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8.05.06 19:25

학문의 축제

조회 수 1757 추천 수 0 댓글 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새로 기르는 앵무새 날개가 가지런하지 않아

조롱에 가두어 옥루를 향해 살게 하네

.........."

 앵무새가 새로 조달 되었다.

아직 어린지라 깃털이 가지런하지않다

그런 앵무새를 금롱에 가두어 버린다.

그리고는 옥루를 향해 살게한다.

앵무새는 바로 궁녀들을 의미한다.

궁녀들의 삶이 바로 "조롱에 갇힌 앵무새와 같다"는 것이다.

자유가 없고 단지 할수 있는것은 임금에 대한 이야기 뿐이다.

뿐만 아니라, 사는 방도 지정되어 있어 대궐을 향해 살게 하는등 여자의 권리도 없고,

인격도 없고, 단지 임금에 소속된 노예라고 함이 옳다,

임금에게만 소속된 인간 아닌 인간으로 살아가는 궁녀들의 정체성에 대해 노래했다.

                                                   -허부인 난설현의 시 새로읽기중

 


천문모임이 온자당으로 옮겨온후 처음 참석하는자리

독서산방이 깊은 산속의 오두막이라면 온지당은 문명과 조금은 가까운곳에 있는 느낌?

 


사모님의 정성이 담긴 맛있는 저녁,

서로 잘 알지는못해도 같은 마음으로 모인 모르는 사람들과의 즐거운 대화,

이것이 천문모임에 자꾸 오게되는 또 다른 이유 아닐까?

 


발표가 끝나고 잠시 쉬는시간,

나는 온지당의 책을 구경하다 한권의 책을 발견했다.

"허부인 난설현, 시 새로 읽기."

 


허 난설현..참 귀에 익은 이름이다.

책을 빼내어 사람이 없는곳으로 가서 공부하다 잠가기 좋은 자세를 잡고(엎드린자세)

책 중간을 펼쳤다.

그리고 눈에 들어온 시 한줄,

앞도 뒤도 모르겠다.

그냥 눈에 들어온 이 부분이 너무 맘에 들었다.

이 시의 여인네들을 생각하면 맘이 아프고 지금의 나를 보니 얼마나 자유스러운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 100북스의 저 정열적인 여인네들이 과연 조선시대 궁녀로써 조롱속에 갇힌 삶을

살았다면 살 수 있었을까?

이런 생각을 하며 다시 발표를 듣기위해 자리에 앉았다.


학구열에 불타는 송나리.

 

우주로 가고싶은 석희언니,

내 앞에 앉은 이혜로,정영옥,류우정씨..

저 여인네들은 아마 참을수 없는 궁금증과 갇혀지네는 답답함에

목숨을 걸고 궁궐담을 넘지않았을까? 하는 상상을 해본다.

 


모두가 이렇게 모인 토요일 늦은밤.

배우고 싶은 마음하나로 어느누구의 간섭도 받지않고 이곳에 모두모인그녀들

 "조롱"에 갇힌 앵무새가 아닌

자유로운 "학문의 세계" 에 갇힌 우리들.

 


온지당에서의 이 순간들...

멀리서 온 새로운 만남에 반가워하고,

벅득 벅득..버글버글 말 한다디에서 눈물나게 웃으며,

팔뚝이 예쁜 여인네의 팔뚝을 궁금해 하고,

봄이 바쁜 옥순원님의 시 낭송에 벅찬 감동을 드러내기를 주저하지 않는 우리

 


아마 우리는 핵속에 같혀 나오지 못하는 세포처럼

100북클럽에 갇여 그 즐거움에 헤어나오지 못하는 현명한 인간이 아닌가하는

생각을 해본다.




                                                     
  • ?
    이상수 2008.05.06 19:25
    "자유로운 "학문의 세계" 에 갇힌 우리들"
    자유로운 학문이라면 학문에 갇힌다는 것은 결국 자유로움을 뜻할 것 같습니다.

    도올 김용옥 교수는 학문을 나비의 유충에 비유하여 말한 적이 있습니다. 중국의 현자들이 그렇게 생각했다고 하더군요. 학문을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거대한 벽을 쌓는 것과 같다고 말합니다. 대가들의 이론들을 답습하는 것이지요. 이것을 나비의 애벌레가 고치를 쌓는 것으로 비유합니다. 계속 이렇게 학문의 고치를 쌓아가다가 언젠가는 고치를 깨고 나와 나비가 되어 훨 훨 날아가는 거지요.
  • ?
    전지숙 2008.05.06 19:25
    나비의 유충?
    학문의 고치를 쌓아가다가 나비가 되어 나온다..
    저는 그런날이 언젤가 기다려 지네요.
    이상수님의 글은 좀 생각을 많이 하게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다른사람들의 글보다 오래읽게 되고..많이 생각하게 하는것같아 좋아요. 음..정말 도를 닦으시는건 아니죠?
    저는 언제쯤 이런 생각을 하게하는 글을 써볼까요.?
  • ?
    이부원 2008.05.06 19:25
    학문의 길은 하루 하루 쌓아가는 길이요
    도의 길은 하루하루 버려가는 길이라 했던가...
  • ?
    이부원 2008.05.06 19:25
    해와 달이 가는 길을 아는 자연과학자도
    궁극적으론 은 사람이 가야 할 길을 찾아야 ....
  • ?
    전지숙 2008.05.06 19:25
    도의..길..이라.
    나쁜 여러 마음말고 또 뭘 버려야 하는걸까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24 공지 100권 독서클럽 회원님들에게 제 속마음을 털어 놓습니다. 6 문경수 2007.04.06 3947
4123 공지 100권 독서클럽, 서울 지역모임 열리다. 11 김주현 2007.12.03 1772
4122 공지 100권 독서클럽에는 인문철학이 없다? 13 윤성중 2008.07.27 2372
4121 공지 100권 클럽 자료, 정보, 지식 그리고 지혜 2 현영석 2008.07.15 1663
4120 공지 100권독서크럽 8월15일 야외모임 안내 관리자 2002.07.12 4116
4119 공지 100권독서크럽 브랜드가치 증대 3 현영석 2008.03.16 1567
4118 공지 100권독서크럽 선정책 모음 6 현영석 2007.06.28 2493
4117 공지 100권독서크럽 오디오/동영상 중계 검토 3 현영석 2007.04.01 2188
4116 공지 100권독서크럽 최근 상황 질의 및 답변 현영석 2002.10.14 3705
4115 공지 100권독서크럽의 미래 현영석 2003.02.26 2614
4114 공지 100권독서클럽에 오면 타이밍을 잡을수있다!! 6 전재영 2008.03.04 1298
4113 공지 100권독서클럽으로 오라 10 이정원 2008.02.22 2261
4112 공지 100권독서클럽을 알리는 멋진 글 3 문경목 2008.07.02 1909
4111 공지 100권독서클럽회원 계룡문고 이전 1주년 축하 방문 6.7토 13:00 현영석 2008.06.03 1821
4110 공지 100북 100배 활용법, 부탁드립니다 2 엄수민 2009.02.14 1659
4109 공지 100북스 10월 모임 참가 후 일기....... 5 김남중 2008.10.08 1645
4108 공지 100북스 경주 역사기행을 다녀와서 4 김세영 2008.05.04 2053
4107 공지 100북스 클럽 회원으로 살아가기 9 송나리 2007.11.29 1736
4106 공지 100북스 홍보 스토리문학 9월호-생활과 문학 1 황예순 2008.10.05 1497
4105 100북스 회원님들께 <사진 문화강좌> 안내드립니다 임민수 2010.08.27 230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 6 7 8 9 10 11 12 13 14 ... 216 Next
/ 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