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 詩社

자료
2009.03.23 06:47

[김억중 교수님 작품] 사미헌

조회 수 280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와 삶 어우러진 집]논산 ‘사미헌’

 

자연을 담은 창문… 자연에 담긴 정원

 


 

 



김억중(53)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는 주택을 의뢰한 건축주에게 그 집의 이름을 소개하는 시와 산문을 함께 선사한다.

옛 한옥처럼 당호()를 만들어 얹는 것이 그의 주택 건축을 마무리하는 디테일 작업인 셈. 김 교수는 충남 논산 가야곡면 산노리 탑정호숫가에 자리 잡은 ‘사미헌()’을 마감하는 시에 “풍경은 잠시도 멈추지 않고 바람에 흩어지거나 물속으로 스며든다…넘치고 차고 흩어지고 휘도는 모든 것에 편히 쉴 것을 권하는 건축”이라고 썼다.

사미헌의 네 가지 아름다움은 좋은 날, 좋은 경치, 좋은 마음, 좋은 일이다. 하늘 높은 날에 주위를 감싼 아름다운 풍광을 먼 길 찾아온 손님들과 더불어 나누는 일이 집 주인의 큰 행복이라는 뜻이다.

건축주 방석식(62) 씨는 김 교수가 2006년 충남 공주 ‘어사재(·지금과 여기에 충실한 집)’를 완공한 뒤 3일간 열었던 공개행사에 참석하고 나서 ‘이분에게 내 집 설계를 맡겨야겠다’고 마음을 굳혔다.

“집안 곳곳 창문에 주위의 자연을 액자처럼 잘 담아 놓은 집이었습니다. 울긋불긋 요란하게 치장하지 않는 스타일도 맘에 들었고요. 사미헌 3층 안방에서 잠자리에 누우면 은은한 달빛이 호수를 넘어 창가로 스며듭니다. ‘내가 집에 돌아왔구나’ 안도하며 잠들 수 있죠.”

김 교수는 ‘사람이 돌아가 쉴 장소’로서의 집은 묵직한 고요함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외출복을 벗으면서 스트레스도 함께 벗을 수 있는 공간. 노출콘크리트를 외장마감재로 즐겨 쓰는 것은 땅에 뿌리를 내린 견고한 삶의 뼈대라 할 만한 중량감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

2006년 10월 이 집의 설계를 요청받고 나서 김 교수는 망설였다. 풍광이 아름다운 땅에 건물을 올리는 것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주변을 감싼 풍성한 경관을 조심스레 열고, 닫고, 비우고, 채우며 설계를 완성하는 데 꼬박 7개월이 걸렸다.



 

“주변과 소통하는 공간의 여닫음 외에 주택의 모든 다른 요소는 그 흐름을 보조하는 장치일 뿐입니다. 집에서 소중한 것은 방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의 관계에 있어요. 하늘과 구름, 빛과 그림자는 하나의 건축물을 완성하


는 중요한 재료입니다.”

내부는 한지와 자작나무 합판으로 단정하게 마감했다. 눈을 피곤하게 하는 요소를 집안에서 치워 없애야 한다는 그의 신념이 얼핏 투박해 보이는 단순한 내부공간에 잘 드러나 있다. 하지만 마감 디테일은 섬세하게 떨어진다. 정교한 마감을 위해 김 교수는 설계사무소와 별도로 시공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건축면적은 150m²로 택지 매입비를 제외한 건축비는 3억5000만 원. 1월 완공한 뒤


집을 보러 찾아오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집의 중심인 1층 나무 바닥 정원은 이들을 위해 비워 놓은 공간이다. 계단 옆에 앉아 호수를 바라보는 시선이 집 전체의 성격을 보여주는 메인 프레임이다.

김 교수는 프랑스에서 활동 중인 화가 김인중 신부의 동생이다. 젊은 시절 형의 도움으로 프랑스에 유학을 갔다가 그림에 대한 형의 훈수에 자신만의 시각을 잃을까 두려워 스위스로 떠났다.

“지금 생각해 보면 형이 그때 한 말이 다 맞아요. 그림을 그리기 전에 마음속에서 그리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하셨죠. 집도 마찬가지예요. 어떤 집을 지어 주변 환경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설계 전의 고민이 치열할수록 결과물이 덜 부끄럽지요”.

 

손택균기자 : 동아일보 2008.12.4
  • ?
    황예순 2009.03.23 06:47
    사미헌 이름이 참으로 맘에 듭니다.
    -좋은 날, 좋은 경치, 좋은 마음, 좋은 일-
    제 닉은 좋은 날 입니다
    교수님의 건축 또한 소통의 길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7 [정보] Whoops씨의 위대한 상상력 외 5건 전시회 전광준 2009.10.04 66215
526 후기 ' 김억중'의 집읽기와 " 융'의 마음읽기 4 김갑중 2008.09.23 39056
525 공지 [공지] 창의성디자인모임 번개모임 8 윤성중 2008.08.14 33333
524 [정보] 12.24 대전예술의 전당 천원콘서트 전광준 2009.12.01 21725
523 후기 [mini] 독서담소 2010-1, 인간을 위한 디자인 후기 6 류은희 2010.01.30 11493
522 자료 요셉 보이스의 '사회적 조각'(Social Sculpture) 1 류은희 2013.09.09 9177
521 공지 [창디 도서목록] '책 속의 책'을 찾아 떠나는 독서여행 4 김억중 2011.01.15 8413
520 자료 [자료] 7월 영화읽기 - 웰메이드 스펙터클의 조건 3 전광준 2009.09.23 7578
519 공지 [최종공지] 9/20 (토) 3차 창의성디자인 워크샵 21 file 류우정 2008.09.12 6788
518 후기 [기획] 신두리여행...그리고 사진 - 라이트룸을 이용한 사진보정 12 박순필 2010.06.02 6643
517 자료 [자료]『행복의 건축』 알랭 드 보통 2 file 송은경 2009.09.17 5406
516 자료 [자료] 8월 영화읽기 - 스펙터클로서의 해운대 1 전광준 2009.09.24 5286
515 공지 [공지] A&U 詩社 2013년 4월 완락재 정기모임 안내 송은경 2013.04.03 5236
514 자료 [자료] 9월 영화읽기 - 몽타주와 똥파리 6 전광준 2009.10.12 5156
513 공지 창의성디자인 모임 소개 윤성중 2008.05.23 5118
512 자료 [자료] 6월 영화읽기 '낮술' 5 전광준 2009.08.25 4948
511 현장스케치 [창의성디자인 1차 번개 모임 현장스케치] 도예가 이종수 선생님과의 만남 7 류우정 2008.05.18 4888
510 후기 [후기] 북아카데미 제 1강. 그대 마음 속의 모델하우스 Ⅱ 7 송은경 2009.05.23 4827
509 공지 [mini] 창디 독서 프로그램 | 독서담소 2010-1 안내 10 전광준 2010.01.10 4470
508 공지 [안내] 예전글-김억중 교수님 마암리자택 위치 4 김홍섭 2008.04.21 446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