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조회 수 2049 추천 수 0 댓글 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첫째 공자와 논어
'학이시습지'면 '불역열호'아---배우고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
'유붕이자원방래'하면 '불역낙호'---멀리서 친구가 찾아오면 즐겁지 아니한가?
"인부지이불온"이면 '불역군자호"아----남이 나를 알아주지 않아도 성을 내지 않으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열심히 공부하고, 친구도 잘 사귀고, 왕따를 당해도 자살하지 않고 태연하니 부모라면 이 자식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공자 선생님이 얼마나 존경스럽겠는가?

둘째 세상을 둘러싼 세가지 가르침
유교에는 기독교, 불교와는 색 다른 가르침이 있다. 이 세 종교의 가르침과 경전을
 잘 비유한 책이 '군자의 나라' '구도자의 나라' '예언자의 나라'이다.
군자의 나라는 사서삼경과 도덕경,
구도자의 나라는 베다와 불경,
예언자의 나라는 성경과 코란을 얘기한다.
그리고 이 세가지 종교는 정치적 이유에 의거,
콘스탄티누스 황제, 아쇼카 대왕, 한 무제에 의거 국교/관학으로 승인된다.
세 황제로 나뉘어진 로마에서 유일신 같은 권력 통합, 통일전쟁 과정의 참화에 대한 반성, 주 봉건제 같은 한의 새로운 질서 확립이라고 할까?

세째 동전의 양면
논어에서는 소정묘를 죽인 타당한 이유를 열거하고 있으나, 
그러나 다른 책을 보면 또한 정치보복이다.
소정묘가 행실이 불량한 소인배이기 때문이 아니라
지배계급인 人(인) 계급이 대인파와 소인파로 분열하여
보수적인 대인들이 부국강병을 주장하는 패도주의 관료들과 신흥지주 등의 변법파를
소인이라 규정하여 인자(仁者)에서 배제하고,
대인파인 공자가 소인파의 두목을 제거한 정치적 사건이라는 것이다.
반론이 있을까 봐서 출처를 밝히면
--출처:공자는 왜 소정묘를 죽였는가, 저자 기세춘(몇 년전 대전에서 모셨던 분)

네째 독서모임은 긴장의 순간이다.
일주일 출장 후 독서모임 세 시간 전에 복귀하여, 준비사항도 점검하지 못했고
자연과학을 좋아하는 회원들은 많지만, 오랫만에 주제를 인문학으로 바뀌어
기존 회원 중 몇 분이 참석할 지 걱정되는 상황이었고,
 참가여부 댓글도 세 분 밖에 없었던 등등의 사연으로 긴장하면서 맞이한 시간이었다.
다행히도 30명 이상 참가하여서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예상대로 기존 회원보다 못 보던 회원이 더 많았다.
모임은 긴장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1 42차 서울 모임 공지 12 이병록 2012.03.27 2014
190 42차 서울백북스 현장모습 3 이병록 2012.03.31 1751
189 참가인원을 중심으로 한 후기 5 이병록 2012.03.31 2017
188 3월30일 멀티 유니버스 발표 자료입니다. 4 file 이종필 2012.04.01 1771
187 안녕하세요^^오늘 가입했는데요... 5 이현주 2012.04.01 1649
186 공지 42차 서울백북스 회계내역 박경숙 2012.04.08 1837
185 5월 주제 공지 5 이병록 2012.04.12 1854
184 43차 서울독서모임 공지 5 이병록 2012.04.26 1739
183 43차 서울백북스 현장 모습 4 이병록 2012.04.28 2100
182 공지 제43차 서울백북스 회계내역 박경숙 2012.05.03 1589
181 차를 빼주세요 4 이병록 2012.05.16 2025
180 44차 서울 독서모임 공지 10 이병록 2012.05.18 1957
179 공지 제44차 서울백북스 회계정리 3 박경숙 2012.05.26 1957
178 현장스케치 44차 서울백북스 현장 모습 3 이병록 2012.05.28 2323
» 서울 모임이 끝나고 몇 가지 소견 7 이병록 2012.05.30 2049
176 서울 번개 모임 후기 (서울 이사님들, 회원님들 감사합니다.^^) 4 송윤호 2012.06.01 1841
175 [공지] 6월 서울백북스 선정도서 변경되었습니다. 송윤호 2012.06.05 1709
174 24일 행사 참가인원과 교통편 확인 4 이병록 2012.06.14 1760
173 삶으로서의 은유, 자유는 누구의 것인가 2 박용태 2012.06.21 1994
172 6월29일 나박사님 강의 1차ppt파일 2 file 박용태 2012.06.27 17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