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30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깊고 넓은 인문학의 세계로 안내하는 교양공부 매뉴얼!

비교적 고등교육 커리큘럼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오고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미국대학들을 본보기로 삼아, 한국 소장학자들이 한국의 현실과 입장을 반영하여 제작한 체계적인 인문학 공부 안내서. 『인문학 스터디』에 나오는 핵심 교양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개설된 교과목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과목들을 종합 정리한 것이며, 여기에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미국의 권위있는 대학연구소 ISI에서 미국 명문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종합한 것에 더해, 각 분야 한국 소장 학자들이 한국 인문학 공부의 현실을 반영하여 완성된 『인문학 스터디』는 인문학을 좀 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체계를 제공하고, 교양공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기본체계를 제공한다.

 

 

 

미국의 권위있는 대학연구소 ISI에서 미국 명문대학 교양교육 과정을 종합하고, 각 분야 한국 소장 학자들이 한국 인문학 공부의 현실을 반영하여, 제대로 된 교양공부 핵심안내서가 완성되었다. 한국 인문학 교육의 제도적 한계를 느끼는 사람, 보편성을 매개하는 순수 인문학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 미국대학 입학을 준비하는 사람, 어떤 이유에서든 교양공부를 해야하는데 그 시작이 막연한 사람 등이 각자의 수준과 목적에 따라서 다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안내서이다.

흔히 한국에서도 인문학은 여러 학문의 기본이요, 그에 따라 각 학문 분과에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는 학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막상 인문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에게는, 인문학에 해당하는 학문분과는 어떻게 나뉘며, 각 학문 분과의 핵심지식과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할 만한 방법적 연구는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제대로 알아내기가 쉽지 않다.

 

 

이에 비교적 고등교육 커리큘럼에 대해 오랫동안 고민해오고 지금도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는 미국대학들을 본보기로 삼아, 한국 소장학자들이 한국의 현실과 입장을 반영하여 체계적인 인문학 공부 안내서를 만들었다. 이 안내서에 나오는 핵심 교양교육 과정은 지금까지 대부분의 미국 대학에서 개설된 교과목 중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여겨지는 과목들을 종합 정리한 것이며, 여기에 한국에서 인문학을 공부하는 데 필요한 내용을 수정 보완하였다.

 

 

 

이러한 커리큘럼은 좀더 전문적으로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는 포괄적인 체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교양공부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는 세상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 수 있도록 기본체계를 제공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8 공지 독서 아르바이트생 모집 8 강신철 2008.03.13 1293
2647 공지 결혼기준 3 이동선 2008.02.15 1294
2646 공지 아버지의 마음 6 강신철 2008.03.30 1294
2645 공지 제 인생을 바꾼 모임^^ 9 이혜원 2008.09.09 1294
2644 공지 가입 인사드립니다. 3 이은규 2008.10.26 1294
2643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3 김현수 2008.05.06 1295
2642 공지 첫 참석! 행복했습니다~ *^^* 6 이나영 2007.11.15 1296
2641 공지 [re] 4월 19일 온지당, '이화에 월백하고' 행사 간략 안내 1 문경목 2008.04.11 1296
2640 공지 가입 인사 드립니다. 4 이소영 2008.05.02 1296
2639 공지 백북스 회원님들의 글을 보다가 문득 떠오른 시. 5 이해선 2008.04.14 1297
2638 공지 외곬수 전문성은 필요없다… 학문도 퓨전시대 문경목 2008.03.17 1300
2637 공지 네모난 말 2 윤성중 2008.04.03 1300
2636 공지 들여다 보기 4 오화정 2008.09.08 1300
2635 공지 책속에 답이 있다. 100권 독서클럽! 3 임석희 2008.03.03 1301
2634 공지 사랑하는 아버지 12 file 박성일 2008.03.07 1301
2633 공지 신기한 경험 6 전재영 2008.04.17 1301
2632 공지 가입인사드립니다. 2 김성현 2008.07.22 1302
2631 공지 기분 좋아지는 광고입니다. 3 전재영 2008.04.28 1303
2630 공지 뇌와 비슷한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까? 2 강신철 2008.03.17 1305
2629 공지 몽골 탐사여행기3_2(6월30일) 박상준 2008.07.19 13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