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 詩社

조회 수 2891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늘 둔산도서관에서 5월 21일부터 4주간 진행되는 직장인 북아카데미 1주차 다녀왔습니다. 좋아하는 비도 오는데다 마음에 부담이었던 보고서 제출까지 마치고 나니 가벼운 마음으로 즐겁게 강의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함께 하고 싶지만 참석하지 못하신 분들이 많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 강의 들으면서 적은 것들 올립니다.(역시 디자인을 하시는 분이시구나 싶은 감각적인 파워포인트를 보여드리지 못하는 것이 정말 아쉬울 따름입니다...) 하나에 다 쓰면 스크롤 압박이 심할 듯 해서 2편으로 나누어 올리겠습니다. 받아들이는 사람의 재해석이 포함되어있을 수도 있음을 감안하시길 부탁드리며, 김억중 교수님의 명강의 나름대로 해석하기 시작합니다~!





Ⅰ. 이야기 시작하기 : 집에 대한 고정관념 버리기



  이 사진 속에 있는 건물이 무엇으로 보이시나요?



  정답은 ‘공주시 반포면 마암리에 있는 김억중 교수님의 집’입니다. 버려진 공장을 멋진 작업실 겸 살림집으로 변신시킨 이야기가 있는 집이더라구요. 택배기사님이 배달을 왔다가 ‘집’을 찾아서 이 주변의 다른 ‘집’을 헤매는 경우도 많다고 하셨습니다. 우리가 집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 얼마나 강한지를 보여주는 예라고 할 수 있겠지요. 집 앞에 주소가 써있을 텐데도 다른 집을 찾아 다닌 걸 보면 말이죠. ^ㅁ^;;



  이제 집 내부를 들여다보겠습니다.




  평범하지 않지요? 외부와 내부가 일관되게 공장느낌입니다. 교수님은 이런 게 Style고, Style이란 각 요소가 전체 질서 속에서 통합된 하나로 느껴지는 것이라고 정의하셨습니다. 건축에는 전체 속에서 요소가 조화를 이루게 하는 일관된 Style의 추구가 필요하다고요. 퓨전이라고 불리는 것들을 볼 때에 뭔가 불편한 묘한 이질감이 느껴졌던 경험이 떠올랐더랬지요.




Ⅱ. 이야기 풀어가기: 문학과 건축, 이 둘이 왜 함께 하는 걸까?



  건축과 문학이라는 서로 섞이지 않을 것 같은 이 둘이 함께 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집이라는 공간이 가진 특성 때문이었습니다. 집이 지어진 후 그 공간에서 일어날 모든 상황에 대한 상상을 하면서 설계를 하여야만 집에 생명력이 생기는 것이며, 문학은 그 과정에서 구체적인 사유의 힘을 제공하는 원천이 되는 것이죠. 마암리 ‘만불전’의 만 권이 넘는 책이 교수님의 사유하는 눈의 근원이었습니다. 강의에서 인용하신 두보의 말을 덧붙입니다.


“부귀는 반드시 고생스런 근면함으로부터 얻어야 하고, 남아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의 책을 읽어야 한다.”




                                                                                                                  To be continued...

  • ?
    전광준 2009.05.22 09:58
    잘 정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작년 여름의 창디워크샵 제대로 접하셨겠네요 ^^ 비록 사진이지만, 김억중 교수님댁도 보셨고. 김교수님 강조하신 것처럼 작품들에 드러난 <창의력>은 사유하는 눈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이 가슴으로 받아들여집니다. 사유의 깊이에서 창의력까지, 김교수님께 제대로 배우게 된 것이 얼마나 행운인지 모르겠습니다. 아직은 갈길이 멀지만, 오래 꿋꿋하게 걸어보겠습니다.
  • ?
    이향숙 2009.05.22 09:58
    우와~ 나름 후기소감 올리려 왔더니... 부지런하시네요...
    그동안 창의성디자인 워크샵을 참석못해 못내 아쉬워서 속상했는데....
    어제 교수님의 강연 너무 좋았습니다...
    시간이 부족하여 마지막부분에 그냥 넘어간부분도 아쉽고... 시간에 상관없이 모든 이야기를 듣고 싶었습니다.
    다음 강연때 다시뵙겠습니다
  • ?
    송은경 2009.05.22 09:58
    저도 시간이 부족해서 마지막 부분 못들은 게 아쉽더라구요.
    일찍 가서 인사하려고 했는데 쪼끔 지각해서 이향숙님이 어느 분이신지 알지 못하고 돌아왔네요. ^-^;;
    저는 입구 쪽 셋째줄 두번째 자리에 앉아있었는데 어디에 앉으셨었는지요?
  • ?
    이향숙 2009.05.22 09:58
    어~ 정말요?? 저두 그줄 옆에옆에 등치큰녀석과 같이 앉아있었습니다.
    다음엔 꼭 반갑게 인사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27 공지 [공지]제2차 창의성디자인 워크샵 안내 7.12-13 13 이나라 2008.07.03 3103
426 자료 [자료] 12월 발표(1) Judith, 같은 대상 다른 시선 전광준 2009.12.31 3101
425 창의성디자인 1월 정기모임 안내 류은희 2011.01.12 3100
424 현장스케치 [사진] 창.디. 윤증고택 답사 - 인물 5 이정원 2008.10.13 3087
423 자료 [김억중 교수님 작품] 어사재 이혜영 2009.03.23 3068
422 공지 [공지] 창의성 디자인 1차 워크샾 최종 안내입니다. 12 류우정 2008.06.11 3064
421 자료 [기획] 오세섭 감독의 씨네오딧세이① 디스트릭트9 전광준 2010.06.01 3056
420 공지 [안내] 2월 정기모임 | 엄마의 커다란 김치찌개 (수정) 25 전광준 2010.02.07 3051
419 공지 창의성 디자인 + 인문철학 어떨까요? 1 임말희 2008.06.19 3045
418 공지 창의성디자인 공부모임에 대하여 16 김억중 2008.09.23 3001
417 [기사] 대전출신 바리톤 정경 소개ㅣ 월간 대전예술 5월호 5 정은현 2010.05.27 2992
416 공지 [안내] 창디가 생각하는 창의성디자인 전광준 2009.12.04 2992
415 후기 [후기] 2월 통섭발표 -그림책 속 존재, 빛 그리고 어두움 8 file 허수정 2010.02.26 2986
414 공지 추사고택 심사발표!!! 12 file 전재홍 2008.12.28 2974
413 칼럼 [칼럼] 고려 선비에게 디자인 해법을 묻다 2 김억중 2011.02.06 2965
412 자료 [정보] 김억중 교수님 최근 설계 주택- 사가헌 2 이혜영 2009.04.22 2964
411 공지 [안내] 10월 창디모임 <시즌2. 에피소드02> 15 전광준 2009.10.13 2956
410 공지 [재공지] 제2차 창디번개 안내 2 이나라 2008.06.28 2954
409 현장스케치 [창의성 디자인 제 3차 번개 모임 현장스케치] 대전 클래식 기타 앙상블과 바이올린 협연 6 류우정 2008.08.19 2952
408 후기 바리톤 정경 독창회 <Review> 6 이상철 2010.02.24 29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