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3.07.07 09:00

선비의 의식구조

조회 수 388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7
저자 이규태
출판사 신원문화사
발표자 김갑기
일자 2003-07-22
<<토론자 소개>>

이번 토론은 청주대학교 김갑기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김갑기 교수님은 송강 정철 문학에 평생을 바치시고 동 분야 연구에 금자탑을 세우신 한문학의 대가이십니다. 송강에 관한 수많은 논문과 저서를 내셨으며 대표적인 저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松江 鄭澈 硏究 : 國·漢文詩歌의 源流論的 考察 / 김갑기(金甲起) 二友出版社 1985

松江 鄭澈의 詩文學 / 김갑기(金甲起) 梨花文化出版社 1997

현대판 선비의 길을 걷고 계신 김갑기 교수님은 서울에서 부산까지 천리길을 맨걸음으로 주파하는 기록을 세우시기도 한 순수 자연인으로도 잘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체육진흥회 부회장, 한국 걷기과학학회 감사로도 맹렬히 활동하고 계십니다.


<<책 소개>>

선비란 누구인가?

언론인 이규태씨가 말하는 조선의 선비

꽃에는 그 꽃의 품격에 따라 화품(花品)이 있듯이 우리 선비사회에도 사품(士品)이라는 것이 있었다. 겨울에도 독야청청하는 소나무나 눈 속에 피는 매화의 화품을 높이 먹였듯이 사품도 그 등급을 먹이는 지조와 행동이 있었다.

그 사품의 평가기준을 들면 이렇다. 첫째 재물을 둔 태도다. 선비는 손에 돈을 쥐지 않고 쌀값을 묻지 않으며 닷푼 열량하는 값을 입에 하지않는다. 곧 이재(理財)와는 담을 쌓아야 하고 따라서 청빈 근검절약해야 한다. 그래서 선비는 비단옷을 입더라도 나들이 할 때에는 베두루마기를 위에 걸치고 나가야 했다.

둘째 의로운 일이나 옳은 일에 의연하고 사적인 일에 우선시켜야 한다. 이를테면 영조때 선비 김수팽이 아우집에 들렀더니 항아리가 많은지라 어데 쓰는 항아리냐고 물었다. 아내가 염료인 남(藍)을 만들어 생계를 잇는다 하자 우리 형제가 나라에서 녹을 먹으면서 영업을 하면 가난한 사람은 뭣을 먹고 사느냐며 남 항아리를 모조리 엎어버렸다.

셋째 옳은 일이면 어떤 수난이 닥치더라도 앞서 감행한다. 오랑캐에 포위된 남한산성에서 유일한 타결책인 항복문서를 척화파가 찢자 이를 거둬 모으며 “조정에서는 이를 찢는 사람도 없어서 안되고 이를 주어 모으는 사람도 없어서 안된다”하며 주워 모은 용기 있는 최명길(崔鳴吉)이야말로 우러러볼 선비다.

넷째 일신의 이해에 좌우되어 지조를 바꾸는 것은 선비가 아니다. 대대로 남인 가문인 영남 선비 장현광(張顯光)의 손녀 장씨는 남인인 안씨 집안으로 시집가 살았다. 한데 그의 손자가 벼슬에 급급한 나머지 서인에게 붙자 남인을 고수하는 사위집에 업혀가 그집에서 죽었다. 그는 임종하러 온 변절한 손자를 끝내 보지않고 죽었다. 요즈음 정당 바꾸는 것을 밥 먹듯 하는 것을 보면 선비정신은 물 건너간 전설이 되고 말았다.

다섯째 인간 본연의 욕망이나 욕구를 억제하는 것으로 본을 삼았다.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는 화초나 과목을 기르지않고 완물을 기피했다. 한말의 미국 공사가 즉석 녹음이 되는 축음기로 한국 대신들을 놀라게 해주려고 파티석상에서 조금 전에 한 즉석연설을 녹음해서 틀어놓았다. 얼마나 놀라운 일일까만은 어느 한 대신도 그 기색을 보이지않고 못들은 척 건 기침만 하더라 했음도 바로 완물상지(玩物喪志)의 선비정신의 발로랄 수 있다.

여섯째 처세에 약삭빠르지 않고 적당히 어리석으며 이해에 민감하지 않고 아둔하여 항상 손해를 보며 꾸어다 놓은 보릿자루처럼 변통이 없으나 심지만은 곧아 그 앞에 허리 숙이는 존재다.

일곱째 나름대로 남 가지지 않은 멋을 지녀야 한다. 중종때 선비 김정국이 늙으막에 돈 모으기에 급급한 친구에게 충고한 글 가운데 선비 최저의 생활수단과 멋이 적시돼있다. 두어 칸 집에 두어 이랑 전답을 갖고 겨울 솜옷과 여름 베옷 각기 두어 벌이면 입지않는 여벌의 옷이 있고 주발 밑에 먹다 남은 밥이 있으며 눕고도 남을 구들이 있다 했다.

그리고 다만 없어서 안될 것은 다락에 한 시렁 서적과 심심하면 튕길 거문고 한 벌 추우면 볕 쪼일 쪽마루 한쪽 기나긴 밤 차 끓여 마실 화로 하나 늙은 몸 의지할 지팡이 하나 그리고 봄 경치 찾아다닐 나귀 한 마리면 족한 것이요 했다.

이글을 쓴 이규태씨는 지금 조선일보 전무 대우로 있으며 같은 신문에 ‘이규태 코너’를 10년 넘게 싣고 있다. ‘한국인의 의식구조’ 등의 책을 내기도 했다.

List of Articles
번호 회차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저자 출판사 발표자 일자 장소 시간
180 151 논어의 자치학 file 박문호 2008.09.24 4943 강형기 비봉 출판사 강형기 교수 2008-10-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9 152 광휘의 속삭임 file 박문호 2008.10.15 4940 정현종 문학과 지성 정현종 2008-10-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78 168 자본주의와 자유 file 강신철 2009.06.10 6737 밀턴 프리드먼 청어람미디어 변동열 변호사 2009-06-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오후 7시
177 179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5 file 강신철 2009.11.25 9146 이덕일 역사의 아침 이덕일 2009-12-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오후7시
176 177 묵자 2 file 강신철 2009.11.04 6735 기세춘 바이북스 묵점 기세춘 선생 2009-11-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75 187 낙타 7 file 강신철 2010.03.24 8446 신경림 창비 신경림 시인 2010-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4 190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1 file 관리자 2010.05.14 7315 박방주 궁리 조장희 2010-05-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3 195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6 file 강신철 2010.07.28 8354 김운회 동아일보사 김운회 교수 2010-08-10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19:00
172 172 몽골의 역사 3 file 강신철 2009.08.15 6700 강톨가 동북아역사재단 역자 이평래 2009-08-25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1 183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5 file 강신철 2010.01.27 8213 안인희 민음사 안인희 박사 2010-02-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70 185 아이투아이(itoi) 1 file 강신철 2010.03.03 8715 켄 윌버 저/김철수 역 대원출판 권선필 교수 2010-03-09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9 188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file 강신철 2010.04.15 7554 이면우 창비 이면우 시인 2010-04-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68 192 산소 file 박문호 2010.06.17 7316 닉 네인 파스칼 북스 박문호 2010-06-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7 194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file 강신철 2010.07.21 6140 민은기 음악세계 오지희 교수 2010-07-27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6 196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8 file 강신철 2010.08.13 8867 조중걸 베아르피 조중걸 박사 2010-08-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5 198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file 박문호 2010.09.01 7933 사이먼 싱 영림 카디날 송용진 교수 2010-09-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4 202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1 file 강신철 2010.11.10 8381 이인식 고즈윈 이광섭 교수 2010-11-23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3 203 밀림무정 I, II 9 file 강신철 2010.11.24 9615 김탁환 다산책방 김탁환 소설가 2010-12-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2 204 정의란 무엇인가? 4 file 강신철 2010.12.15 10901 마이클 샌델 김영사 강신철 교수 2010-12-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61 208 마리 퀴리의 위대한 유산 - 방사선과 현대생활 file 박문호 2011.02.17 10183 앨런 월터 미래의 창 김계령 박사(한국원자력연구원) 2011-02-22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저녁 7시
160 214 달마는 서쪽에서 오지 않았다 file 강신철 2011.05.12 6117 보리 달마 저/덕산 스님 역 비움과 소통 덕산 스님 2011-05-2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9 169 적도의 침묵 6 file 박문호 2009.06.24 8251 주강현 김영사 주강현 교수 2009-07-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41-3호 오후 7시
158 163 선학동 나그네 file 강신철 2009.03.25 4789 이청준 문이당 김병욱 명예교수 2009-04-14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동 1층 소강당
157 170 무한의 신비 1 file 강신철 2009.07.16 6895 애머 액젤 승산 신현용 교수 2009-07-2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 7시
156 205 소셜 네트워크 e혁명 1 file 강신철 2010.12.29 10853 매튜 프레이저, 수미트라 두타 공저/최경은 역 행간 유창선 평론가 2011-01-11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5 191 돌아다보면 문득 file 강신철 2010.05.26 7615 정희성 창비 정희성 시인 2010-06-08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1동 117호 소강당 오후7시
154 197 유한킴벌리 7 file 강신철 2010.09.03 7467 문국현.조동성 한스미디어 문국현 대표 2010-09-14 대전 한남대학교 경상대학 방촌홀 오후 7시
153 98 문학예술 루오전 1 file 관리자 2006.07.11 4582 루오 대전시립미술관 이지호 2006-07-25 대전시립미술관
152 156 문학예술 엄마와 나 file 강신철 2008.12.10 5443 박기범 보리 박기범 2008-12-23 대전시립미술관
151 266 현대미술의 심장 뉴욕미술 file 유화현 2013.07.31 4336 이주헌 학고재 김준기 학예실장님 2013-08-09 대전시립미술관 오후 7시
150 290 진중권의 이미지 인문학 1 file 유화현 2014.07.24 6265 진중권 천년의상상 진중권 작가 2014-08-12 대전시립미술관 1층 대강당 오후 7시-9시
149 167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file 박문호 2009.05.28 6168 신영복 돌베개 신영복 교수 2009-06-09 대전시립미술관 대강당 오후 7시
148 280 대중문화와 미술 file 유화현 2014.03.01 4214 유현주 미진사 유현주 박사(저자) 2014-03-11 대전유성도서관(유성구 가정동) 3층 강당 오후 7시
147 416 자연과학 [백북스시즌2 책밤3] 당신 인생의 이야기 file 조수윤 2020.12.09 272 테트 창 엘리 책밤지기 : 유지원 2020-12-22 미정 오후 7:15
146 415 인문사회 [백북스시즌2 책밤2] 어린이라는 세계 3 file 조수윤 2020.11.25 344 김소영 사계절 책밤지기 : 요조 2020-12-08 미정 오후 7:15
145 354 인문사회 문명 안으로 : 문명 개념의 형성과 한자문화권의 번역 과정(문명이란 무엇인가?) 1 file 이근완 2017.05.29 347 박노자, 김헌, 안성찬, 김월회, 이혜경, 안연희, 우효경, 김민정, 성해영 한길사 안성찬(공동저자,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2017-06-1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4 349 문학예술 윤구병일기 1 file 이근완 2017.03.03 304 윤구병 천년의상상 윤구병 2017-03-14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3 350 인문사회 거짓말이다. 1 file 이근완 2017.03.20 1130 김탁환 북스피어 김탁환 2017-03-28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2 351 자연과학 호기심의 과학 (수식과 공식 뒤에 감춰진 살아 있는 물리학의 세계) file 이근완 2017.04.03 328 유재준 계단 유재준 2017-04-11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141 353 문학예술 밤의 첼로(이응준 연작소설) 1 file 이근완 2017.05.02 378 이응준 민음사 이응준 2017-05-23 박성일한의원 6층 백북스홀 오후 7시 15분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