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백북스

조회 수 25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치매·파킨슨병 진행원리 세계 첫 규명


건국대 이승재 교수팀 개가


"광우병등 프리온병과 유사“


퇴행성뇌질환 연구 청신호


                                                               


파킨슨병이나 치매도 광우병과 같은 원리로 단백질 변성체의 신경세포 간 이동에 의해 뇌 손상부위가 늘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 의생명과학과 이승재 교수는 건국대 의대 이혜진 교수, 미국 샌디에이고캘리포니아대학 엘리에저 마슬리아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일부 뇌 영역에서 시작된 뇌질환이 변성된 단백질의 신경세포 간 전파에 의해 여러 뇌 부위로 확대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파킨슨병이나 치매 등 뇌질환의 체내 진행원리가 광우병 등의 프리온(prion)병과 유사성이 있음을 밝힌 획기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과학 권위지인 미국립학술원회보(PNAS) 인터넷판 28일자에 발표됐다.




이 교수팀은 뇌질환 모델 세포와 그렇지 않은 세포를 함께 배양하는 공배양 세포연구 방법과 정상적인 생쥐에서 신경줄기세포를 얻어 뇌질환에 걸린 생쥐의 뇌에 이식하는 방법 두 가지를 사용했다. 이 결과 ‘알파-시뉴클린(ALPHA-SYNUCLEIN)’이란 신경세포의 단백질이 변성된 후 신경세포로부터 분비돼 인접 신경세포로 전이되고, 전이된 단백질에 의해 신경세포의 사멸이 유도된다는 사실이 확인했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 초기에 손상된 신경세포(neuron)에서 정상 알파-시뉴클린 단백질(a-syn monomer)이 변성을 일으켜 변성 알파-시뉴클린 단백질(a-syn aggregate)을 형성한다. 이들 변성체가 신경세포 밖으로 분비돼 인접 신경세포로 이동, 정상 단백질의 변성을 유도한다. 단백질 변성이 인접 신경세포에서 증폭되는 현상이 반복됨으로써 뇌의 여러 부위로 질병이 확산된다.


건국대 제공


그동안 퇴행성 뇌질환의 원인 물질인 알파-시뉴클린의 변성은 파킨슨병과 치매의 발병 기전(메커니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졌다.




이번 연구는 일부 신경세포에서 발생한 단백질의 변성이 뇌의 여러 부위로 퍼져 병리현상의 확산이 일어난다는 것을 규명했다. 무엇보다 단백질 변성체에 의한 질병의 진행 및 확산은 광우병 등의 프리온병에 국한된 현상이라고 여겨졌지만, 이번 연구로 프리온의 확산 원리가 파킨슨병과 치매 등의 퇴행성 뇌질환에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는 공통 원리라는 실험적 근거를 제시했다.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을 포함한 퇴행성 뇌질환은 60∼70세 이상 노년층에서 주로 발병하는 대표적 노인성 질환이지만, 발병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미국학술원회보는 이 교수팀 연구의 중요성을 인식, 프리온의 전파 원리를 규명해 199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스탠리 프루시너 교수의 해설과 주석을 함께 실어 학계에 보고할 계획이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발병 초기에 손상된 신경세포(neuron)에서 정상 알파-시뉴클린 단백질(a-syn monomer)이 변성을 일으켜 변성 알파-시뉴클린 단백질(a-syn aggregate)을 형성한다. 이들 변성체가 신경세포 밖으로 분비돼 인접 신경세포로 이동, 정상 단백질의 변성을 유도한다. 단백질 변성이 인접 신경세포에서 증폭되는 현상이 반복됨으로써 뇌의 여러 부위로 질병이 확산된다.
건국대 제공












세계일보 2009. 7.29일자 (10면)


김기동 기자 kidong@segye.com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64 칼럼 공자의 인생공식 10 주민수 2010.11.23 5288
463 공지 이기두님과 백북스 회원님들께 깊이 사과드립니다. 23 김형태 2012.08.12 4848
462 공지 2012년 ( 1월 ~ 4월 ) 인천백북스 회계 보고 3 김형태 2012.01.12 4791
461 자료 [생명,40억년의 비빌] 참고자료 (2) 변정구 2011.08.20 4697
460 공지 2012.07.13. (금) 제41차 <현대물리학과 철학> 22 김형태 2012.06.18 4357
459 공지 인천백북스를 떠납니다. 김형태 올림. 7 김형태 2014.02.26 4190
458 자료 비타민 C의 역사 변정구 2011.07.25 4168
457 공지 인천백북스 공부모임 장소 안내 김형태 2013.06.14 4105
456 공지 10/05/03 (긴급 재공지) 15차 생각하는 뇌, 생각하는 기계 25 김미선 2010.04.22 3850
455 공지 [공지] 비판적 사고와 논리적 글쓰기 + 박제윤 박사님 15 file 김형태 2012.08.23 3840
454 칼럼 <작심하기>를 공부하기-5 12 주민수 2013.01.25 3778
453 현장스케치 17차 모임 사진과 회계 내역(7월 6일) 7 김미선 2010.07.08 3761
452 인천백북스 비공식(?) 창립 김양겸 2009.05.19 3751
451 자료 [중년의뇌] Exercise-induced neurogenesis 1 file 변정구 2011.04.03 3712
450 '인천 100북스 추진을 위한 준비 모임'을 시작합니다. 14 김주현 2009.06.14 3666
449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6 문경수 2010.05.08 3647
448 자료 [과학철학] 주석 및 참고자료 2 변정구 2011.04.07 3573
447 칼럼 <작심하기>를 공부하기-3 18 주민수 2012.11.19 3556
446 자료 [조상이야기] 포유류형 파충류 'mammal-like reptiles' 변정구 2011.03.05 3471
445 자료 마음과 의식의 정의? 3 김미선 2009.10.16 337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5 Next
/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