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2009.12.16 03:32

일상속의 들뢰즈

조회 수 249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들뢰즈를 알 리 없었던 큰어머니의 시뮬라크르






한겨레




















학문이란 어려운 것을 쉽게 풀어내는 작업쯤으로 생각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반대로 극히 쉬운 것을 굳이 어렵게 구성하는 면도 있다. 내가 초등학교 6학년 때쯤의 일로 기억한다. 당시 뭣 때문이었는지 모르지만 연로한 큰어머니가 가족들 앞에서 그 자리에 없는 작은아버지를 성토하고 있었다.

큰아버지가 듣기 민망했던지 넌지시 만류하자 큰어머니가 대뜸 “왜 하지 말아요? 고기는 씹어야 맛이고, 말은 해야 맛인데.”라고 말을 받았다.

갈등의 내용에는 별로 관심이 없었던 나였지만 이 말에는 귀가 퍼뜩 띄었다. 그렇다, 고기가 아무리 맛있어도 씹지 않고 넘긴다면 먹으나 마나다. 그리고 말을 하면 실제로 뭘 먹는 것도 아닌데 맛 같은 게 느껴진다.

그 후로 나는 말을 할 때 느끼는 쾌감이 도대체 어디서 오나 하는 막연한 호기심이 지금껏 뇌리를 떠나지 않았다. 아마 내가 언어를 연구하겠다고 마음먹은 것도 이 때문이었으리라.

그러던 중 우연히 들뢰즈를 읽다가 스토아학파의 사건/시뮬라크르의 개념을 접하게 되었다.

즉 맛이란 비물체적인 것인데 이는 물체적인 것들이 부딪칠 때 물체들의 표면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표면효과이자 사건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고기의 맛은 이가 고기를 파괴하는 표면들 사이에서, 다시 혀가 그 표면을 훑는 사이에서 발생하는 효과이고, 말의 맛은 언어의 음운법칙에 따라 구강내 발음기관들이 서로 부딪는 표면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맛의 효과인 셈이 된다. 그러니까 말도 음식처럼 씹는 것이다.

이 대목에서 나는 무릎을 탁 쳤다. 옛날 우리 큰어머니는 그냥 감각으로 터득한 사실을 철학자들은 정말 힘들게 설명했구나!

그러므로 물체적인 것은 비물체적인 것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하다.

이 비물체적인 것이 우리의 존재를 알게 해주는 존재자(시뮬라크르)가 되므로, 우리가 물질을 욕망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존재를 느끼기 위해서이다. 오늘날의 물신주의는 물질 자체에 집착하게 만드는데 이는 도착증이다. 말은 해야 맛이듯이, 물질은 제대로 쓸 때 맛이 난다.

김근 서강대 교수·중국문화전공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04 공지 늦은 가입인사 드립니다 ^^ 4 송지훈 2008.12.16 1523
1003 공지 게시물 정리에 대해서.. 5 장종훈 2008.11.26 1523
1002 공지 [공지] 이종수 선생님 문병 7월15일 14:00 성모병원 1 현영석 2008.07.15 1523
1001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2 백호석 2009.02.23 1522
1000 공지 가입인사 & 모임후기 입니다^^ 5 이기형 2008.02.06 1522
999 공지 새로운 홈피 산뜻하네요. 오영택 2007.03.27 1522
998 꿈에... 임석희 2013.07.24 1521
997 저희집 서재 벽에 걸려있는 큰 액자^^ 1 file 엄준호 2012.03.24 1521
996 공지 반갑습니다. 2 김경진 2009.01.15 1521
995 공지 가입인사 정중히 드려요~ 3 이진재 2009.01.07 1521
994 공지 [기사] 간송미술관 '조선서화전' (10/12~26) 6 이정원 2008.10.15 1521
993 공지 디테일의 힘 5 송윤호 2007.11.30 1521
992 호기심 화성착륙 1 박경호 2012.08.06 1520
991 [강의 안내]플럭서스와 그 예술가들(존 케이지, 요제프 보이스, 백남준을 중심으로) 다지원 2011.04.07 1520
990 생물학 소모임을 백북스 공식 모임으로 재가합니다 7 강신철 2011.02.15 1520
989 공지 같이 읽고 싶은 책 - 십대, 지금 이 순간도 삶이다 3 file 이영미 2008.11.02 1520
988 공지 연휴 보내기 1일차 3 이병록 2008.08.16 1520
987 공지 투야의 결혼 5 양경화 2007.11.20 1520
986 혁명의 영점, 들뢰즈의 푸코 세미나에 초대합니다. 김석민 2014.02.12 1519
985 <과학> 6억년전 지구 빙기 종말 가설 뒤집혀 변정구 2011.05.31 151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