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 詩社

조회 수 2702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촬영: 조기영님, 사진출처: 책아름세 까페



  채플린의 1936년작 <모던 타임즈>를 2010년 5월에 만나는 어느 독립영화 감독 지망생의 상념은 복잡한 것이었습니다. 1927년을 기점으로 무성영화에서 유성영화가 대세였던 그 시기에 채플린은 이 영화에서 여전히 무성영화 형식을 고집합니다. 유성도 무성도 아닌, 어중간한 사운드 형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헐리웃 스튜디오의 황금기의 한 축을 담당하며 오늘 날까지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전설로 남을만한 작품이었지만, 여전히 무성에 집착하는 그의 고집에는 아쉬움도 많이 남았습니다. 3D와 DSLR의 물결이 거세게 밀려오는 현 시점에 그의 영화는 많은 걸 시사해줍니다.


  20년대 소련의 몽타주 기법과 디졸브의 미학을 통해 현대 문명을 통렬히 풍자한 오프닝은 길이 기억될만한 명장면이죠. 이미 1927년 F.W 무르나우의 <일출>이 흑백 미학의 최고작으로 꼽힌 마당에서 이 영화를 보며 흑백의 미학을 설명하기에는 무리였습니다. 간단하게 기초적인 부분(명도)만 짚어드린 후, 영화의 명장면들을 찾으며, 시대를 초월한 전설로 남은 근거를 살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절대적 희망도, 구원도 있을 수 없는 인생살이에서 불행했다 잠깐 기뻐하고, 또 불행해하는 삶의 굴곡에 놓인 주인공을 통해 시대를 초월하여 보는 이를 위로해주는 스토리라인은 삶에 대한 뛰어난 성찰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 자신이 50년대 메카시 광풍에 휩쓸려 공산주의자로 몰렸던 억울했던 삶을 예견해 보여주는 파업씬도 단순히 웃음을 유발하는 씬만은 아니었던거죠.


  절망-희망-절망-희망-절망-희망 시퀀스의 대비 속에 끊임없이 녹여내는 슬랩스틱 slapstick 코미디는 진한 연민(페이소스)을 자아냅니다. 빈부격차가 점점 더 벌어지고, 성실히 노동한만큼 댓가를 못받는 30년대 대공황에서 현대사회의 비정규직 문제까지 시대를 관통해 꿰뚫는 채플린의 통찰은 그를 전설로 부르기에 아깝지 않게 만듭니다.


  저 멀리 산이 중첩되어 놓인 길을 걷는 두 사람의 뒷 모습, 그 마지막 장면이 희망입니까? 그들은 정말 행복했을까요? 저는 그렇게 보지 않습니다. 희망이라한다면 쇠락과 소멸이 기다리고 있는 생명으로서의 비애를 잠시 감추어둔, 즉 박문호 박사님께서 <마인드 소사이어티>에서 언급한 우리 뇌속에서 꾸며낸 <가상>일 터입니다.


  그러한 생명의 비애감에도 불구하고 웃고 가자는 채플린의 메세지가 중첩된 산의 이미지를 통해 느꼈다면 지나친 비약일까요? 그렇게 생각하는 데에는 <모던 타임즈>의 대비적 구성에 힌트가 있습니다.



 * 어제 상영회는 조기영님을 제외한 모두 처음 뵙는 분들이었습니다. 어쩜 그리 처음 본 사이에 친해지고, 격의없는 대화를 나눌 수 있었는지 백북스에 들어와 글 좀 남겨달라고 했는데, 과연 남길지 ^^ 백북스에 들어왔다 글쓰기에 지레 겁먹지 않을까나... ^^ 그러나 백북스 의외로 편안한 곳이랍니다. 어제 밝히셨던 소중한 생각을 문자로 공유하고 싶습니다.






  • ?
    조기영 2010.05.05 19:43
    전광준 감독님 ... 영화를 아주 좋아하는 한 사람으로써 참 고맙습니다... 아는 만큼 더 보인다고 했던가요... '찰리 채플린'은 그 자체가 미장센이라고 하셨죠... 깊이 공감합니다. 20대에 이 영화를 보며 정말 기발하다 싶어 한참 웃다가도 눈물이 났었죠.. 마치 영화 '25시'에서 순진한 농부 안소니 퀸이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여러 사상에 휘말리는 것처럼 어릿광대 같은 찰리 채프린은 끝없는 연민을 자아냅니다... 지금까지도 만나면 꼬~옥 안아주고 싶은 남자입니다... 처음엔 제가 못 알아듣던 '미장센'이란 단어도 썼네요...놀라워라! 좋은 밤~~~
  • ?
    전광준 2010.05.05 19:43
    그러고 보니 맞네요. 말씀하신대로 '25시' 마지막 법정씬에서 주인공의 최후 항변과 '모던 타임즈'의 파업 데모씬은 정말 닮아 있어요.ㅎ_ㅎ

    불우한 처지에 놓인 사람들을 대변했던 '모던 타임즈'속 채플린의 연기는 한동안 기억될 듯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7 [정보] Whoops씨의 위대한 상상력 외 5건 전시회 전광준 2009.10.04 66232
526 후기 ' 김억중'의 집읽기와 " 융'의 마음읽기 4 김갑중 2008.09.23 39073
525 공지 [공지] 창의성디자인모임 번개모임 8 윤성중 2008.08.14 33368
524 [정보] 12.24 대전예술의 전당 천원콘서트 전광준 2009.12.01 21728
523 후기 [mini] 독서담소 2010-1, 인간을 위한 디자인 후기 6 류은희 2010.01.30 11493
522 자료 요셉 보이스의 '사회적 조각'(Social Sculpture) 1 류은희 2013.09.09 9184
521 공지 [창디 도서목록] '책 속의 책'을 찾아 떠나는 독서여행 4 김억중 2011.01.15 8413
520 자료 [자료] 7월 영화읽기 - 웰메이드 스펙터클의 조건 3 전광준 2009.09.23 7579
519 공지 [최종공지] 9/20 (토) 3차 창의성디자인 워크샵 21 file 류우정 2008.09.12 6788
518 후기 [기획] 신두리여행...그리고 사진 - 라이트룸을 이용한 사진보정 12 박순필 2010.06.02 6643
517 자료 [자료]『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2 file 송은경 2009.09.17 5406
516 자료 [자료] 8월 영화읽기 - 스펙터클로서의 해운대 1 전광준 2009.09.24 5286
515 공지 [공지] A&U 詩社 2013년 4월 완락재 정기모임 안내 송은경 2013.04.03 5236
514 자료 [자료] 9월 영화읽기 - 몽타주와 똥파리 6 전광준 2009.10.12 5156
513 공지 창의성디자인 모임 소개 윤성중 2008.05.23 5118
512 자료 [자료] 6월 영화읽기 '낮술' 5 전광준 2009.08.25 4948
511 현장스케치 [창의성디자인 1차 번개 모임 현장스케치] 도예가 이종수 선생님과의 만남 7 류우정 2008.05.18 4888
510 후기 [후기] 북아카데미 제 1강. 그대 마음 속의 모델하우스 Ⅱ 7 송은경 2009.05.23 4828
509 공지 [mini] 창디 독서 프로그램 | 독서담소 2010-1 안내 10 전광준 2010.01.10 4470
508 공지 [안내] 예전글-김억중 교수님 마암리자택 위치 4 김홍섭 2008.04.21 44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