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 詩社

조회 수 339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로 유명한 영화감독 빅터 플레밍의 39년작 <오즈의 마법사>, 이 영화를 얼마만에 보는건지 감개가 무량했습니다. 뮤지컬 영화를 반복해 보는 습관이 없어 어린 시절의 기억만 어렴풋이 안고 살아왔습니다. 쇼트와 씬, 시퀀스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저도 어제 보면서 알았습니다.


  물론 많은 영화 교과서들에는 <오즈의 마법사>가 인용되어 있어 이 영화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구나 정도만 이해하고 있었거든요. 그런데, 많은 판타지물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던 작품이 <오즈의 마법사>였다고만 알고 있었으나, 제대로 알지는 못했었습니다. 판타지의 원전을 보는 즐거움이랄까요. 영화를 보면서 제일 먼저 떠오른 건 <오즈>의 쇼트(이미지)를 그대로 베껴낸 <반지의 제왕>이었습니다. 이야기 구성도 비슷해 혹시 피터 잭슨 감독이 <오즈> 시나리오를 레퍼런스로 삼아 <반지의 제왕>을 쓴건 아닐까라는 의심마저 들 정도였습니다.




비교1. <오즈의 마법사> 서쪽 마녀 성의 쇼트 vs. <반지의 제왕> 모르도르의 관문 블랙게이트의 쇼트




 
                                                              vs.








비교2. 치명적 위험이 숨어있는 오즈의 에메랄드 성의 이미지와 색상 vs. 나즈굴 성의 이미지와 색상



                                                              vs.




<반지의 제왕>이 근래에 최고의 판타지이듯, <오즈의 마법사>는 대공황에서 막 벗어나기 시작한 당시 관객들에게는 최고의 판타지였을 것입니다.



 또한 <오즈>는 30년대 유행하던 3색 테크니컬러 기법과 흑백기법의 병행사용으로 독특한 미학을 성취해낸 영화이기도 합니다. 3색 테크니컬러 기법의 특징은 색감이 제한적이어서 화려하거나 과장되어 오즈의 환상세계를 만끽하는데, 더할나위 없었습니다. 반대로 단조로운 흑백을 통해 도로시의 고향, 캔자스의 무료한 풍광 혹은 포근함을 훌륭하게 표현했죠. 화려한 오즈와 누추한 캔자스 시골마을간 대비를 통해 꿈과 현실, 위험과 평화, 허영과 만족 등등 보는 이에 따라 여러 의미로 읽힐 수 있는 다중적 의미를 품고 있는 텍스트였습니다.



 흑백과 컬러를 교차하면서도 유일하게 색상이 그대로 였던 잿빛 멍멍이 토토는 무엇을 상징했을까요? 아마 도로시가 오즈와 캔자스, 그 어느 누구에게도 빼앗기고 싶어하지 않았던 동심이었을 것입니다. 영화를 보다보면 공감하실 것입니다.












  *어제는 회원이 많치 않을 것이라는 제 예상을 뒤엎고, 충대 학생들이 소문을 듣고 꽤 많이 찾아와 함께 영화를 봤습니다. 대학1~2학년 젊은 학생들이 따분하리라는 고정관념을 주는 고전영화를 가볍게 즐기는 것을 보고 그들을 다시 보게 됐습니다. 강의시간까지 진지하게 들어준 학생 가운데에는 학교에서 냈다는 독립영화 숙제에 난감해하던 터에 까페에서 독립영화 근처에 있는 사람이 영화해설을 해준다는 사실을 알고, 이는 운명이라며 흥분을 감추지 않았습니다. 잠시나마 행복한 인연들이었습니다.


  *제 목 아플까봐, 마이크 달린 비싼 앰프를 마련해준 까페 사장님들 눈물나게 감사합니다. 덕분에 영화 사운드도 더 풍부해졌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 공지 창디 워크샵 1/3 참석자 후기.(후기?) 쓰고 나니 고민 됨 5 윤현식 2008.06.16 2769
166 공지 [공지]창의성 디자인 워크샵 일정 및 장소변경 안내 이나라 2008.05.28 2770
165 현장스케치 대전 도심속의 달콤한 음악창작소, 비노클래식 구경하기^^ 1 정은현 2010.12.15 2774
164 공지 [제 5차 창의성 디자인 모임] 11월 22일(토) 32 류우정 2008.11.15 2780
163 공지 [기사] 퍼블릭 하우징 미래를 보다 이혜영 2009.02.09 2792
162 현장스케치 [사진] 에피소드03 현장스케치 <1> 10 전광준 2009.11.22 2800
161 공지 [공지] 창디 3월 정기모임 안내 3 류은희 2011.03.03 2802
160 후기 달님같은 우리 회원들^ ^ 4 이동선 2008.09.15 2803
159 자료 [김억중 교수님 작품] 사미헌 1 이혜영 2009.03.23 2804
158 공지 10월 창디모임 워크샵(10월18일) 발표자 모집 1 김억중 2008.09.27 2807
157 칼럼 전망에 대한 전망 5 김억중 2010.03.15 2809
156 현장스케치 [사진] 아마데우스 복습설명+영화상영회 현장 5 전광준 2010.04.06 2811
155 공지 6, 7월 정기모임 필독도서 1차 목록 윤성중 2008.05.24 2813
154 공지 [공지] 제 2차 창디 번개모임- 석헌 임재우 선생님과의 만남 6 이나라 2008.06.22 2814
153 공지 [마감] 창디 워크샵 - 사진영상 노하우 공개 19 전광준 2010.06.09 2815
152 자료 [김억중 교수님 작품] 봉곡리 주택. 이혜영 2009.03.23 2819
151 칼럼 따뜻함과 서늘함에 대하여 7 김억중 2009.10.16 2823
150 현장스케치 [사진] 창의성디자인 - 건축사진배우기 2 이정원 2008.12.05 2830
149 공지 [공지] 창의성 디자인 제 3차 워크샵 - 어화 둥둥~* 11 류우정 2008.09.02 2832
148 공지 [마감] Made In Daejon 1 <예술의 전당> 8 정은현 2010.08.20 28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