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후기
2010.12.09 04:58

[독후감] 신을 위한 변론

조회 수 208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생각하는 저자의 메시지입니다, 무한댓글로 "집단지성 마라톤 독후감"을 완성해주세요^^>

당신은 신이나 종교가 무엇이라 정의하고 그에 관해 논하는가? 유일한 인격신을 문자 그대로 믿는 근본주의자나, 이성과 과학으로 그것을 깨부수려는 신무신론자나 똑같이 허수아비를 떠받들거나 공격하고 있을 뿐이다. 신과 종교의 개념은 철저히 변질되었다. 현재의 결과물만을 보고 있는 근시안의 당신, 너무도 인간적인 그 변질사를 낱낱이 보여줄 터이니 싸울 이유 없음에 부디 허탈해 하고 오직 현재의 삶 속에서 자신의 한계를 초월하는 데 정진하라. 예술도, 절대 현생에 구현될 수 없는 정의나 진리를 추구하는 것도 한계를 초월하려는 인간의 본능이다. '신 모양의 구멍'? 그것은 신이라는 '존재'로도 채울 수 없다.

'누구보다 성실하게 노력했던 사람들'인 예수나 부처를 제대로 따라 하면 "유한한 인간이 신적인 삶을 살며 진정한 자아에 눈뜨는 일이 가능하다..."
"갈등과 고통으로 가득한 세상 속에서도 다른 존재들과 화합하며 평화롭게 살 수 있다..."

  • ?
    주영준 2010.12.09 04:58
    저의 입장에서 본다면 고대 유대교 부터 기독교의 교리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기전체 형식으로, 인천대교와 같이 지나가면서 주변을 모두 관망할수 있는 여건이 아닌, 줄기를 찿기 곤란한 관목 형식으로 서양철학사 와 발전되어가는 과학과 함께 기독교의 종교적 사상적 흐름을 현대의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까지 원론적 입장에서 쓰여져 있다 봄니다

    추천사에서 오강남(비교종교학전공)교수는 이책의 핵심이 모든 종교는 표층과 심층이 있는데 도킨스같은 무신론자들은 표층적인 면만보고 공격을 한다. 심층차원의 종교(문자주의에서의 해방 과 이기적인 나중심의 종교생활에서의 탈피)로 의연한 삶을 살수 있는 자유를 누리게 된다고 서평을 함니다

    크리스챤들의 경우 고대의 사조로부터 근대사상까지, 종교의 진화를 이해하고 줄기를 잡는데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됨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의 경우 강한 칼뱅주의와 개인주의, 현대의 정치적 이슈, 과학(신경의학,전자통신)발전등과 관련하여 급격히 무신론이 확산되고 동양의 선사상과 요가등이 깊이 스며들기 시작하는데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사조인가 싶기도 하고(미국 언론에서의 극찬하는 것을 보면)......???
  • ?
    손호선 2010.12.09 04:58
    시대마다 사람마다 다른 기독교 교리 논쟁의 역사를 통해 종교의 다면적인 모습을 입체적으로 소개한 멋진 책이었습니다. 덕분에 공부잘했습니다.
  • ?
    주영준 2010.12.09 04:58
    플라톤의 불변의 철학인 이데아의 세계는 고대,중세의 과학, 수학, 논리학을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는 매우 유용했으나

    21세기에는 이러한 현상과 실재에 대한 사고는 곤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4 김미선님 "감정의 분자" 책 번역 출간 6 안희찬 2010.01.01 2355
243 김준우 교수님 소식 4 김주현 2010.08.05 2141
242 내일 11일 오후 7시 인천 독서클럽 진행합니다. 김주현 2009.08.11 2423
241 공지 내일, (3월 17일) 인천토요모임 부교재/추천도서 1 김형태 2012.03.17 1384
240 자료 노벨상 (자연과학 부문) 아시아 수상 집계 (2012) 2 김형태 2012.10.27 2102
239 공지 노벨상 수상자에게 듣는다 - 21세기의 주역, 인천 청소년들에게 들려주는 조언 1 안희찬 2013.03.11 1462
238 뇌과학의 함정 2 안희찬 2009.08.24 2426
237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6 문경수 2010.05.08 3644
236 후기 독서모임, 함께하는 공부에 대한 단상 1 김형태 2014.06.29 3272
235 독서이력제가 인천에서 추진됩니다. 김주현 2010.03.05 2135
234 현장스케치 동해 일출(2012.12.16) 7 안희찬 2012.12.18 1551
233 후기 두 개의 문화,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7 김형태 2012.07.09 2213
232 뒤늦은 후기 3 엄준호 2011.08.10 1356
231 등업 신청 합니다,, 5 이규석 2011.12.22 1420
230 등업신청합니다. 6 김두환 2012.01.13 1351
229 자료 마음과 의식의 정의? 3 김미선 2009.10.16 3367
228 마이클 코헨 자연에 말걸기 1 이광남 2009.10.01 1927
227 후기 무동력 비행 3년을 마무리 하며 2 김형태 2014.09.01 6190
226 공지 무미건조한 수학에 생명 불어넣기가 어떠할지^^ (김두환) 1 김두환 2012.07.28 2019
225 후기 무의식의 두 가지 상태와 상향적인 의식 발달 (인천모임 나눔) 19 미선 2013.03.04 301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