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3.02.04 09:00

'달라이 라마의 행복론'

조회 수 2561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멘트를 남기려고 책을 다시 한번 죽 훑어 보다가 부족한 표현을 늘어놓느니  
차라리 그동안 읽으면서 좋아서 줄그었던 부분들을  옮겨 놓아  여러분들과 함께  감상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아 그대로 몇구절 옮겨 놓겠습니다.

'어떤 순간에 행복이나 불행을 느끼는 것은 우리가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며 자신이 가진 것에 얼마나 만족하는가에 달려 있다.

마음을 고요하게 하는 내면의 수행이 뒤따르지 않는  한, 겉으로 보기에 아무리 편안한 환경 속에서 지내더라도 당신은 자신이 바라는 기쁨과 행복을 절대로 느낄 수 없습닏. 반면에 당신의 내면이 고요하고 평화롭다면, 행복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갖가지 편리함을 누리지 못하더라도 당신은 변함없이 행복하고 즐거울 수가 있을 것입니다.

수많은 전생을 살면서 얻은 습관 때문에 분노와 집착 같은 감정이 생기기도 합니다. 난 그와 같은 감정이 생길 때마다 이렇게 대처하곤 합니다. 먼저 열심히 수행할 것을 굳게 결심하고 그 결심을 실천에 옮기려료 노력합니다. 처음엔 수행이 매우 힘들고, 따라서 부정적인 영향력이 강하게 남아 있겠지요. 하지만 수행이 오랫동안 계속되면, 마침내 부정적인 행동들은 저절로 줄어듭니다.

실제로 다르마(진리)의 실천이란 내면에서 끊임없이 전투를 벌이는 것입니다. 과거에 있던 부정적인 상태니 숩관을 긍정적인 새로운 상태로 바꾸는 것이지요.

타인들도 나와 똑 같이 고통받고 있고, 똑같이 행복을 원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을 이해하는 것이 진정한 인간 관계의 시작이다.

당신은 기본적으로 고통을  부정적이며 무슨 일이 있어도 피해야 하고, 어떤 의미에선 실패를 뜻하는 것이라고 여길 수도 잇습니다. 하지만 이런 태도를 가지면 어려운 상황이 닥쳐 그것에 압도당할 때마다 불안하고 초조한 마음이 생겨서 더 힘들어질 것입니다. 반면에 당신이 근본적으로 고통이 자기 존재의 자연스런 일부라는 사실을 받다들인다면, 삶의 시련에 부딪칠 때도 의심할 여지 없이 잘 견뎌낼 수 있을 것입니다. 고통을 어느 정도 참지 못한다면 당신의 삶은 비참해지고, 사는 것이 마치 한밤중에 악몽을 꾸는 것과 같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밤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 것처럼 느껴질 것입니다.

고통의 문제에 대한 불교의 기본 입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붓다가 중생들에게 직접 가르친 것 중에서 첫번째 가르침은 '네 가지 고귀한 진리'의 원칙입니다. 그리고 그중 첫번째 원칙이 '고통의 진리' 입니다. 이것은 인간 존재가 가진 본질적인 고통을 깨달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가지 기억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고통에 대해 명상하는 것이 종요한 이유는 고통에서 벗어날  방법이 있기 때문입니다. 분명히 우리는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고통의 원인을 없앰으로써 고통으로부터 벗어난 해탈의 경지에 이를 수 잇습니다. 불교도들의 시각에 따르면, 고통의 근본 원인은 무지와 욕망과 미움입니다. 이것들은'마음의 세가지 독약'으로 불립니다. "

이정도면 충분히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겠지요.

이 외에도 우리의 마음을 들여다 보게 하고 평화를 가져다 주는 보석보다 더 귀한 말씀들로 가득 차 있습니다.
너무나도 평범하고 일상젇으로 아는 이야기들이지만  그 말들이 진정 내마음으로 콱 다가오는 순간 그것은  그때부터 나를 지배하는 참진리 성경 이상으로 나를 바라보게 하는 말씀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공지 ' 김억중'의 집읽기와 " 융'의 마음읽기 4 김갑중 2008.09.23 1630
63 홍보 "공유인으로 사고하기가 중요한 이유" ―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출간기념 저자 데이비드 볼리어 화상특강! (10/31 토 저녁 7시) 갈무리 2015.10.25 1621
62 홍보 <현대과학으로 풀어본 금강경> 강좌 수강생 모집 신윤상 2016.08.13 362
61 홍보 <자연의 발명> 다윈에게 어깨를 내준 훔볼트의 전기 file 스트라이더 2016.07.21 324
60 자연과학 <우주의 측량> 4월 27일 1 박용태 2018.04.05 153
59 공지 <수학의 힘> 장우석 선생님 강연 안내 박용태 2016.10.26 766
58 자연과학 <김상욱의 양자공부> 박용태 2017.12.22 610
57 자연과학 <궁극의 생명>엣지 재단 박용태 2018.10.18 159
56 자연과학 <궁극의 생명> 엣지 재단 박용태 2018.10.18 137
55 공지 "현대과학과 리더십" 참고문헌 고원용 2002.12.10 4490
54 공지 "현대과학과 리더십" 발제 자료 고원용 2002.12.10 3283
53 공지 "한겨레21" 701호의 주인공은 바로.... ^^* 8 임석희 2008.03.14 1427
52 "책장 넘어가는게 아깝더군요" 시골의사 박경철님 멘트 1 현영석 2010.10.23 1962
51 "책읽기는 뇌가 먹는 비타민"/주간동아 1 이동선 2009.08.06 1638
50 공지 "책들에게 희망을" 2 이동선 2008.06.01 1726
49 "중국의 내일을 묻다."-북세미나에 초대합니다. 1 르네 2010.11.16 1885
48 공지 "좋은 인간관계" 책을 추천하며 황희석 2003.06.29 3005
47 공지 "읽고 싶은 집, 살고 싶은 집" 대한출판문화협회 추천도서 선정. 1 현영석 2003.09.30 2629
46 공지 "인터넷 되는 방은 좀 비싼데요.." 3 임석희 2008.03.26 1244
45 공지 "의식의 기원"을 읽고 3 임성혁 2007.12.14 200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