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백북스 모임 안내

2003.06.21 09:00

바이오테크 시대

조회 수 382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Extra Form
회차 20
저자 제레미리프킨
출판사 민음사
일자 2003-04-08
[ 책소개 ]

컴퓨터 기술과 유전공학 기술의 장대한 결합, 그리고 생명공학 시대로의 역사적인 전환을 다루고 있다. 이 책은 저물어가는 금세기가 물리학과
원자핵 기술의 시대였다면 다가오는 새 세기는 생물학의 세기가 될 것이며, 인류의 최대 이슈는 바로 생명 공학이 될 것임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우리가 이 새로운 시대로 한 걸음씩 나아갈 때마다 생각해 보아야 할 생명공학 혁명이 가져올 이익과 치뤄야 할 대가에 대해서, 리프킨은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사회적, 경제적, 기술적, 윤리적 문제들을 총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 저자소개 ]

제레미 리프킨제레미 리프킨은 그동안 주목할 만한 책을 여러 권 발표하였다. 그 중에서도 그의 이름을 전세계에 알린 것은 <엔트로피>다. 기계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현대문명을 비판하고 에너지의 낭비가 가져올 재앙을 경고한것이 바로 '엔트로피' 개념이었다. 그 후 그는 <노동의 종말>을 통해 정보화 사회가 창조한 세상에서 오히려 수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미아가 될 것이라 경고하는가 하면, <소유의 종말> 통해서는 소유가 아닌 '접속'으로 상징되는 새로운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우리에게 질문을 던지기도 하였다.
그의 이론이 지나치게 비관적이라고 보는 사람들도 있긴 하지만 미래에 대한 전망과 현실 비판은 여전히 호소력을 가지고 있다. 한편 리프킨의 문명비판에는 환경철학자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진다. 문명에 대한 접근 방식 자체가 환경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엔트로피라는 개념도 그렇다. 육식에 대한 비판이나 생명 현상에 대한 관심도 매우 크다. 생명공학이 21세기에 가장 크고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학문이 될 것이라는 그의 예측도 이런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이러한 입각점 때문에 그는 반문명론자들 사이에서 꽤 높은 지지를 받고 있다.

  1. 녹색융합비즈니스

  2. 소셜 네트워크 e혁명

  3. 정의란 무엇인가?

  4. 밀림무정 I, II

  5. 한권으로 읽는 나노기술의 모든 것

  6. 생태페다고지

  7. 몸의 철학

  8.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3827 

    바이오테크 시대

  9.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5329 

    승려와 수수께끼

  10.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11.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12. 유한킴벌리

  13. 플라톤에서 비트겐슈타인까지

  14. 새로 쓰는 한일 고대사

  15. 바로크음악의 역사적 해석

  16. 프레시지옹

  17. 산소

  18. 돌아다보면 문득

  19. 한국의 뇌과학자, 세계의 정상에 서다

  20.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4107 

    정상에서 만납시다

  21. Seven Stars 일곱 사장 이야기

  22. 아무도 울지 않는 밤은 없다

  23. 낙타

  24. 물속의 발자국

  25. 아이투아이(itoi)

  26.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27. 게르만 신화 바그너 히틀러

  28. 저항의 인문학

  29. 경성, 사진에 박히다

  30. 진화경제학

  31. No Image 21Jun
    by 관리자
    2003/06/21 by 관리자
    Views 3713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32.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33. 기억을 찾아서

  34. 묵자

  35. 세계종교사상사

  36. 나는 문학이다

  37. 배려

  38. 세컨드 네이처

  39. 몽골의 역사

  40. 대한민국 60년 성찰과 전망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