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백북스

조회 수 2963 추천 수 0 댓글 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언젠가 도올 김용옥 선생의 강의로 부터

 화이트헤드의 이성의 기능 : 엔트로피와 노자

 로  감명을 (?) 받은적이 있어 그 내용을 다시한번

 음미하고자 몆자 적어봅니다..

 

 노자의 도를 현대물리학적 관점에서 보았다는 말과 함께....

 

 시간이 (역사가) 흘러가면

 잉크가 물속에서 퍼져가듯이

 물과 잉크가 구별이 안된다.

 즉 엔트로피(무질서)가 증가하게 된다.

 

 모든 역사속 물건은

 잉크방울이 물속에서 퍼지듯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간다.

 

 엔트로피의 증가의 방향은

 물리적 성질의 점진적 Decay를 의미한다.

 

 그런데 이 엔트로피가 증가하는 방향에

 역행하는 것이 있다.

 

 물고기가 꺼꾸로 가듯이

 생명현상이라고 하는것은

 이러한 엔트로피 증가에 대한 반역이다.

 

 역사에는 두개의 흐름이 있는데

 모든것은 타락하고 무질서화 되지만

 이에 대한 반역이 생명이다.

 

 인생이 산다고 하는 것은

 엔트로피가 증가되는 방향과

 거꾸로 가는 방향이 있는데

 증가되는 방향이 더 크기 때문에

 늙는다는 것이다 (노화)

 

 그런데 내가 산다고 하는 것은

  Life is robbery. (도둑질)

 생명은 자연의 모든 에너지를

 도둑질하여 살고 있는 것이다.

 

 자연의 세계는 두개의 힘이 겹쳐있다.

 엔트로피의 증가와

 엔트로피가 감소하는 방향

 

 생명이란 자연의 흐름에 대한 반역이며

 이러한 반역의 힘이 이성 (Reason) 이다.

 

 미꾸라지가 폭포를 거꾸로 올라간다.

 물리학으로 설명이 안되지만

 생명은 그러한 힘을 가지고 있다.

 

 우리가 존재한다는 것은

 우주의 물리적 현상에 대한 반역이다.

 

 즉 생명은 물리적 변화에 대한 반역이요

 생명은 시간의 흐름에 대한 반역이다.

 

 내가 사막에 있으면 갈증이 난다.

 그러면 인간은 물을 마실려고 찾아 다닌다.

 물을 마실려고 하는 노력이 생명의 노력이다.

 갈증이라는 것은 귀한 생명현상이다.

 그런데 사람들이 서로 물만 찾으려고 한다면

 무질서 혼란의 상태를 겪게 될것이며

 그래서 인간은 지혜를 내어 생각을 하게되고

 효율적으로 물을 찾게 되고

 물을 잘 분배하고

 어떻게 같이 한번  잘 살아보자

 노력하게 된다.

 

 이성  = 욕망을 넘어서는 욕망

 

 아울러 이러한  이성은 초월적인 것이 아닌

 삶의 현실에 내재하는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71 가입인사 가입인사입니다. 1 뮨. 2017.07.23 31
570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분필 2017.07.24 36
569 가입인사 반가워요~♡ 1 젬마 2017.07.09 38
568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1 메로나 2017.07.10 39
567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잉구리 2016.12.01 53
566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말표 2016.12.18 70
565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2 수플 2016.08.09 85
564 모임공지 4월 28일 감항배 교수님의 강연 장소 변경 안내 박용태 2017.04.28 92
563 가입인사 가입인사드립니다. 밝은미래 2017.12.07 102
562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얄랴냘랴 2018.01.27 114
561 공부자료 김낙우 교수님의 ,맥스태그마크의 유니버스> 강연 안내 박용태 2017.05.24 116
560 가입인사 박문호박사님의 뇌 생각의출현이란 책을 보고 가입하였습니다. 민들레홀씨 2017.08.08 124
559 가입인사 [가입인사] 안녕하세요!!. 제프리 입니다. 제프리 2018.04.22 125
558 가입인사 가입인사 드립니다. 1 요드 2018.04.26 135
557 공부자료 과학에서 중요한 건 확실성이 아니다-카를로 로벨리 박용태 2017.05.27 140
556 가입인사 처음와봤어요 1 욘욘슨의이름 2017.09.09 148
555 공부자료 8월 25일 서울 백북스 <아인슈타인의 시계, 푸앵카레의 지도>강연 안내 박용태 2017.08.24 159
554 가입인사 가입인사~ 수학의 힘 1 정은 2016.10.20 165
553 후기 맥스 테그마크 "빅뱅보다 급팽창이 먼저다" 1 청무 2017.06.26 165
552 후기 도키스와 윌슨, 종교를 보는 두가지 시각 청무 2016.10.08 1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29 Next
/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