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후기
2010.12.09 04:58

[독후감] 신을 위한 변론

조회 수 208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생각하는 저자의 메시지입니다, 무한댓글로 "집단지성 마라톤 독후감"을 완성해주세요^^>

당신은 신이나 종교가 무엇이라 정의하고 그에 관해 논하는가? 유일한 인격신을 문자 그대로 믿는 근본주의자나, 이성과 과학으로 그것을 깨부수려는 신무신론자나 똑같이 허수아비를 떠받들거나 공격하고 있을 뿐이다. 신과 종교의 개념은 철저히 변질되었다. 현재의 결과물만을 보고 있는 근시안의 당신, 너무도 인간적인 그 변질사를 낱낱이 보여줄 터이니 싸울 이유 없음에 부디 허탈해 하고 오직 현재의 삶 속에서 자신의 한계를 초월하는 데 정진하라. 예술도, 절대 현생에 구현될 수 없는 정의나 진리를 추구하는 것도 한계를 초월하려는 인간의 본능이다. '신 모양의 구멍'? 그것은 신이라는 '존재'로도 채울 수 없다.

'누구보다 성실하게 노력했던 사람들'인 예수나 부처를 제대로 따라 하면 "유한한 인간이 신적인 삶을 살며 진정한 자아에 눈뜨는 일이 가능하다..."
"갈등과 고통으로 가득한 세상 속에서도 다른 존재들과 화합하며 평화롭게 살 수 있다..."

  • ?
    주영준 2010.12.09 04:58
    저의 입장에서 본다면 고대 유대교 부터 기독교의 교리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기전체 형식으로, 인천대교와 같이 지나가면서 주변을 모두 관망할수 있는 여건이 아닌, 줄기를 찿기 곤란한 관목 형식으로 서양철학사 와 발전되어가는 과학과 함께 기독교의 종교적 사상적 흐름을 현대의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까지 원론적 입장에서 쓰여져 있다 봄니다

    추천사에서 오강남(비교종교학전공)교수는 이책의 핵심이 모든 종교는 표층과 심층이 있는데 도킨스같은 무신론자들은 표층적인 면만보고 공격을 한다. 심층차원의 종교(문자주의에서의 해방 과 이기적인 나중심의 종교생활에서의 탈피)로 의연한 삶을 살수 있는 자유를 누리게 된다고 서평을 함니다

    크리스챤들의 경우 고대의 사조로부터 근대사상까지, 종교의 진화를 이해하고 줄기를 잡는데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됨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의 경우 강한 칼뱅주의와 개인주의, 현대의 정치적 이슈, 과학(신경의학,전자통신)발전등과 관련하여 급격히 무신론이 확산되고 동양의 선사상과 요가등이 깊이 스며들기 시작하는데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사조인가 싶기도 하고(미국 언론에서의 극찬하는 것을 보면)......???
  • ?
    손호선 2010.12.09 04:58
    시대마다 사람마다 다른 기독교 교리 논쟁의 역사를 통해 종교의 다면적인 모습을 입체적으로 소개한 멋진 책이었습니다. 덕분에 공부잘했습니다.
  • ?
    주영준 2010.12.09 04:58
    플라톤의 불변의 철학인 이데아의 세계는 고대,중세의 과학, 수학, 논리학을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는 매우 유용했으나

    21세기에는 이러한 현상과 실재에 대한 사고는 곤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4 자료 20차 인천백북스 - 생체모방 정리 5 file 김양겸 2010.11.13 1840
363 자료 <링크> 관련 영상을 링크합니다 4 김제원 2012.10.09 1845
362 <<내 안의 유인원 our inner ape>> 참고 사이트 및 논문 2 file 한정규 2011.02.09 1849
361 공지 제59차 인천정기모임 안내<고민하는 힘>(2014.04.18) 3 안희찬 2014.03.26 1849
360 공지 인천백북스 선정도서를 추천해 주세요. 4 김형태 2013.07.22 1852
359 후기 인천토요모임(7월20일)에서 <뇌와 도덕성>에 대한 강의 1 장철순 2013.07.18 1856
358 9차 준비모임 회계내역(11월 2일) 1 이어진 2009.11.16 1858
357 공지 12/13 (금) 57차<도덕적 인간과 비도덕적 사회>(공지) 1 김형태 2013.10.30 1858
356 초기 시각 영역은 '의식적 자각'에 관련이 있을까, 없을까? 2 이일준 2011.06.02 1860
355 현장스케치 제32차 김우성 대표 <공간은 컨텐츠가 생명이다> 스케치 3 김형태 2011.10.20 1861
354 기분좋은 날 9 김주현 2010.07.28 1862
353 인천백북스 6~8차 준비모임 회계보고 3 이어진 2009.10.08 1865
352 후기 [인미모] 묵자 읽기 1 (계속 작성중) 김형태 2014.05.17 1866
351 올 연말 '암흑물질' 존재 밝혀지나 안희찬 2010.03.11 1868
350 공지 2012.04.12. (목) 제38차 < 상대성이란 무엇인가 > 6 김형태 2012.03.12 1873
349 제21차 인천백북스 발표 요약 자료(소유의 종말) 3 file 안희찬 2010.11.10 1877
348 11/04/05 26차 <철학의 나무 1, 2> 5 김미선 2011.03.09 1877
347 현장스케치 인천 해석 제16회 주민수 회원(물리학박사) 4 스케치 4 김형태 2013.02.17 1877
346 공지 5/16 (금) 제60차 <신경 건드려보기> (공지) 5 file 김형태 2014.04.25 1880
345 현장스케치 인천토요공부모임 3회 회계 / 스케치 8 김형태 2012.04.01 1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