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2358 추천 수 0 댓글 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발표자: 이광남 회원

일시: 2009-10-06 (화) 19:00
장소: 인천시의회 별관 605호
참석인원: 11

발표도서: 마이클 코헨 지음. 이원규,박진희 옮김. <<자연에 말걸기(우리 내면의 53가지 감각적 끌림을 일깨우는 생태심리학)>>




















발표내용
'Reconnecting with nature'

1. 오늘 이 시간에 임하는 느낌을 서로 말해 봅시다
2. 평소 자신이 자연/지성에 대해 가지고 있던 생각을 말해 봅시다
3. 우리 내면의 53가지 감각 알아보기
4. 자기 스스로를 안아주기, 자연과의 Re-connecting
5. 서로 마주보고 상대에게 있는 나 바라보기


(아래는 강연자료 중 발췌)

자연에 말걸기

1. 먼저 끌리는 사물에 다가가 동의를 얻습니다.
2. 그 사물의 전체 경계를 짓습니다(사물의 전체 경계를 지을 때 잘 안되면, 사물과 사물이 아닌 부분 즉, 바위라면 바위 가장자리와 공간이 맞닿는 부분을 눈으로 그려가며 경계선을 그리면 됩니다).
3. 그 사물의 전체를 봅니다.
4. 어떤 생각이 끼어들면 다른 사물로 넘어가 같은 절차를 다시 진행합니다.
5. 이 과정을 하루에 30분 정도씩 해 보세요.

그 후 '안다'는 생각없이 보는 것, '안다'는 느낌없이 보는 것이 무엇인지 통찰이 오면 알려주세요.

그렇게 연습하여 낯설게 보기가 일어나는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사물을 보고 그 사물의 이름을 잊습니다.
2. 그 사물의 형태를 잊습니다.
3. 그 사물의 질을 잊습니다.
4. 그 상태로 오래도록 봅니다.

모든 연습은 무생물에서 시작하세요. 무생물이 잘 되면 이제 식물로, 동물로, 사람으로 그 연습대상을 확대해 가면 됩니다. 그러나 글씨가 있는 간판과 같은 것에는 아직 시도하지 마세요. 간혹 자연이 아닌 곳에서 연습하는 분들도 있었기에 미리 말씀을 드립니다. 처음에는 무생물을 대상으로만 시도해 보세요.
  • ?
    이어진 2009.10.08 08:41
    다음 11월 모임은 11월 3일 (화)로 예정되어 있습니다. 추후 자세한 공지 드리겠습니다.
  • ?
    임성혁 2009.10.08 08:41
    마침 다음 모임 날짜를 물어 오시는 신규회원님이 계셨는데 날짜공지까지 하시는 이어진 군의관님 고맙습니다.
  • ?
    안희찬 2009.10.08 08:41
    처음 인천백북스에 동참하신 근로복지공단의 서희곤과장님과 김인옥씨 환영합니다.
    그리고 인천대 김준우교수님 앞으로 적극 동참하여
    주시기로 하여 천군만마를 만난듯 합니다.
    뒷풀이 비용은 임성혁추진위원께서 내 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어진씨 바쁜 와중에도 후기 올리느라 고생이 많습니다.

  1. 老子 2章

  2. 화이트헤드 철학의 원자론과 과정과 실재 이해

  3. 형이상학이 우리 삶의 일상과 뇌에 큰 영향을 끼칠 때..

  4. 한 생각!!

  5. 페트리샤 처칠랜드 교수가 한국에 오십니다.

  6. 패러다임 퀴즈-뇌과학 편(1)

  7. 테세우스의 배-2 : 우리 몸의 주인은?

  8. 테세우스의 배-1 : 나르시스의 전설

  9. 퀀텀 브레인 후기

  10. No Image 30Jul
    by 안희찬
    2009/07/30 by 안희찬
    Views 2547 

    치매 파킨슨병 진행원리 세계 첫 규명

  11. 춘천마라톤에서의 백북스 회원들

  12. 초기 시각 영역은 '의식적 자각'에 관련이 있을까, 없을까?

  13. 처칠랜드 교수 강의 취소되었습니다.

  14. 책은 함께 읽어야 한다는 생각

  15. 착각은 자유

  16. 진공 놀이공원의 앨리스와 상대론

  17. 중력은 없다

  18. 주민수 박사님, <괴델과 아인슈타인> pdf 요약자료

  19. 조장희 박사님의 연구소 모습

  20. No Image 21Mar
    by 김주현
    2010/03/21 by 김주현
    Views 2690 

    조장희 뇌과학연구소장님 독서방법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