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 詩社

자료
2009.03.23 06:47

[김억중 교수님 작품] 사미헌

조회 수 2804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와 삶 어우러진 집]논산 ‘사미헌’

 

자연을 담은 창문… 자연에 담긴 정원

 


 

 



김억중(53) 한남대 건축학과 교수는 주택을 의뢰한 건축주에게 그 집의 이름을 소개하는 시와 산문을 함께 선사한다.

옛 한옥처럼 당호()를 만들어 얹는 것이 그의 주택 건축을 마무리하는 디테일 작업인 셈. 김 교수는 충남 논산 가야곡면 산노리 탑정호숫가에 자리 잡은 ‘사미헌()’을 마감하는 시에 “풍경은 잠시도 멈추지 않고 바람에 흩어지거나 물속으로 스며든다…넘치고 차고 흩어지고 휘도는 모든 것에 편히 쉴 것을 권하는 건축”이라고 썼다.

사미헌의 네 가지 아름다움은 좋은 날, 좋은 경치, 좋은 마음, 좋은 일이다. 하늘 높은 날에 주위를 감싼 아름다운 풍광을 먼 길 찾아온 손님들과 더불어 나누는 일이 집 주인의 큰 행복이라는 뜻이다.

건축주 방석식(62) 씨는 김 교수가 2006년 충남 공주 ‘어사재(·지금과 여기에 충실한 집)’를 완공한 뒤 3일간 열었던 공개행사에 참석하고 나서 ‘이분에게 내 집 설계를 맡겨야겠다’고 마음을 굳혔다.

“집안 곳곳 창문에 주위의 자연을 액자처럼 잘 담아 놓은 집이었습니다. 울긋불긋 요란하게 치장하지 않는 스타일도 맘에 들었고요. 사미헌 3층 안방에서 잠자리에 누우면 은은한 달빛이 호수를 넘어 창가로 스며듭니다. ‘내가 집에 돌아왔구나’ 안도하며 잠들 수 있죠.”

김 교수는 ‘사람이 돌아가 쉴 장소’로서의 집은 묵직한 고요함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외출복을 벗으면서 스트레스도 함께 벗을 수 있는 공간. 노출콘크리트를 외장마감재로 즐겨 쓰는 것은 땅에 뿌리를 내린 견고한 삶의 뼈대라 할 만한 중량감을 갖게 하기 위해서다.

2006년 10월 이 집의 설계를 요청받고 나서 김 교수는 망설였다. 풍광이 아름다운 땅에 건물을 올리는 것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주변을 감싼 풍성한 경관을 조심스레 열고, 닫고, 비우고, 채우며 설계를 완성하는 데 꼬박 7개월이 걸렸다.



 

“주변과 소통하는 공간의 여닫음 외에 주택의 모든 다른 요소는 그 흐름을 보조하는 장치일 뿐입니다. 집에서 소중한 것은 방안에 있는 것이 아니라 주변과의 관계에 있어요. 하늘과 구름, 빛과 그림자는 하나의 건축물을 완성하


는 중요한 재료입니다.”

내부는 한지와 자작나무 합판으로 단정하게 마감했다. 눈을 피곤하게 하는 요소를 집안에서 치워 없애야 한다는 그의 신념이 얼핏 투박해 보이는 단순한 내부공간에 잘 드러나 있다. 하지만 마감 디테일은 섬세하게 떨어진다. 정교한 마감을 위해 김 교수는 설계사무소와 별도로 시공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건축면적은 150m²로 택지 매입비를 제외한 건축비는 3억5000만 원. 1월 완공한 뒤


집을 보러 찾아오는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집의 중심인 1층 나무 바닥 정원은 이들을 위해 비워 놓은 공간이다. 계단 옆에 앉아 호수를 바라보는 시선이 집 전체의 성격을 보여주는 메인 프레임이다.

김 교수는 프랑스에서 활동 중인 화가 김인중 신부의 동생이다. 젊은 시절 형의 도움으로 프랑스에 유학을 갔다가 그림에 대한 형의 훈수에 자신만의 시각을 잃을까 두려워 스위스로 떠났다.

“지금 생각해 보면 형이 그때 한 말이 다 맞아요. 그림을 그리기 전에 마음속에서 그리는 과정이 더 중요하다고 하셨죠. 집도 마찬가지예요. 어떤 집을 지어 주변 환경과 어떤 관계를 맺을 것인가…. 설계 전의 고민이 치열할수록 결과물이 덜 부끄럽지요”.

 

손택균기자 : 동아일보 2008.12.4
Prev 10월 창디모임 워크샵(10월18일) 발표자 모집 10월 창디모임 워크샵(10월18일) 발표자 모집 2008.09.27by 김억중 달님같은 우리 회원들^ ^ Next 달님같은 우리 회원들^ ^ 2008.09.15by 이동선
  • ?
    황예순 2009.03.23 06:47
    사미헌 이름이 참으로 맘에 듭니다.
    -좋은 날, 좋은 경치, 좋은 마음, 좋은 일-
    제 닉은 좋은 날 입니다
    교수님의 건축 또한 소통의 길입니다.

  1. [후기] 창디 사진 배우기, 그 두 번째

    Date2010.03.15 Category후기 By전광준 Views2856
    Read More
  2. [사진] 창.디. 윤증고택 답사 - 인물

    Date2008.10.13 Category현장스케치 By이정원 Views2846
    Read More
  3. [후기] 북아카데미 4강. 열고 닫는데 미학이 자리한다.

    Date2009.08.04 Category후기 By송은경 Views2844
    Read More
  4. [사진] 독락당 읽기

    Date2010.03.30 Category현장스케치 By이병설 Views2842
    Read More
  5. [공지] 창디 11월 정기모임 안내입니다.

    Date2010.11.13 By송은경 Views2841
    Read More
  6. [안내] 창의성디자인 모임 답사에 대해.

    Date2009.04.25 Category공지 By이혜영 Views2836
    Read More
  7. [후기] 8차 창의성 디자인 모임

    Date2009.02.24 Category후기 By이혜영 Views2834
    Read More
  8. [마감] Made In Daejon 1 <예술의 전당>

    Date2010.08.20 Category공지 By정은현 Views2833
    Read More
  9. [공지] 창의성 디자인 제 3차 워크샵 - 어화 둥둥~*

    Date2008.09.02 Category공지 By류우정 Views2832
    Read More
  10. [사진] 창의성디자인 - 건축사진배우기

    Date2008.12.05 Category현장스케치 By이정원 Views2830
    Read More
  11. 따뜻함과 서늘함에 대하여

    Date2009.10.16 Category칼럼 By김억중 Views2823
    Read More
  12. [김억중 교수님 작품] 봉곡리 주택.

    Date2009.03.23 Category자료 By이혜영 Views2819
    Read More
  13. [마감] 창디 워크샵 - 사진영상 노하우 공개

    Date2010.06.09 Category공지 By전광준 Views2815
    Read More
  14. [공지] 제 2차 창디 번개모임- 석헌 임재우 선생님과의 만남

    Date2008.06.22 Category공지 By이나라 Views2814
    Read More
  15. 6, 7월 정기모임 필독도서 1차 목록

    Date2008.05.24 Category공지 By윤성중 Views2813
    Read More
  16. [사진] 아마데우스 복습설명+영화상영회 현장

    Date2010.04.06 Category현장스케치 By전광준 Views2811
    Read More
  17. 전망에 대한 전망

    Date2010.03.15 Category칼럼 By김억중 Views2809
    Read More
  18. 10월 창디모임 워크샵(10월18일) 발표자 모집

    Date2008.09.27 Category공지 By김억중 Views2807
    Read More
  19. [김억중 교수님 작품] 사미헌

    Date2009.03.23 Category자료 By이혜영 Views2804
    Read More
  20. 달님같은 우리 회원들^ ^

    Date2008.09.15 Category후기 By이동선 Views280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27 Next
/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