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우주+뇌과학모임

조회 수 223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50광년 떨어진 백생왜성 내부 상상도 공개::)

지구만한 크기의 다이아몬드로 이뤄진 별을 미국 우주과학자들이 찾아냈다.

영국 BBC 인터넷판은 미국 하버드 스미스소니언 우주물리학센터 의 과학자들이 지구로부터 50광년 떨어진 켄타우루스 별자리의 ‘백색 왜성(矮星·white dwarf)’ 내부(핵부분)가 사실상 다이 아몬드로 이뤄져있음을 과학적으로 규명해냈다고 16일 보도했다.

이 별의 크기를 다이아몬드 단위로 환산하면 최소 수백경 캐럿. 지구상에 존재하는 가장 큰 다이아몬드는 3100캐럿의 원석을 깎아 만든 530캐럿짜리 ‘아프리카의 별’이다. 다이아몬드 별의 정식 호칭은 BPM 37093. 그러나 과학자들이 비틀스의 히트곡 ‘루시 인 더 스카이 위드 다이아몬드’에서 따와 ‘루시’란 애칭을 붙였다. 백색왜성은 일종의 죽은 별로, 중심부가 식으면서 탄소 등 무거운 원소들로 이뤄진 고밀도 상태(다이아몬드)가 된다.트 래비스 메트카프 박사는 “태양도 50억년 뒤 쯤 죽어서 백색왜성 이 되고 그 후 20억년이 지나 내부의 결정화 과정을 거쳐 태양계 최대의 다이아몬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보석 감정 가가 루시를 감정하려면 태양 만한 크기의 확대경이 필요할 것” 이라고 밝혔다. 우주에는 약 500억개의 백색왜성이 존재하는 것 으로 추정된다.

Who's 임성혁

?
♣얼어붙은 시간의 강. 자아는 내 느낌이 주는 그것은 아니며 만물은 아나로그가 아니라 디지털에 가까울거라는 생각이 들때면 심장박동이 빨라진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5 일반 [2008년 5월 3일 온지당] 生 날 기록. 7 윤보미 2008.05.10 2559
44 일반 (제 7차 천문우주 발표 후기) 2주간의 기록 그리고 ... 4 file 류우정 2008.05.13 2774
43 일반 제 8차 천문우주 공부모임 공지 9 박문호 2008.05.10 2753
42 일반 나는 지난 토요일에 스승들을 만났다. 14 박성일 2008.06.09 2922
41 일반 제 9차 천문우주+뇌과학 공부모임 공지 15 박문호 2008.06.14 2683
40 일반 제 10차 천문우주+뇌과학 공부모임 공지 11 박문호 2008.07.10 2507
39 일반 [동영상] 뇌와 자폐증 - 이정원 10 김홍섭 2008.08.04 2550
38 일반 차원용 소장님의 논평 3 박문호 2008.08.04 2370
37 일반 "많이 건졌어요" 5 현영석 2008.08.04 2552
36 일반 2008 8 2 천문우주 뇌과학 후기 입니다 10 최미정 2008.08.05 2286
35 일반 8.2 천문우주 뇌과학 대전모임 후기입니다. 10 김정민 2008.08.05 2356
34 일반 제 11회 천문우주+뇌 과학모임 안내 박문호 2008.08.21 2064
33 일반 [공지]제 11회 천문우주 + 뇌과학 모임 참석 안내 2 문경목 2008.09.03 2075
32 일반 제 12회 천문우주+뇌 과학모임 안내 6 박문호 2008.09.20 2331
31 일반 모임끝나고 방금 집에왔어요... 4 서윤영 2008.09.07 2355
30 일반 11회 천문우주+뇌과학 모임 후기.. 질문?? 2 이제헌 2008.09.07 2080
29 일반 소모임 후기 4 황예순 2008.09.07 2270
28 일반 제겐 너무 아쉬웠던 공부모임..^*^ 5 이철국 2008.09.07 2330
27 일반 두 번째 참석, 첫 후기 6 김원기 2008.09.08 2519
26 일반 11차 천문우주+뇌과학 공부모임을 다녀와서.. 8 서상원 2008.09.08 2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 6 Next
/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