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쓰기모임

조회 수 258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수유 + 너머’는 1998년 서울 수유리의 작은 공부방에서 시작했다.

->'100권독서클럽 독서스터디 교차로'는 2007년 대전 새로남 카페에서 시작했다.

 

 10년 후의 우리도 연구공간  수유+너머처럼 됐으면 좋겠습니다.

 연구공간 수유+너머 http://www.transs.pe.kr/

 






“앎과 삶 함께 할 때 생활의 깊이는 두배”








‘연구공간 수유+너머’








김영번기자 zerokim@munhwa.com











서울 용산구 용산동2가에 자리 잡은 ‘연구공간 수유 + 너머’의 입구에는 이런 글이 붙어 있다. “서로에게 선물이 되어 주십시오! 연구공간 ‘수유 + 너머’는 좋은 앎과 좋은 삶을 일치시키는 연구자들의 생활공동체입니다.”

이 같은 글귀 그대로 ‘수유 + 너머’는 지식 공동체의 새로운 전형으로 평가받고 있다. 출신 학교, 전공 등의 제약 없이 누구든지 소속될 수 있고, 연구부터 생활까지 자급자족적 운영을 지향한다. 공동체의 최종 목표를 ‘일상의 변화’에 둔다는 점에서 코뮌주의의 현실적 실험이라 할 수 있다.

‘수유 + 너머’는 1998년 서울 수유리의 작은 공부방에서 시작했다. 처음에는 소수의 국문학자들이 모여 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 종류가 늘면서 사람들이 모여들었고, 얼마 뒤 사회과학자들이 합류해 강좌를 열었다. 새로운 사람들이 계속 몰려왔고, 함께 책을 읽고 함께 밥을 지어먹는 코뮌으로 성장했다. 몇 차례 이사를 한 끝에 용산동에 새 둥지를 틀었다.

400여평 규모의 공간엔 멋진 카페와 청소년을 위한 ‘공간 플러스’도 들어 있다. 또 조각가 이영섭씨와 사진작가 김민곤씨의 작업실, 이주노동자의 방송국도 한 지붕 아래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 현재 ‘수유 + 너머’에 정식 회원으로 소속돼 있는 연구자들은 60여명. 이들은 그야말로 ‘앎과 삶’을 함께 하는 집단이다. 이곳에서 배우고 익히는 학생들은 청소년에서부터 대학생, 대학원 석·박사 과정의 연구자들, 교수, 일반 직장인에 이르기까지 그야말로 다양하다.

한 계절에 7, 8개 강좌가 열리며, 직장인을 대상으로 연 44주에 걸쳐 진행되는 ‘대중지성’ 코스는 철학을 비롯, 문화예술, 동양고전, 글 쓰기 등 4과목을 집중적으로 강의한다. 강의는 매주 목요일 저녁과 토요일 오후 및 저녁, 3타임에 걸쳐 열린다. 25명 정원이지만 현재는 29명이 등록, 강의를 받고 있다. 수강료는 연 120만원. 일반 대학 강의에 비교한다면 약 3년간 강의 분량에 이르니 수강료가 매우 싼 편이다. 철학·예술·불교·문학·영화 등을 강의하는 ‘금요 인문강좌’는 매주 주제가 바뀌며, 7주 코스다. 역시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며 매주 금요일 저녁 7시에 열린다. 수강 인원은 많을 땐 40~50명, 적을 땐 20여명 수준이다.

고병권 대표의 연구소 내 호칭은 ‘추장’. 대표라는 직함보다 성이 고씨라 추장, 즉 ‘고추장’이라는 애칭이 썩 어울린다.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사회학과 대학원에서 니체 철학 연구로 석사학위를, ‘화폐’에 대한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김영번기자 zerokim@munhwa.com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0 교차로 문화상품권 - 찾아가세요 1 강신철 2007.05.15 2464
129 교차로 무탄트 메시지 교차로 마감 김주현 2008.02.18 2819
128 교차로 무탄트 메시지 이재우 2008.01.27 2743
127 교차로 무탄트 메세지. 이소연 2008.01.29 2751
126 교차로 무탄트 메세지 핵심포인트 정리 김주현 2008.01.29 3023
125 교차로 몰입의즐거움 라스트 서평 김주현 2008.05.26 3340
124 교차로 몰입의 즐거움 이재우 2008.05.25 3113
123 교차로 말랑말랑한 힘, 교차로 마감 김주현 2007.06.12 2371
122 교차로 말랑말랑한 힘 -함민복- 1 김홍섭 2007.06.11 2529
121 교차로 말랑말랑한 힘 1 문경목 2007.06.11 2411
120 교차로 말랑말랑한 힘 1 이재우 2007.06.11 2452
119 교차로 류시화 이야기 1 김주현 2007.07.29 4180
118 교차로 독후감 - 이재우 회원 1 강신철 2007.04.16 3161
117 교차로 독서포인트-희망의 인문학 강신철 2007.07.19 2543
116 교차로 독서포인트-헬리코박터를 위한 변명 강신철 2007.12.17 2686
115 교차로 독서포인트-해상시계 강신철 2007.10.13 2779
114 교차로 독서포인트-학문의 즐거움 강신철 2007.11.19 2867
113 교차로 독서포인트-창조적 디자인경영 강신철 2008.02.05 2796
112 교차로 독서포인트-차라투스트라 강신철 2007.10.01 2856
111 교차로 독서포인트-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강신철 2007.12.31 284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