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3.06.21 09:00

바이오테크 시대

조회 수 38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0
저자 제레미리프킨
출판사 민음사
일자 2003-04-08
[ 책소개 ]

컴퓨터 기술과 유전공학 기술의 장대한 결합, 그리고 생명공학 시대로의 역사적인 전환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저물어가는 금세기가 물리학과
원자핵 기술의 시대였다면 다가오는 새 세기는 생물학의 세기가 될 것이며, 인류의 최대 이슈는 바로 생명 공학이 될 것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우리가 이 새로운 시대로 한 걸음씩 나아갈 때마다 생각해 보아야 할 생명공학 혁명이 가져올 이익과 치뤄야 할 대가에 대해서, 리프킨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윤리적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저자소개 ]

제레미 리프킨제레미 리프킨은 그동안 주목할 만한 책을 여러 권 발표하였다. 그 중에서도 그의 이름을 전세계에 알린 것은 <엔트로피>다. 기계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현대문명을 비판하고 에너지의 낭비가 가져올 재앙을 경고한것이 바로 '엔트로피' 개념이었다. 그 후 그는 <노동의 종말>을 통해 정보화 사회가 창조한 세상에서 오히려 수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미아가 될 것이라 경고하는가 하면, <소유의 종말> 통해서는 소유가 아닌 '접속'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기도 하였다.
그의 이론이 지나치게 비관적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미래에 대한 전망과 현실 비판은 여전히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리프킨의 문명비판에는 환경철학자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 문명에 대한 접근 방식 자체가 환경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엔트로피라는 개념도 그렇다. 육식에 대한 비판이나 생명 현상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크다. 생명공학이 21세기에 가장 크고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학문이 될 것이라는 그의 예측도 이런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이러한 입각점 때문에 그는 반문명론자들 사이에서 꽤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1. 세컨드 네이처

  2.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3827 

    바이오테크 시대

  3. No Image 10Mar
    by 관리자
    2004/03/10 by 관리자
    Views 3726 

    소유의 종말

  4. 공감의 시대

  5. 총, 균, 쇠

  6. No Image 13Dec
    by 관리자
    2005/12/13 by 관리자
    Views 4014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7. 돌아다보면 문득

  8. 광휘의 속삭임

  9. 구글 신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

  10. 정재승+진중권 크로스

  11. 과학 콘서트

  12. 내가 사랑한 유럽 TOP10

  13. 그림자 여행

  14. 마음의 서재

  15. 내성적인 여행자

  16. 쿠바, 혁명보다 뜨겁고 천국보다 낯선

  17. 고대문명교류사

  18. 사람의 자리 과학의 마음에 닿다

  19. 상상의 아테네 베를린 도쿄 서울 : 기억과 건축이 빚어낸 불협화음의 문화사

  20.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21. 런던 미술관 산책

  22. 클림트

  23. 어느 무명 철학자의 유쾌한 행복론

  24. 휴보이즘

  25. [백북스시즌2 책밤16] 길 위의 독서

  26. No Image 22Mar
    by 관리자
    2005/03/22 by 관리자
    Views 3718 

    사다리 걷어차기

  27. No Image 25Oct
    by 관리자
    2005/10/25 by 관리자
    Views 4518 

    후손을 위한 원자력

  28. 같이 읽고 함께 살다

  29. 남극은 왜?

  30. 나는 문학이다

  31. 내 머릿속 미술관

  32. No Image 13Apr
    by 관리자
    2005/04/13 by 관리자
    Views 4129 

    임해경 교수님 첼로 연주회

  33. 한국의 이공계는 글쓰기가 두렵다

  34. No Image 23Nov
    by 관리자
    2004/11/23 by 관리자
    Views 3799 

    생활의 발견

  35. 카메라로 명상하기

  36. 호주

  37. 딸이 전하는 아버지의 역사

  38. [백북스시즌2 책밤5] 기억하는 몸

  39. 선학동 나그네

  40. 나는 아이폰 아이패드 앱으로 음악한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