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자료
2011.04.07 20:07

[과학철학] 주석 및 참고자료

조회 수 357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Collingwood

자신이 연구하는 과학에 대해 철학적 사고를 하지 않는 과학자는 조수나 모방자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이며, 제반 분야의 과학을 공부한 경험이 없는 철학자는 멍청한 철학을 할 것이다.

For this reason it cannot be well that natural science should be assigned exclusively to one class of persons called scientists and philosophy to another class called philosophers. A man who has never reflected on the principles of his work has not achieved a grown-up man’s attitude towards it; a scientist who has never philosophized about his science can never be more than a second-hand,imitative, journeyman scientist. A man who has never enjoyed a certain type of experience cannot-reflect upon it; a philosopher who has never studied and worked at natural science cannot philosophize about it without making a fool of himself.
(Collingwood(1945),The Idea of Nature, p.2~3)


Robin George Collingwood
http://en.wikipedia.org/wiki/R._G._Collingwood


The Idea of Nature
http://www.questia.com/PM.qst?a=o&d=3833339


2. 철학은 비판적 논의 (批判的 論議)

비판적 논의(고찰)는 critical review, critical discussion, critical study, critical devate로 번역된다.
"비판적"이라는 것은 value judgement이며, merits와 faults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르게 표현하면, "대상"을 분석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철학은 비판적 논의"라는 말은 "철학의 본질은 비판적 논의"이라고 달리 표현할 수 있다.

http://en.wikipedia.org/wiki/Critical
http://en.wikipedia.org/wiki/Criticism
http://en.wikipedia.org/wiki/Critical_thinking

3. 지식, 개념, 이론, 가설, 일반화

http://en.wikipedia.org/wiki/Knowledge
http://en.wikipedia.org/wiki/Concept
http://en.wikipedia.org/wiki/Theory
http://en.wikipedia.org/wiki/Hypothesis
http://en.wikipedia.org/wiki/Generalization

4. [칸트] 선험적 종합판단 (Synthetic A Priori Judgments)

http://www.eazone21.com/Dissertation/Default.asp?Sys=1&Idx=392
http://k.daum.net/qna/view.html?qid=0uqQz
http://en.wikipedia.org/wiki/A_priori_and_a_posteriori
http://en.wikipedia.org/wiki/Analytic-synthetic_distinction

5. 콰인

번역불확정성 (Indeterminacy of translation)
http://en.wikipedia.org/wiki/Indeterminacy_of_translation

지칭불가해성 (inscrutability of reference)
http://en.wikipedia.org/wiki/Inscrutability_of_reference
inscrutability : 헤아릴 수 없음, 불가사의

Two Dogmas of Empiricism
http://en.wikipedia.org/wiki/Two_Dogmas_of_Empiricism

6. 자연화된 인식론 (naturalized epistemology)

http://en.wikipedia.org/wiki/Naturalized_epistemology

상호이론적 환원(intertheoretical reduction)
http://www.zolaist.org/tc/entry/477
* 상호이론적 환원은 간단한 논변이 아니며, 비판적 논의가 필요함


7. 표상의 통합과 분해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contains several distinct cortical areas.
the lateral intraparietal area (LIP)
the medial superior temporal area (MST)
the middle temporal area (MT)

(그림 출처 : Annu. Rev. Neurosci. 1997. 20:303–30 ; Richard A. Andersen, Lawrence H. Snyder, David C. Bradley, and Jing Xing
MULTIMODAL REPRESENTATION OF SPACE IN THE POSTERIOR PARIETAL CORTEX AND ITS USE IN PLANNING MOVEMENTS)

http://en.wikipedia.org/wiki/Lateral_intraparietal_cortex
http://en.wikipedia.org/wiki/Intraparietal_sulcus

8. 볼츠만 머신 (Bolzmann machine)

http://en.wikipedia.org/wiki/Boltzmann_machine

9. 논리적 실증주의 (Logical positivism)

http://en.wikipedia.org/wiki/Logical_positivism
http://csylogos.blog.me/60101057215

논리적 경험주의를 태동시킨 활력의 대부분은, 비엔나(Vienna)에서 과학자와 과학철학자들이 시작한 운동, 즉 논리적 실증주의 때문이었다. 논리적 실증주의는 응집력이 있는 운동으로서, 1928년 마흐(Ernst Mach)의 정규 모임에서 출발했다. 그 모임은 형식적으로 1938년 해체되었으며, 한 운동으로서 논리적 실증주의는 종결되었다. (뇌과학과 철학, 페트리샤 처칠랜드 지음, 박제윤 옮김, 370p)

http://plato.stanford.edu/entries/ernst-mach/
http://en.wikipedia.org/wiki/Ernst_Mach
http://en.wikipedia.org/wiki/Mach_bands
http://en.wikipedia.org/wiki/Vienna_Circle

10. 후건긍정 (Affirming the consequent)

http://en.wikipedia.org/wiki/Affirming_the_consequent

11. 후건부정 (modus tollens)

http://en.wikipedia.org/wiki/Modus_tollens

12. 공약불가능성 (共約不可能性 , incommensurability)

http://en.wikipedia.org/wiki/Commensurability_(philosophy_of_science)

13.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 (Gödel's incompleteness theorems)

- 1931년 쿠르트 괴델이 증명한 두 개의 정리
- 자연수를 포함하는 수학의 형식화에 대한 한계를 증명했다.
- 정리에 따르면, 자연수의 이론을 포함하며 모순이 없는 모든 공리계에는 참이지만 증명될 수 없는 명제가 존재하며, 또한 그 공리계는 자신의 무모순성을 증명할 수 없다.


괴델의 제1 불완전성 정리



공리적인 방법으로 구성해내어 산술적으로 참인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 임의의 무모순인 이론에 대해, 참이지만 이론 내에서 증명할 수 없는 산술적 명제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산술을 표현할 수 있는 이론은 무모순인 동시에 완전할 수 없다.

괴델의 제2 불완전성 정리



산술적인 참인 명제를 증명할 수 있는, 공리로부터 구성된 산술체계에 대하여 이 산술체계가 무모순이라면 이 산술체계는 스스로의 무모순성에 대한 진술을 포함할 수 없고 그 역도 성립한다.
http://en.wikipedia.org/wiki/G%C3%B6del's_incompleteness_theorems 괴델의 불완정성 정리
http://ko.wikipedia.org/wiki/%EB%B6%88%EC%99%84%EC%A0%84%EC%84%B1_%EC%A0%95%EB%A6%AC 불완정성 정리
http://en.wikipedia.org/wiki/Kurt_G%C3%B6del 괴델

14. 인지과학 (Cognitive Science)


인지과학을 형성하고 있는 학문들의 관계를 핵심학문들 간의 관계와 그 학문들이 인지과학에 어떤 주제와 방법 등을 제공하였는가를 중심으로 그림으로 표시해 보면 그림 10 과 같다.
(출처: 이정모, 인지과학 개론, http://cogpsy.skku.ac.kr/)


"뇌과학과 철학" (관련 페이지)
(페트리샤 처칠랜드 지음, 박제윤 옮김)

158 세포구축학적 기준에 의한 대뇌피질의 브로드만 영역
171 신경병렬연결
185 짧은꼬리원숭이 일차시각피질의 원주구조
193 올빼미원숭이의 대응도
198 수직피질원주
352 플라톤
353 데카르트
356 로크, 흄
361 칸트
363, 366 프레게
366 러셀
371 비트겐슈타인
380, 385-390 콰인
406-431; 519-522 상호이론적 환원
613, 615 게 로봇의 운동조절
613 인간지식의 본성은?
642 감각국소대응도; 대응도의 행동조절
647 대응도의 예측 행동조절
653 운동조절과 재인
660 신경망의 표상 ; 색깔의 구분

Patricia Churchland
http://en.wikipedia.org/wiki/Patricia_Churchland

Neurophilosophy: Toward a Unified Science of the Mind-Brain
http://www.amazon.com/Neurophilosophy-Toward-Unified-Science-Mind-Brain
/dp/0262530856
http://books.google.com/books?id=hAeFMFW3rDUC
  • ?
    손호선 2011.04.07 20:07
    너무나 친절한 변정구님....
    과학철학으로 가는 길안내를 해주셨습니다.
    하나하나 차근차근 읽으며 생각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김미선 2011.04.07 20:07
    이번 발표의 상당 부분이 작년 6월에 <뇌과학과 철학> 강연에서 이미 말씀하셨던 내용인데 제 망각 능력에 민망해지네요. 김양겸 님이 정리한 작년 자료와 변 선생님의 링크 자료를 교차시켜서 보면 알찬 복습이 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16차 <뇌과학과 철학> 강연 자료
    http://www.100books.kr/bbs/board.php?bo_table=02Board14&wr_id=523&page=4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현장스케치 제62차 박제윤 회원(인천대학교 교수) 후기스케치 4 김형태 2014.07.12 2379
463 현장스케치 [인미모 3] 묵자 읽기 2회 (스케치) 2 김형태 2014.07.08 2669
462 후기 독서모임, 함께하는 공부에 대한 단상 1 김형태 2014.06.29 3273
461 공지 7/11 (금) 제62차<신경 건드려보기> 3회 (공지) 2 file 김형태 2014.06.27 1974
460 공지 2014 하반기 강독모임 일정 (공지) file 김형태 2014.06.27 2998
459 현장스케치 제61차 인천백북스 5주년 기념모임 스케치 4 김형태 2014.06.15 2515
458 현장스케치 6/13 (금) 인천백북스가 5살이 되었습니다. 4 김형태 2014.06.10 1908
457 현장스케치 [인미모 2]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1회(후기스케치) 2 김형태 2014.06.02 3346
456 공지 6/1 (일)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강독모임 안내 김형태 2014.05.29 2034
455 현장스케치 2014년 인천백북스 결산보고 ( 1월 ~ 5월 ) 김형태 2014.05.19 1751
454 현장스케치 제60차 신경 건드려보기 1회 (회계) 김형태 2014.05.19 1813
453 후기 [인미모] 묵자 읽기 1 (계속 작성중) 김형태 2014.05.17 1866
452 공지 6/13 (금) 제61차 <신경 건드려보기> 2회 (공지) file 김형태 2014.05.17 2131
451 공지 11/2 (일) 인천백북스(강독) 묵자 읽기 5회 (공지) 1 file 김형태 2014.05.12 11074
450 공지 [인미모] 인천백북스 미니모임 (강독모임) 제안 file 김형태 2014.04.25 2815
449 공지 5/16 (금) 제60차 <신경 건드려보기> (공지) 5 file 김형태 2014.04.25 1880
448 현장스케치 제59차 인천백북스 정기모임 결과 보고 file 안희찬 2014.04.21 1577
447 공지 제59차 인천정기모임 안내<고민하는 힘>(2014.04.18) 3 안희찬 2014.03.26 1849
446 인천백북스 정기 모임 안내 안희찬 2014.03.04 1449
445 공지 인천백북스를 떠납니다. 김형태 올림. 7 김형태 2014.02.26 418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