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1734 추천 수 0 댓글 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58차 인천모임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


- 일시 : 2014.02.14. (금) 19:00

- 장소 : 인천불교회관 청소년문화원 2층 강의실

- 발제 : 안희찬 회원


- 회비 : 없음


- 문의 : 회장 안희찬
010-8712-1429

- 문의 : 총무 김형태
010-9390-7195























 선정도서  〈붓다의 가르침〉 월폴라 라훌라 1907 – 1997
 선정도서 Walpola Rahula,  What the Buddha Taught  (1959)는 다음과 같이 3종의 번역본이 있습니다. 
 전재성  1981 / 1993 / 2002 / 2005
 진철승  1988
 이승훈  1995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다는 사실이 있다









































 인천백북스 공부모임 장소안내

  • profile
    김형태 2014.01.17 05:27
    모태신앙으로 기독교 감리교인인 제가 처음으로 읽고있는 불교개론서입니다.
    숨겨진 보석과도 같은 귀한 冊과의 만남을 준비하신 모든 분들의 수고와 인연에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
  • ?
    안희찬 2014.01.17 05:27
    제58차 모임에서는 "붓다의 가르침과 팔정도"중 우선 붓다가

    어떤분 이신지에 대하여 같이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

    정기모임때 뵙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profile
    김형태 2014.01.17 05:27
    백북스 제112회 선정도서를 인천모임에서 다시금 공부하게 되어 더없이 기쁘게 생각합니다.

    안희찬 인천모임 회장님의 귀한 정성에 깊이 감사드리며, 여러모로 뜻 깊은 의미를 담은 인천정기모임 이기에
    더욱 기다려 집니다. 불교에 대해 문외한인 저로서는 너무도 어려운 내용이지만, 회장님과 인천회원님들께서
    함께 공부를 이끌어 주실 것을 믿기에 작은 용기를 내어 봅니다.

    이 번, 제58차 인천공부모임이 일회성 공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보다 깊이있고 의미있는 공부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도 가져 봅니다. 고맙습니다.
  • ?
    장철순 2014.01.17 05:27
    저도 불교에 대하여 관심이 많습니다.
    불교에 대하여 해박한 지식과 지혜를 가지신 안희찬 회장님께서 지식기부를 하신다니 보다 많은 것을 배우게 되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불교의 기본교리(敎理)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에 대한 소고(小考)]

    불교의 기본교리는 큰 틀에서 보면 현재의 과학적 사고에 따른 현대 철학적으로 보아도 매우 합리적이라고 저는 생각이 되어집니다.
    “사성제(四聖諦,)는 근원적 진리(또는 진실)라는 의미로 고제(苦諦),집제(集諦),멸제(滅諦),도제(道諦)로 이를 현대 과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생물학적 속성에 대한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팔정도(八正)는 1.정견(正見), 2.정사유(正思惟), 3.정어(正語), 4.정업(正業) 5.정명(正命), 6.정정진(正精進), 7.정념(正念), 8.정정(正定)으로 이를 과학적 관점에서 보면 인간의 삶은 대부분 뇌에서 이루어지는 인식(또는 인지)작용과 이에 따른 행위로 살아가므로 현대철학의 관점에서 보면 뇌 과학으로 해석이 되어지는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현재의 철학은 크게 보면 과학적 사고에 따른 “존재론(실체와 현상)”과 이에 대한 인간의 “인식론”으로 다루어지는데, 이는 불교의 “사성제”와 “팔정도”와 유사한 관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이 되어집니다.

    따라서 저는 불교의 기본교리(敎理)와 현재철학은 같은 관점으로 다루어지고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제가 올바로 보고 있는 것인지 모르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84 칼럼 老子 2章 4 주민수 2014.11.01 2901
483 후기 화이트헤드 철학의 원자론과 과정과 실재 이해 5 미선 2013.02.16 2528
482 후기 형이상학이 우리 삶의 일상과 뇌에 큰 영향을 끼칠 때.. 5 미선 2013.03.11 1940
481 한 생각!! 4 주영준 2010.12.28 1819
480 공지 페트리샤 처칠랜드 교수가 한국에 오십니다. 3 박제윤 2011.11.21 2482
479 패러다임 퀴즈-뇌과학 편(1) 6 임성혁 2009.09.07 2431
478 칼럼 테세우스의 배-2 : 우리 몸의 주인은? 1 주민수 2011.06.02 2236
477 칼럼 테세우스의 배-1 : 나르시스의 전설 5 주민수 2011.05.26 2628
476 후기 퀀텀 브레인 후기 11 김양겸 2011.03.09 2385
475 치매 파킨슨병 진행원리 세계 첫 규명 안희찬 2009.07.30 2554
474 현장스케치 춘천마라톤에서의 백북스 회원들 4 안희찬 2009.10.29 2687
473 초기 시각 영역은 '의식적 자각'에 관련이 있을까, 없을까? 2 이일준 2011.06.02 1866
472 공지 처칠랜드 교수 강의 취소되었습니다. 2 박제윤 2011.12.04 1922
471 공지 책은 함께 읽어야 한다는 생각 6 김형태 2013.12.20 2583
470 착각은 자유 6 김주현 2010.02.09 2447
469 칼럼 진공 놀이공원의 앨리스와 상대론 2 주민수 2013.02.28 2250
468 중력은 없다 1 file 박경호 2010.07.14 2297
467 칼럼 주민수 박사님, <괴델과 아인슈타인> pdf 요약자료 10 file 김형태 2012.08.07 2939
466 조장희 박사님의 연구소 모습 2 김주현 2010.03.21 2428
465 조장희 뇌과학연구소장님 독서방법 김주현 2010.03.21 269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