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1866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천백북스 제60차 정기모임 후에, 유문무 교수님과 김동일 이사님과 길을 걸으며 영화 <묵공>에 대해 잠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피타고라스 학파를 연상시키는 묵가는 동양사상에서는 유일무이하게 합리주의(이성주의)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200 여명의 소수 정예로 이루어진 묵자의 제자들은 대부분 무인과 엔지니어로 이루어 졌습니다.
이들 묵가는 400 여년간 유지되었고, 묵자의 사상은 후일 진시황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도량형 통일, 법전)

묵자와 500 여년 이후 태어난 예수와의 공통점도 흥미로운 부분인데, 강독모임에서 차차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합니다.





孔席不暇暖 ,墨突不得黔



공자가 앉은 자리는 따뜻할 겨를이 없었고, 묵자가 머물렀던 집의 굴뚝에는 검정이가 묻을 일이 없었다.




  1. No Image 04Feb
    by 김미선
    2010/02/04 by 김미선
    Views 1887 

    12차 모임 회계 내역(2월 2일)

  2. 인천백북스 24차 내안의 유인원 토론 후기

  3. 인천에 흥미로운 강연들이 무료로 열린다고 하네요.

  4. 1/10 (금) 인천해석 <인간의 인지 구도> (최종공지)

  5. 인천토요공부모임 3회 회계 / 스케치

  6. 5/16 (금) 제60차 <신경 건드려보기> (공지)

  7. 인천 해석 제16회 주민수 회원(물리학박사) 4 스케치

  8. 11/04/05 26차 <철학의 나무 1, 2>

  9. 제21차 인천백북스 발표 요약 자료(소유의 종말)

  10. 2012.04.12. (목) 제38차 < 상대성이란 무엇인가 >

  11. No Image 11Mar
    by 안희찬
    2010/03/11 by 안희찬
    Views 1868 

    올 연말 '암흑물질' 존재 밝혀지나

  12. [인미모] 묵자 읽기 1 (계속 작성중)

  13. 인천백북스 6~8차 준비모임 회계보고

  14. 기분좋은 날

  15. 제32차 김우성 대표 <공간은 컨텐츠가 생명이다> 스케치

  16. 초기 시각 영역은 '의식적 자각'에 관련이 있을까, 없을까?

  17. 12/13 (금) 57차<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공지)

  18. 9차 준비모임 회계내역(11월 2일)

  19. 인천토요모임(7월20일)에서 <뇌와 도덕성>에 대한 강의

  20. 인천백북스 선정도서를 추천해 주세요.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