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246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항상 이맘때쯤이다.

대전시향이 연주하는 베토벤 교향곡 제 9 번 <합창>을 들으러 간다.

 

 

베토벤은 청력을 잃은 상황에서 일생일대의 대작 <합창>을 작곡했다.

1824년 빈의 케른트너토어 극장에서 합창교향곡 초연을 위해 베토벤이 직접 지휘대에 올랐다.

하지만 실제 지휘는 움라우프가 따로 해야 했다.

연주가 끝나고도 박수 소리를 듣지 못한 베토벤은

청중 쪽으로 돌아서고 나서야 환호하는 청중을 볼 수 있었다.

 

청력을 잃은 음악가가 작곡한 70분 짜리 교향곡은 그 자체로 드라마다.

하지만 어떤 작곡가도 교향곡을 들어보면서 작곡할 수 없다.

초연 리허설 전에 자신이 작곡한 곡을 들어볼 수 있는 작곡가는 없다.

<생각의 탄생>이라는 책에서 인용한 어떤 작곡가는 음악을 듣기보다 악보 보기를 즐긴다고 했다.

음파 형태의 자극 없이도 머리 속에서 음악을 재생하는 능력은 베토벤만이 가진 것은 아닐 것이다.

 

베토벤이 <합창>에서 보여준 위대함은 인생역정 드라마에 있는 것이 아니다.

4 명의 성악가와 합창단을 교향곡 형식에 도입하는 파격을 취하면서도 조화를 잃지 않았다.

베토벤은 쉴러의 시 '환희의 송가'를 30년 동안 마음에 두고 있었고,

결국 자신이 작곡한 마지막 교향곡의 마지막 악장에서 남김없이 발산해 버린다.

나는 특히 2 악장을 좋아하긴하지만 역시 <합창교향곡>의 진수는 '환희의 송가'가 울려퍼지는 4 악장이다.

 

4 악장의 시작 부분은 혼란스럽고 암울한 기운이 가득하다.

합창의 주제는 계속 머뭇거린다.

머뭇거리다보면 이내 곧 혼란스런 연주에 묻혀버린다.

마지막 절망의 순간이 잠시 멎은 틈을 타 앉아있던 바리톤이 일어나 그제서야 입을 연다.

"오, 친구여, 이런 곡조는 그만두고 좀더 즐겁고 기쁜 노래를 함께 부르자"

 

이어지는 합창의 선율은 전세계 인류를 위한 것이다.

간결하고 소박하면서도 환희에 가득찬 그 멜로디는 어느 누구에게만 특별한 것이 아니다.

베토벤은 자신이 절망에 처한 상황에서도 환희의 멜로디를 인류 모두에게 나눠주고자 했다.

 

 

<합창>을 듣고 나오니 대전문화예술의전당의 광장에 눈이 쌓여 있었다.

 

집에 오자마자 카라얀이 베를린필과 연주한 음반을 듣고,

주말 동안 푸르트벵글러의 51년 바이로이트 실황연주와 아바도가 빈필과 연주한 음반을 차례로 들었다.

오늘 아침에는 헤레베헤가 지휘한 연주를 들었고,

4 악장만 비교해도 다른 지휘자의 연주보다 5 분이나 길게 연주한 첼리비다케의 실황음반도 들었다.

그리고 지금은 다시 카라얀의 음반을 들으며 이 글을 쓰고 있다.

 

 
  • ?
    임석희 2007.12.31 21:39
    베토벤을 소재로 한 영화 불멸의 연인에 보면, 합창을 연주하는 장면이 나와요.
    그때 무언의 힘에 끌려들어가는 장ㅁ면, 압권인데...
    이걸 즐기셨군요~!!! 부럽습니다. 좋은 감상평 고맙구요~
  • ?
    서윤경 2007.12.31 21:39
    부끄럽지만, 제게 클래식 음악은 저 우주 끝자락 만큼이나 미지의 세계이군요...전에 독서클럽에서 선정한 "70일간의 음악여행"이란 책을 읽으면서 내심 실오라기라도 잡아볼 수 있을까하는 기대를 가져보았던게 기억나는군요...

  1. 글쓰기 책 추천

    Date2007.12.24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2189
    Read More
  2. 늦게 나마 가입인사드립니다 'ㅡ'*

    Date2007.12.25 Category공지 By유진주 Views1215
    Read More
  3. 사회적 독서, '만들어진 신'

    Date2007.12.25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1862
    Read More
  4. 131회 독서 토론회 현장 스케치

    Date2007.12.25 Category공지 By박혜영 Views1423
    Read More
  5. 2009년이 세계 천문의 해라고 합니다.

    Date2007.12.26 Category공지 By문경수 Views1245
    Read More
  6. 가시연의 101book話 - 첫날

    Date2007.12.26 Category공지 By김령은 Views2126
    Read More
  7. 모르는 게 약, 아는 게 힘

    Date2007.12.27 Category공지 By이나영 Views1357
    Read More
  8. [가입인사] 반갑습니다. ^^

    Date2007.12.27 Category공지 By송수지 Views1153
    Read More
  9. 어느 송년회

    Date2007.12.27 Category공지 By박문호 Views1531
    Read More
  10. 이병록회원님 질의에 대한 답변

    Date2007.12.28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1370
    Read More
  11. 바둑 이야기

    Date2007.12.28 Category공지 By임성혁 Views9817
    Read More
  12. 2008년에도 교차로는 독서클럽과 함께 하겠습니다.

    Date2007.12.28 Category공지 By김주현 Views1735
    Read More
  13. 독서클럽 여러분들께 감사드립니다.

    Date2007.12.28 Category공지 By이진석 Views1450
    Read More
  14. 나도 제대로 된 그런 송년회를 즐겨보고 싶다...

    Date2007.12.29 Category공지 By임석희 Views1506
    Read More
  15. [음악] 하인리히 쉬츠 <십자가 위의 일곱 말씀>

    Date2007.12.29 Category공지 By이정원 Views1948
    Read More
  16. 재윤이인사

    Date2007.12.29 Category공지 By박재윤 Views1452
    Read More
  17. 다시 내딛는 첫걸음.

    Date2007.12.29 Category공지 By이소연 Views1414
    Read More
  18. 흥미로운 랑데뷰

    Date2007.12.31 Category공지 By엄준호 Views2113
    Read More
  19. [제안]독후감 인터넷 서점에 올리기

    Date2007.12.31 Category공지 By임석희 Views1197
    Read More
  20. [공연] 대전시향 :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

    Date2007.12.31 Category공지 By이정원 Views2469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