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조회 수 2040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보디보를 읽다가 생긴 의문을 올려봅니다. 혼자 고민하는 것보다 같이 고민하다 보면 의문이 더 쉽게 풀릴 거 같아서요..^^ 같이 고민해보아요~^^


1.
『이보디보 ; 션 B. 캐럴』에서는 줄곧 '툴 킷 단백질'과 '스위치'를 강조한다. 이 두가지의 조합으로 생명의 다양성까지 만들어졌다고 주장한다. 예를들어, '디지탈리스'라는 '툴 킷 단백질'은 어떤 스위치와 조합이 되느냐에 따라, 사지를 형성하기도 하고, 나비의 날개에 눈꽃 무늬를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내 생각에는 스위치는 스위치일 뿐이다. '툴 킷 단백질'이 어디서 발현되느냐에 따라 발생 과정에서 차이를 만들어 내는 점은 흥미롭다. 하지만 그렇다고 '툴 킷 단백질'과 '스위치'가 '차이'를 만들어내는 것 같지는 않다. 이것은 마치 열쇠의 존재 유무에 따라 자동차가 작동을 하느냐 안 하느냐의 중대 문제를 결정하기는 하지만, 열쇠는 다양한 자동차의 형태와 기능 같은 내용물을 담고 있지 않다. 열쇠만 다양하다고 다양한 자동차가 작동하지는 않는다. 일단은 다양한 자동차가 구비되어 있어야, 다양한 열쇠가 효용을 발휘하는 것이다. 유전자(션 B. 캐럴은 유전자를 단백질을 만들어내는 DNA 부분으로 정의하고 있다)가 먼저인 것이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없이는 생명의 다양성을 논할 수 없다. 열쇠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니, 생명의 다양한 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논리는 맞지가 않다.


 


 생물의 다양성에 있어서만큼은 '유전자'에 집중을 해야 하는 것이 맞지 않느냐는 것이 지금의 나의 생각이다.


 


 이 이해는 본 블로거가 부족해서 일 수도 있다. 션 B. 캐럴이 나보다 헛배는 똑똑할테니까. 일단 지금까지는 요렇게 이해를 했으니까, 다시 한 번 『이보디보 ; 션 B. 캐럴』를 읽어 봐야 겠다^^



2.
본 블로거가 이해한 바로는, 하나의 툴 킷 단백질(ex. 뼈 형성 단백질 BMP)이 신체 각 부위를 담당하는 별개의 스위치와의 상호 작용으로 다른 패턴(ex. 갈비뼈, 갑상 연골, 외이, ...)이 만들어진다는 것이 션 B. 캐럴의 설명인 듯하다.


 


 스위치는 DNA의 일부분으로서 어느 장소에서나 동일하게 존재한다. 그렇다면 어느 부위에서는 '갈비뼈 스위치'가 켜지고, 어느 부위에서는 '갑상 연골 스위치'가 켜지는 차이를 만들어내는 변인은 무엇인 걸까? 여기에 대한 설명이 『이보디보 ; 션 B. 캐럴』에는 없는 듯 하다. 다시 한 번 『이보디보 ; 션 B. 캐럴』를 차근히 읽어 보아야 겠다^^


 
Ps. 요즘 백북스 게시판이 많이 시끄럽네요~
얼른 정상화가 되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1 6월29일 나박사님 강의 2차ppt파일 6 file 박용태 2012.06.28 1649
110 안녕하세요^^오늘 가입했는데요... 5 이현주 2012.04.01 1649
109 2월18일 서울 백북스 번개 모임 안내 5 박용태 2013.02.17 1646
108 59차 서울강연 후기 2 임석희 2013.07.28 1643
107 인연이되어 감사합니다 2 정종실 2013.01.14 1625
106 7월 26일 <편향> 서울백북스 정기 강연회 안내 2 박용태 2013.07.24 1624
105 앎의 나무 강연자료 공유 file 박용태 2013.04.10 1615
104 2014년을 보내면서..1월 30일 김대식 교수님의 <빅 퀘스쳔> 강연 안내 등 3 박용태 2014.12.24 1613
103 <지구의 정복자> 요약정리 마지막 박용태 2014.01.27 1612
102 가입인사 드립니다~ 1 김혜인 2011.09.06 1608
101 제 50차 서울백북스 회계내역 정재호 2012.12.04 1590
100 공지 제43차 서울백북스 회계내역 박경숙 2012.05.03 1588
99 김대식 교수님의 <빅 퀘스쳔> 2월 6일로 강연 일정 변경 1 박용태 2015.01.10 1574
98 뇌과학적 설명편향과 해석 박용태 2013.03.15 1554
97 오늘 조중걸 선생님 <서양미술사 철학으로 읽기> 강연회 있습니다 박용태 2013.04.19 1548
96 6월28일 금요일 서울백북스 고중숙 교수님 강연 안내 박용태 2013.06.25 1542
95 공지 8월 28일 조진호 선생님의 <어메이징 그래비티> 강연 안내 박용태 2015.08.27 1541
94 12월20일 서울 백북스 정기 강연회 및 송년모임 안내 4 박용태 2013.12.15 1539
93 그리스 고전 1차원전 읽기의 즐거움을 강대진박사님과 함께 박용태 2013.08.28 1538
92 제53차 서울백북스 2013년 2월 회계내역입니다. 한희준 2013.02.28 15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