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469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브랑쿠시 (397)
http://en.wikipedia.org/wiki/Constantin_Br%C3%A2ncu%C5%9Fi


* 란초 라 브레아 (397)
http://en.wikipedia.org/wiki/La_Brea_Tar_Pits
http://en.wikipedia.org/wiki/Rancho_La_Brea

* 트라팔가 광장의 넬슨 기둥 (397)
Trafalgar Square






*피터 래빗 (399) : Peter Rabbit
http://en.wikipedia.org/wiki/Peter_Rabbit

* Just so Stories (400)
http://en.wikipedia.org/wiki/Just_So_Stories


12_인류 Humanity

* 레이먼드 다트 (406)
1924년 타웅아이 발견
http://en.wikipedia.org/wiki/Raymond_Dart

* 호모 하빌리스 (407)
http://en.wikipedia.org/wiki/Homo_habilis

* 라에톨리 발자국 (409)
http://www.pbs.org/wgbh/evolution/library/07/1/l_071_03.html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15448
http://en.wikipedia.org/wiki/Laetoli
http://archaeology.about.com/od/lterms/g/laetoli.htm



* 롱펠로 (409)
http://en.wikipedia.org/wiki/Henry_Wadsworth_Longfellow

Lives of great men all remind us
We can make our lives sublime,
And, departing, leave behind us
Footprints on the sand of time;


http://www.poemhunter.com/poem/a-psalm-of-life/

*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라미두스 (416)
http://en.wikipedia.org/wiki/Ardipithecus
http://en.wikipedia.org/wiki/Ardi
http://www.age-of-the-sage.org/evolution/ardi_human_origins.html
http://en.wikipedia.org/wiki/Tim_D._White




* 필립 토비아스 (417) : Philip Tobias
http://en.wikipedia.org/wiki/Phillip_V._Tobias

* 니콜라스 토스 (418) : Nicholas Toth
http://www.indiana.edu/~anthro/people/faculty/toth.html

* 서포크 (418) : Suffolk
http://en.wikipedia.org/wiki/Suffolk


* 보더스 교수 (418) : Professor Bordes
http://en.wikipedia.org/wiki/Fran%C3%A7ois_Bordes


* 네안데르탈 (422)
http://en.wikipedia.org/wiki/Neanderthal
http://www.talkorigins.org/faqs/homs/savage.html
http://www8.georgetown.edu/centers/cndls/applications/postertool/index.cfm?fuseaction=poster.display&posterID=3271

* 라페라시 (423)
http://en.wikipedia.org/wiki/La_Ferrassie_1

* 크로마뇽 (427)
http://en.wikipedia.org/wiki/Cro-Magnon
http://www.donsmaps.com/cromagnon.html
http://www.kayak.com/Les_Eyzies_De_Tayac-Hotels.Cro-Magnon-Map.72911.m.ksp

* 휴이넘 (429, 430, 434)
http://en.wikipedia.org/wiki/Houyhnhnm

Gulliver in discussion with Houyhnhnms (1856 lllustration by J.J. Grandville.)

* 에머밀 (435)
http://en.wikipedia.org/wiki/Emmer




13_우연의 바퀴들 Wheels Of Chance

* 예이츠 (439) : Yeats
http://en.wikipedia.org/wiki/W._B._Yeats

The Choice


The intellect of man is forced to choose
perfection of the life, or of the work,
And if it take the second must refuse
A heavenly mansion, raging in the dark.
When all that story's finished, what's the news?
In luck or out the toil has left its mark:
That old perplexity an empty purse,
Or the day's vanity, the night's remorse

선택

사람의 지성은 삶의 완성과 일의 완성 사이에
선택하도록 강요받네.
그리고 그것이 두 번째를 선택하게 되면 어둠 속에서
분노하면서, 천국의 저택을 거절해야 하네.
모든 이야기가 끝이 날 때 새로운 것은 무엇인가?
행운이 있든지 또는 없든지 간에 노고는 그 흔적을 남겼네.
그 오래된 당혹감도 빈 지갑,
또는 낮의 공허함, 밤의 후회를 남겼네. (조동열 역)




* ironbark (443)
http://en.wikipedia.org/wiki/Ironbark

* 버클리 주교 (446) : Bishop Berkeley
http://en.wikipedia.org/wiki/George_Berkeley

* 모리스 라벨 (446) : Maurice Ravel
http://en.wikipedia.org/wiki/Maurice_Ravel

"볼레로"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ngsb1601&logNo=10107204246
http://youtu.be/8po7FZonP-I

* 괴테 (445, 448)
나는 경탄하기 위해서 여기 있노라

As Goethe said, "Zum Erstaunen bin ich da" — I am here to wonder. There are no trite moral lessons, nor are homilies desirable about cycles of history which are destined to come around once more.

http://en.wikipedia.org/wiki/Johann_Wolfgang_von_Goethe

The Metamorphosis of Plants

<밑줄긋기>

* 생물과 환경은 연결된 하나의 계이며, 탯줄로 연결된 것과 같다. (152)

* 우리는 자신의 삶을 아는 것만큼 확실하게 과거를 파악하지는 못한다. 어떤 의미에서 과거는 언제나 허구이며, 알고 있는 것을 통해서 비밀을 파헤치려는 노력의 산물이다. (309p)

* 현재 활발하게 일하는 대다수 과학자들에게 학회는 위험과 낭패감으로 가득한 곳이며, 사업가들의 세계처럼 공격적인 환경이다. (344p) 학회 뒤풀이도 가장 최신의 개념이 무엇인지 간파하려고 애쓰는 야심가들이 우글거리는 도떼기 시장이나 다름없다. 연줄이 위조되고 충성 서약이 이루어진다. (345p)

<원문 대조>

(89) 생명은 자신의 구두끈으로 자신을 높이 올렸다.
Life hoisted itself up by its own bootstraps.

(123) 영국에서는 웨일스 변경 지대에 있는 ...
In England there are scruffy pits and stream beds in Shropshire, close to Church Stretton in the Welsh Borders.

(124) 미스테이큰 곶 남쪽에 부린 반도가 있는데...
On the Burin Peninsula, in the south of the island near Mistaken Point, the cliffs that dip into the sea are covered with prints of fossils of the Ediacara fauna.

<참고서적>

마이클 J. 벤턴, 대멸종, 139-147 p
-1980년 발표된 논문 : 백악기-제3기 멸종의 외계원인


<참고논문>

DOI: 10.1306/212F87CE-2B24-11D7-8648000102C1865D
Synsedimentary Slides and Bedding Formation in Apennine Pelagic Limestones
Walter Alvarez, Roberto Colacicchi, Journal of Sedimentary Research Volume 55 (1985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6 : 생명이란 무엇인가? 주민수 2014.01.27 2186
303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5 : <마음의 탄생> 요약-3 주민수 2014.01.20 1819
302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4 : <마음의 탄생> 요약-2 1 주민수 2014.01.20 1910
301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3 : <마음의 탄생> 요약-1 3 주민수 2014.01.12 2216
300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2 1 주민수 2013.07.06 2358
299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1 7 주민수 2013.05.06 2515
298 인문학에게 뇌과학을 말하다. 5 이일준 2011.06.02 1483
297 인문학에게 뇌과학을 말하다 후기... 10 이일준 2011.06.07 1920
296 인문학 강좌에 초대합니다. 2 조용만 2010.11.17 1838
295 인류 마지막 진화 티베트서 일어났다 5 안희찬 2010.07.07 2132
294 자료 이종필 박사 인터뷰 8 김주현 2012.09.05 3180
293 칼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논리학 10 주민수 2012.07.16 2118
292 공지 이기두님과 백북스 회원님들께 깊이 사과드립니다. 23 김형태 2012.08.12 4845
291 유인원 분류학의 흑역사 2 손호선 2011.02.08 3197
290 현장스케치 운영진 프로필 12 김미선 2011.01.02 2292
289 우리들의 10대 발표를 끝내고 6 file 송찬옥 2011.05.04 1832
288 칼럼 우리는 왜 수학을 공부하는가?(김두환) 2 김두환 2012.07.27 2212
287 올 연말 '암흑물질' 존재 밝혀지나 안희찬 2010.03.11 1868
286 오래된 연장통 가고 싶네요. 5 손호선 2011.06.15 1520
285 오늘 운영진 회의합니다. 김주현 2009.09.04 22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