삭빠른 족속이기 때문에 군주가 그런 모습을 가진다면 권력을 반드시 잃어 버릴 것이라 합니다. 그러면서 아주 현실적으로 군주가 행해야할 바를 제시하죠. (이런 마키아벨리의 모습을 역자는 '사적인 윤리규범이 적용되지 않는 정치적 상황의 특수성과 한계'를 지적한 것이라 하더군요.) 물론 저자가 제시하는 모든 면이 현재의 정치가들에게 완벽하게 들어맞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그의 조언을 따르는 정치가를 상상해보면, 현대에도 그 사람은 분명 인기있는 정치가가 되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렇기 때문에 이 책을 읽는 내내 현재의 지도자는 어떠해야 하는가라는 의문에 시달렸습니다. 마키아벨리가 말하듯 현대 지도자 역시 그런 모습을 가져야 하는가.. 그걸 인정하기에는 제 윤리의식이 허락하지 않아서 말이죠. 만약 제가 정치를 하게 된다면 '정치적 상황의 특수성'을 어느 선까지 인정할 수 있을지, 아니 인정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고민의 끝이 어떻게 결말이 날 지는 아직 잘 모르겠구요...

"인간이 어떻게 사는가"는 "인간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는 너무나 다르기
때문에, ... 군주는 필요하다면 부도덕하게 행동할 태세가 되어 있어야 한다.

군주는 상기한 모든 성품을 실제 구비할 필요는 없지만,
구비한 것처럼 보이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까치, Niccolo Machiavelli 지음, 강정인 옮김, 248 page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20 358 자연과학 히든 피겨스 file 이근완 2017.08.03 273 마고 리 셰털리 동아엠앤비 임석희(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17-08-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9 329 자연과학 인공지능과 딥러닝 (인공지능이 불러올 산업 구조의 변화와 혁신) file 이근완 2016.04.14 1265 마쓰오 유타카 박기원 역 동아엠앤비 이정원(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2016-04-26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8 11 링크 (원제: Linked;) file 관리자 2003.06.21 4244 바라바시 동아시아 2002-11-12
117 300 이종필교수의 인터스텔라 file 한빛찬 2015.01.15 1738 이종필교수 동아시아 이종필교수 2015-01-27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화 저녁7시
116 341 자연과학 김상욱의 과학공부 file 이근완 2016.10.29 260 김상욱 동아시아 김상욱 2016-11-0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5 439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6] 우리는 마약을 모른다 file 조수윤 2022.01.03 278 오후 동아시아 책밤지기 : 이강환 2022-01-11 이도저도 오후 7:15
114 44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32] 미쳐있고 괴상하며 오만하고 똑똑한 여자들 file 조수윤 2022.03.29 374 하미나 동아시아 책밤지기 : 정인경 작가 2022-04-12 이도저도 오후 7:15
113 102 자연과학 과학 콘서트 file 관리자 2006.09.13 4466 정재승 동아시아 정재승 2006-09-26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12 336 자연과학 뉴튼의 프린키피아 file 관리자 2016.08.02 290 안상현 동아시아 안상현 박사 2016-08-09 대전 탄방역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11 305 자연과학 이명현의 별 헤는 밤 file 이정원 2015.03.26 1378 이명현 동아시아 저자 이명현 박사 2015-04-14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10 364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세상과 소통하는 뇌과학 이야기 file 이근완 2017.10.31 348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14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109 325 자연과학 세상물정의 물리학 file 이근완 2016.02.18 1412 김범준 교수(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동아시아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물리학과) 2016-02-23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08 365 자연과학 송민령의 뇌과학 연구소 (2차) file 관리자 2017.11.22 265 송민령 동아시아 송민령 2017-11-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15분
107 332 자연과학 중력파, 아인슈타인의 마지막 선물 file 이근완 2016.06.02 981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동아시아 오정근(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 선임연구원) 2016-06-14 대전 백북스 홀(박성일 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6 348 자연과학 인포메이션 인간과 우주에 담긴 정보의 빅히스토리 file 이근완 2017.02.20 287 제임스 글릭, 박래선, 김태훈 역 동아시아 고원용 2017-02-28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105 376 자연과학 문경수의 제주 과학 탐험 file 이근완 2018.04.27 317 문경수 동아시아 문경수 2018-05-08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 6층) 저녁 19시 15분
104 391 자연과학 떨림과 울림(물리학자 김상욱이 바라본 우주와 세계 그리고 ) file 이근완 2019.02.15 471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동아시아 김상욱(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2019-02-26 백북스홀(박성일 한의원6층) 7시 30분
103 408 자연과학 파란하늘 빨간지구 file 조수윤 2019.10.23 338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동아시아 조천호(대기과학자, 전 국립기상과학원 원장) 2019-11-12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로데오타운 맞은편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102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3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01 291 음악이란 무엇인가 file 유화현 2014.08.14 4277 니콜라스 쿡 동문선 한동운 교수(작곡 전공) 2014-08-26 대전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00 88 (자연이 주는 최상의 약) 물 file 관리자 2006.02.09 3825 F.뱃맨겔리지 동도원 박성일 2006-02-28
99 138 문학예술 나는 문학에서 건축을 배웠다 file 박문호 2008.03.12 5678 김억중 동녘 김억중 교수 2008-03-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98 31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file 관리자 2003.09.08 3865 김억중 동녘 김억중 2003-10-08
97 193 프레시지옹 6 file 박문호 2010.06.30 8465 르 코르뷔지에 동녘 김억중 교수 2010-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연구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96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9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95 259 예수전 4 file 이정원 2013.04.12 4718 김규항 돌베개 김규항 저자 2013-04-23 대전 탄방동 백북스홀 (박성일한의원 6층) 저녁 7시
94 260 문학예술 아다지오 소스테누토 file 이정원 2013.04.30 4541 문학수 돌베개 문학수 (음악평론가) 2013-05-14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저녁 7시
93 339 문학예술 이중섭 평전 (신화가 된 화가, 그 진실을 찾아서, 이중섭에 관한 거의 모든 것) file 이근완 2016.09.28 427 최열(미술평론가) 돌베개 최열(미술평론가) 2016-10-11 대전 백북스홀 (탄방역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92 54 답사여행의 길잡이 -05 전남편 file 관리자 2004.09.07 3880 한국문화유산답사회 돌배개 최이돈 2004-09-21
91 262 뇌과학과 학습혁명 1 file 이정원 2013.05.29 4969 테리 도일 돋을새김 역자 강신철 교수 2013-06-11 대전 유성도서관 3층 시청각실 오후 7시
90 97 문학예술 그 남자의 재즈일기 1,2권 file 관리자 2006.06.26 4508 황덕호 돋을새김 표현봉 2006-07-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89 477 문학예술 예술가의 여정 file 조수윤 2024.01.24 742 트래비스 엘버러 도서출판 서내 예술도서브랜드 ‘Pensel’ 박재연 2024-02-27 대전 백북스홀(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15
88 87 알기쉬운 요가 file 관리자 2006.01.24 4090 안지용 도서출판 그린 안지용 2006-02-14
87 437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24] 근원의 시간 속으로 file 조수윤 2021.12.07 304 윌리엄 글래슬리 더숲 책밤지기 : 문경수 과학탐험가 2021-12-14 이도저도 오후 7:15
86 43 변경 file 관리자 2004.03.23 3514 렁청진 더난출판 강신철 2004-04-07
85 98 문학예술 루오전 1 file 관리자 2006.07.11 4582 루오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2006-07-25 대전시립미술관
84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22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83 242 꽃봇대 1 file 김홍섭 2012.07.13 5022 함민복 대상 함민복 시인 2012-07-22 계족산 숲속 야외 무대 오후4시~6시
82 9 오만한 제국 file 관리자 2003.06.21 4725 하워드 진 당대 2002-08-14
81 396 기타 무인도에 갈 때 당신이 가져가야 할 것 1 file 조수윤 2019.04.24 379 윤승철 윤승철 2019-05-14 대전 백북스홀 (탄방동 박성일한의원 6층)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