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일반
2009.01.23 08:46

제목없음..

조회 수 2112 추천 수 0 댓글 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로고스 기독론 이라 할수있는 요한복음 첫구절은 이렇게 시작한다.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




All things were made through him.

만물은 그로말미암아 생겼으니 (그= 말씀.  의인화)




 

우리가 말할수 있는 동물이 된것은 말할수 있는 어떤 공통의

보편적인 능력이 우리 영혼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라는데

그 말할수 있는 능력을 희랍인들은  정신 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희랍인은 이러한 정신을 다른말로 로고스라는 개념으로 표현했으며

이 로고스라는 개념, 즉  이 말씀을 최초로

자신의 철학적 담론으로 의미를 부여한 사람이 헤라클레이토스 라고 한다.







 

 그는 말한다.

 I searched into myself.   나는 나 자신속에서 진리를 탐구해 갔다.

 When you have listened, not to me but to law (Logos).







 

타오르는 촛불은 항상 변함이 없어 보이지만

 촛불은 항상 인풋과 아웃풋이 있으며 그  생성과 소멸의 긴장속에서

 촛불은 일정한 모습을 유지한다.







 

 모든것은 변한다.

 코스모스 (World)는 시공간의 세계 즉 변화의 세계다.

 우주는 끊임없이 변화지만 일정한 모습을 유지한다.

 이러한 변화속의 일정한 규칙 그것이 로고스며 이성이며 하나님이다





 

 인성은 이해력을 가지고 있질 못하다.

 그러나 신성은 이해력을 가지고 있다.


 인간이 로고스를 파악하는 것은

 divine nature ( 신성) = 인간에게 존재하는 빛의 파편. 이라고 여겼다.







 

 그는 변화의 철학을 애기했으며

 변화하는 세계가 real 한 세계라고 애기했다.





 이러한  헤라클레이토스의 사상은 변화의 세계를 긍정하는

 동양사상과 유사했으나 그는 서양사상의 주류가 되지는 못했다.


 그이후 서양사상의 주류는  "파르메니데스" 에 의해 전개된다.

 

 진리는 오직  존재 [ (Being) : 시공간속의 감관의 대상은 현상이고

 오직 관념속 영원불변한 것] 의 세계에서만 가능하고

 헤라클레이토스가 말하는 생성(Becoming) 의 세계는 허상에 불과하다.




 Parmenides 는 로고스를 Becoming  에서  Being 으로 가져갔다.




 플라톤이 바로 헤라클레이토스 가 아닌 파르메니데스 의 제자다.


 플라톤는 우리의 사유의 세계야 말로 시공을 초월한 그 무었이라고

 보았으며 그 사유의 세계만의 리얼하다고 보았다.


 변화하는 시공의 세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일종의 환영일 뿐이다.

 진정으로 리얼한 세계는 시공을 초월한 진정한 사유의 세계다.

 (즉 항상 참인 진리의 세계)





 사유의 세계 = 이데아의 세계 - 말씀 - 로고스 - reason 이다.


 

 헤라클레이토스의 세계는 육체의 세계요 어둠의 세계요 현상의 세계며

 이 지상의 세계이고




 파르메니데스의 세계는  영혼의 세계요 빛의 세계요 실재의 세계이며

 하느님의 세계다.
  • ?
    김주현 2009.01.23 08:46
    으으으 어렵다. 머리로? 가슴으로? 행동으로? 무엇으로 알아야 더 체감적으로 확실히 알 수 있을까. 다시한번 호주땅의 쏟아지는 별을 보고 와야 하나. 오늘도 한아름 고민하는 하루. 그래 우선 차근차근 해야할 것들을 하자. 한자를 쓰자.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1 가입인사 가입인사입니다. 1 뮨. 2017.07.23 31
570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분필 2017.07.24 35
569 가입인사 반가워요~♡ 1 젬마 2017.07.09 36
568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1 메로나 2017.07.10 39
567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잉구리 2016.12.01 51
566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말표 2016.12.18 69
565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2 수플 2016.08.09 85
564 모임공지 4월 28일 감항배 교수님의 강연 장소 변경 안내 박용태 2017.04.28 92
563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밝은미래 2017.12.07 99
562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얄랴냘랴 2018.01.27 112
561 공부자료 김낙우 교수님의 ,맥스태그마크의 유니버스> 강연 안내 박용태 2017.05.24 116
560 가입인사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제프리 입니다. 제프리 2018.04.22 122
559 가입인사 박문호박사님의 뇌 생각의출현이란 책을 보고 가입하였습니다. 민들레홀씨 2017.08.08 124
558 가입인사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요드 2018.04.26 133
557 공부자료 과학에서 중요한 건 확실성이 아니다-카를로 로벨리 박용태 2017.05.27 139
556 가입인사 처음와봤어요 1 욘욘슨의이름 2017.09.09 148
555 후기 맥스 테그마크 "빅뱅보다 급팽창이 먼저다" 1 청무 2017.06.26 159
554 공부자료 8월 25일 서울 백북스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강연 안내 박용태 2017.08.24 159
553 가입인사 가입인사~ 수학의 힘 1 정은 2016.10.20 163
552 후기 도키스와 윌슨, 종교를 보는 두가지 시각 청무 2016.10.08 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