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225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일러두기)

1. 첨부한 파일은 뉴스기사에 인용된 논문의 pdf 파일입니다. 그런데, 출처가 다르긴 합니다.
(제목 : The size–weight illusion is not an illusion when picking the best objects to throw)

2. 뉴스기사의 전문은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퍼오지" 않았습니다.


(본문)

우리나라의 신문에 실린 과학뉴스 중에는 외국신문 기사를 번역한 뉴스인 경우가 많습니다.

기사의 내용이 흥미있을 경우에는, 외국신문 기사 원문은 물론 관련 논문을 찾아보곤 합니다.

오늘은 (2011년 1월 25일)
미디어다음에 실린 기사가 눈길을 끕니다.


<과학> 인류 성공 비결은 언어와 던지기
http://media.daum.net/digital/view.html?cateid=1050&newsid=20110125114418543&p=yonhap


기사의 출처는 사이언스 데일리입니다.

Humans' Critical Ability to Throw Long Distances Aided by an Illusion, Study Finds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1/01/110124073910.htm


또 다른 기사입니다.


IU study: Humans' critical ability to throw long distances aided by an illusion
http://rdmag.com/News/Feeds/2011/01/environment-iu-study-humans-critical-ability-to-throw-long-di/


기사에서 인용한 논문의 제목은
Human readiness to throw: the size–weight illusion is not an illusion when picking the best objects to throw
입니다.

논문 초록
http://www.ehbonline.org/article/S1090-5138(10)00127-3/abstract

http://www.sciencedirect.com/science?_ob=ArticleURL&_udi=B6T6H-51XFXWG-1&_user=10&_coverDate=01%2F11%2F2011&_rdoc=1&_fmt=high&_orig=search&_origin=search&_sort=d&_docanchor=&view=c&_acct=C000050221&_version=1&_urlVersion=0&_userid=10&md5=41bec345f45ce3a41f7182a29f60e669&searchtype=a



(기사 내용 정리)

illusion (착각)이란 외부로부터 들어온 자극을 잘못 판단하는 것을 말한다. 외부에서 들어온 자극을 받아들이는 말초감각기관은 정확히 자극을 받아 들였지만 이것을 해석하는 뇌의 작용의 이상으로 그 자극을 과소, 과대평가하거나 다른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주석1)

Size-weight illusion (크기-질량 착각)은 1891년 프랑스 의사 어거스틴 샤르팡티에 (Augustin Charpentier)가 처음으로 소개한 것으로, 무게가 같지만, 크기가 다른 두 물체를 들었을 때, 크기가 큰 물체가 크기가 작은 물체보다 가볍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한다. (주석2)  마찬가지로, 무게가 다른, 똑같은 크기의 두 개의 물체를 들게 했을 때, 무거운 물체의 크기가 작다고 착각한다. (주석3)

20세기 동안, 크기-질량 착각에 대해  연구가 널리 진행되었으며, 착각이 일어나는 메카니즘에 대한 여러가지 해석이 제안되었다. (주석3)

호모 사피엔스가 종으로서 성공한 세가지 요인을 들자면, 사회 조직화와 협력, 언어, 멀리 던지기이다. 이 세가지 요인은 호모 사피엔스로 하여금 주요한 먹이였던, 매머드(mammoths)와 자이언트 늘보(giant sloths) 같은 큰 사냥감을 사냥할 수 있게 하였고, 빙하기를 견뎌낼 수 있게 했다. (주석4)

던지기와 언어는 모두 극도로 잘 조절된 타이밍(timing)과 운동 능력을 요구하는데, 이런 능력은 인류 특유의 발달된 소뇌와 후두정엽피질에 의해 가능한 것이다. 동시대를 같이 살았던 네안데르탈인은 뇌는 크기면에서 호모 사피엔스 보다 컷지만, 소뇌와 후두정엽피질은 오히려 덜 발달했다. 이런 차이가 호모 사피엔스가 네안데르탈인을 물리칠 수 있었던 이유였다. (주석4)


(주석1) http://www.kmle.co.kr/ebook_terminology_view.php?Num=1774&Md=6cf88c096fe5e97be5e63e530b1a66ca&TitleLetter=illusion%3A+%C2%F8%B0%A2
(주석2) Mark E. Ware,David E. Johnson, Handbook of Demonstrations and Activities in the Teaching of Psychology, 84p
(주석3) http://en.wikipedia.org/wiki/Size-weight_illusion
(주석4) http://www.sciencedaily.com/releases/2011/01/110124073910.htm


(참고)

Geoffrey Bingham : 논문 공동 저자
Indiana University, Psychological and Brain Sciences
http://www.indiana.edu/~palab/

Qin (Arthur) Zhu : 논문 공동 저자
University of Wyoming, Kinesiology and Health
http://www.indiana.edu/~palab/alumni.php
http://uwyo.academia.edu/QinArthurZhu

파지지각
http://en.wikipedia.org/wiki/Haptic_perception 
파지지각 : 촉각에 의지하여 삼차원 물체를 식별하는 능력

학회지 :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http://www.ehbonline.org/

어거스틴 샤르팡티에 : 19세기 프랑스 의사
http://pl.wikipedia.org/wiki/Pierre_Marie_Augustin_Charpentier

매머드
http://en.wikipedia.org/wiki/Mammoth

자이언트 늘보
http://en.wikipedia.org/wiki/Megatherium
http://en.wikipedia.org/wiki/Ground_sloth

빙하시대
http://en.wikipedia.org/wiki/Ice_age

소뇌
http://en.wikipedia.org/wiki/Cerebellum

두정엽
http://en.wikipedia.org/wiki/Parietal_lobe

후두정엽 피질
http://en.wikipedia.org/wiki/Posterior_parietal_cortex

호모 사피엔스
http://en.wikipedia.org/wiki/Homo_sapiens

네안데르탈인
http://en.wikipedia.org/wiki/Neanderthal

창 던지기 Javelin
http://coachr880.com/id91.html
http://en.wikipedia.org/wiki/Javelin_throw
http://en.wikipedia.org/wiki/Javelin
http://en.wikipedia.org/wiki/Spear
http://en.wikipedia.org/wiki/Atlatl
http://en.wikipedia.org/wiki/Dart_(missile)
창 던지기 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PMtrMhGDFtU
http://www.youtube.com/watch?v=xM0jxaj73bg
http://www.youtube.com/watch?v=g2mHcNWyr9U

육상 던지기 종목 중 가장 멀리 날아가는 것은?(창던지기와 포물선 운동)
http://www.ttobagi.net/gnuboard4/bbs/board.php?bo_table=science&wr_id=34&sfl=&stx=&sst=wr_hit&sod=asc&sop=and&page=2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4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6 : 생명이란 무엇인가? 주민수 2014.01.27 2186
303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5 : <마음의 탄생> 요약-3 주민수 2014.01.20 1819
302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4 : <마음의 탄생> 요약-2 1 주민수 2014.01.20 1910
301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3 : <마음의 탄생> 요약-1 3 주민수 2014.01.12 2216
300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2 1 주민수 2013.07.06 2358
299 칼럼 인지과학 인천모형의 제안-1 7 주민수 2013.05.06 2515
298 인문학에게 뇌과학을 말하다. 5 이일준 2011.06.02 1483
297 인문학에게 뇌과학을 말하다 후기... 10 이일준 2011.06.07 1920
296 인문학 강좌에 초대합니다. 2 조용만 2010.11.17 1838
295 인류 마지막 진화 티베트서 일어났다 5 안희찬 2010.07.07 2132
294 자료 이종필 박사 인터뷰 8 김주현 2012.09.05 3180
293 칼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논리학 10 주민수 2012.07.16 2118
292 공지 이기두님과 백북스 회원님들께 깊이 사과드립니다. 23 김형태 2012.08.12 4845
291 유인원 분류학의 흑역사 2 손호선 2011.02.08 3197
290 현장스케치 운영진 프로필 12 김미선 2011.01.02 2292
289 우리들의 10대 발표를 끝내고 6 file 송찬옥 2011.05.04 1832
288 칼럼 우리는 왜 수학을 공부하는가?(김두환) 2 김두환 2012.07.27 2212
287 올 연말 '암흑물질' 존재 밝혀지나 안희찬 2010.03.11 1868
286 오래된 연장통 가고 싶네요. 5 손호선 2011.06.15 1520
285 오늘 운영진 회의합니다. 김주현 2009.09.04 22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