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후기
2010.12.09 04:58

[독후감] 신을 위한 변론

조회 수 2087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제가 생각하는 저자의 메시지입니다, 무한댓글로 "집단지성 마라톤 독후감"을 완성해주세요^^>

당신은 신이나 종교가 무엇이라 정의하고 그에 관해 논하는가? 유일한 인격신을 문자 그대로 믿는 근본주의자나, 이성과 과학으로 그것을 깨부수려는 신무신론자나 똑같이 허수아비를 떠받들거나 공격하고 있을 뿐이다. 신과 종교의 개념은 철저히 변질되었다. 현재의 결과물만을 보고 있는 근시안의 당신, 너무도 인간적인 그 변질사를 낱낱이 보여줄 터이니 싸울 이유 없음에 부디 허탈해 하고 오직 현재의 삶 속에서 자신의 한계를 초월하는 데 정진하라. 예술도, 절대 현생에 구현될 수 없는 정의나 진리를 추구하는 것도 한계를 초월하려는 인간의 본능이다. '신 모양의 구멍'? 그것은 신이라는 '존재'로도 채울 수 없다.

'누구보다 성실하게 노력했던 사람들'인 예수나 부처를 제대로 따라 하면 "유한한 인간이 신적인 삶을 살며 진정한 자아에 눈뜨는 일이 가능하다..."
"갈등과 고통으로 가득한 세상 속에서도 다른 존재들과 화합하며 평화롭게 살 수 있다..."

  • ?
    주영준 2010.12.09 04:58
    저의 입장에서 본다면 고대 유대교 부터 기독교의 교리가 형성되어가는 과정을 기전체 형식으로, 인천대교와 같이 지나가면서 주변을 모두 관망할수 있는 여건이 아닌, 줄기를 찿기 곤란한 관목 형식으로 서양철학사 와 발전되어가는 과학과 함께 기독교의 종교적 사상적 흐름을 현대의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까지 원론적 입장에서 쓰여져 있다 봄니다

    추천사에서 오강남(비교종교학전공)교수는 이책의 핵심이 모든 종교는 표층과 심층이 있는데 도킨스같은 무신론자들은 표층적인 면만보고 공격을 한다. 심층차원의 종교(문자주의에서의 해방 과 이기적인 나중심의 종교생활에서의 탈피)로 의연한 삶을 살수 있는 자유를 누리게 된다고 서평을 함니다

    크리스챤들의 경우 고대의 사조로부터 근대사상까지, 종교의 진화를 이해하고 줄기를 잡는데에 많은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됨니다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의 경우 강한 칼뱅주의와 개인주의, 현대의 정치적 이슈, 과학(신경의학,전자통신)발전등과 관련하여 급격히 무신론이 확산되고 동양의 선사상과 요가등이 깊이 스며들기 시작하는데에 대한, 어떠한 새로운 사조인가 싶기도 하고(미국 언론에서의 극찬하는 것을 보면)......???
  • ?
    손호선 2010.12.09 04:58
    시대마다 사람마다 다른 기독교 교리 논쟁의 역사를 통해 종교의 다면적인 모습을 입체적으로 소개한 멋진 책이었습니다. 덕분에 공부잘했습니다.
  • ?
    주영준 2010.12.09 04:58
    플라톤의 불변의 철학인 이데아의 세계는 고대,중세의 과학, 수학, 논리학을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는 매우 유용했으나

    21세기에는 이러한 현상과 실재에 대한 사고는 곤란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 제42차 인천백북스 발표 자료

    Date2012.08.19 Category자료 By유연성 Views2127
    Read More
  2. [공지] 제 7차 인천백북스 준비모임 (9월 22일 화요일입니다)

    Date2009.09.22 Category공지 By이어진 Views2125
    Read More
  3. 2009춘천마라톤 참가 보고

    Date2009.10.23 Category현장스케치 By안희찬 Views2123
    Read More
  4. 제26차 철학의 나무 사진과 회계 내역

    Date2011.04.07 Category현장스케치 By김미선 Views2119
    Read More
  5.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와 논리학

    Date2012.07.16 Category칼럼 By주민수 Views2118
    Read More
  6. 3월 15일(금) 제49차 <감각과 영혼의 만남> (공지)

    Date2013.01.23 Category공지 By김형태 Views2115
    Read More
  7. [공지] 2011.09.22. (목) 인천백북스 간담회 개최

    Date2011.09.15 Category공지 By김형태 Views2115
    Read More
  8. 인천백북스 차이나타운 번개 후기

    Date2012.05.03 Category현장스케치 By김형태 Views2113
    Read More
  9. 제54차 박제윤 회원(인천대학교 교수) 스케치

    Date2013.08.10 Category현장스케치 By김형태 Views2106
    Read More
  10. [인천백북스, 그 사람의 인생도 함께 읽는다!!]18회 발제자 한혜민씨 인터뷰

    Date2010.08.13 By김주현 Views2104
    Read More
  11. 노벨상 (자연과학 부문) 아시아 수상 집계 (2012)

    Date2012.10.27 Category자료 By김형태 Views2103
    Read More
  12. 15차 모임 책 증정 행사 결과 보고 & 인천백북스 임시 연락처

    Date2010.05.03 By김미선 Views2103
    Read More
  13. 10/12 (금) 제44차 <링크>

    Date2012.09.15 Category공지 By김형태 Views2099
    Read More
  14. 13차 모임 회계 내역(3월 2일)

    Date2010.03.08 By김미선 Views2094
    Read More
  15. 인천 해석 제12회 박제윤 회원(철학박사) 논술 2강 스케치

    Date2012.11.04 Category현장스케치 By김형태 Views2093
    Read More
  16. 2012.06.15. (금) 제40차 <상처가 꽃이 되는 순서>

    Date2012.05.23 Category공지 By김형태 Views2092
    Read More
  17. [독후감] 신을 위한 변론

    Date2010.12.09 Category후기 By김미선 Views2087
    Read More
  18. 건각의 질주본능, 가을의 전설을 응원합니다.

    Date2012.10.22 Category공지 By김형태 Views2085
    Read More
  19. 제37차 인천모임 (2012.03.16.) 긴급 안건 제안

    Date2012.03.12 Category공지 By김형태 Views2082
    Read More
  20. 제53차 유문무 회원(인천대학교 교수) 스케치

    Date2013.07.13 Category현장스케치 By김형태 Views2080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