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지
2009.03.17 11:26

뇌 신경망 촬영 -기사

조회 수 1929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머릿속 ‘내비게이션’ 처음으로 그렸다



기사입력 2008-11-05 20:05 |최종수정2008-11-05 20:15







[한겨레] 하버드 연구팀, 물분자 추적 뇌신경망 구조 밝혀

중심에 ‘허브’ 존재…“고등기능 연구에 큰 기여”


사람 뇌 안에서 무수하게 얽히고설켜 신호를 주고받는 신경세포 다발들이 어떤 연결 구조를 이루고 있는지 보여주는 새로운 영상기법이 등장했다. 자기공명영상(MRI) 등을 이용한 기존의 뇌영상은 어떤 감정을 느끼거나 어떤 행동을 할 때 뇌의 어떤 부위가 얼마나 활성화하는지 보여주지만, 여러 뇌 영역들의 신호들이 어떻게 연결돼 동시 작동하는지 세세히 보여주진 못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가 내는 과학기술 비평전문지 <테크놀로지 리뷰>는 이달치에서 “미국 신경과학자 밴 웨딘 박사(하버드의대) 연구팀이 뇌 속에서 일어나는 물분자의 운동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살아 있는 사람 뇌의 신경섬유들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그 구조를 세밀히 보여주는 영상기법(DSI)을 새로 개발했다”며 새로운 뇌영상들을 소개했다. 웨딘 박사 등은 새 기법을 건강한 사람 5명의 뇌를 들여다보는 데 적용해 얻어진 연구 성과를 국제 생물학술지 <플로스(PLoS) 바이올로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요즘 의료와 뇌과학 분야에서 뇌영상을 얻는 데 널리 쓰이는 엠아르아이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삼고, 여기에다 신경세포 안과 밖에서 에너지와 영양을 전달하는 구실을 하는 물분자의 운동을 추적한 데이터를 종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런 영상을 얻었다.





자기공명영상 전문가인 홍관수 박사(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는 “물분자는 대개 신경세포 다발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물분자 운동의 방향과 크기를 추적하면 신경세포들이 어떤 구조로 정렬해 있는지 알 수 있다”며 “이런 구상은 예전부터 있었지만 이번 연구에선 매우 정밀한 연결망 지도를 그려냈다는 점이 놀라운 성과”라고 평가했다. 신경세포는 너무 작아 살아 있는 뇌에선 볼 수 없다. 하지만 물의 흐름을 알면 하천이 어떻게 어디로 흘러가는지 알 수 있듯이, 물분자 운동을 통해 신경망의 구조를 추정할 수 있다는 얘기다. 엠아르아이는 고성능 자기장을 써서 물분자 속의 수소핵에서 나오는 미약한 전기신호를 탐지하는 장치다.

연구팀은 새 뇌영상 기법을 건강한 사람 5명의 뇌를 측정하는 데 직접 응용했다. <플로스 바이올로지>에 낸 논문에서 이들은 살아 있는 사람 뇌에서 작동 중인 신경회로의 네트워크를 그려 보니 대뇌피질의 여러 부위를 연결해 뇌 기능을 통합·조정하는 중심 기능은 뇌 구조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는 결론을 제시했다. 여러 신경망이 한데 모이는 ‘허브’는 중심에 있다는 것이다. 이 학술지는 논문을 소개하는 글에서 “미국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이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는 말을 남겼고,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사물의 본질은 사물의 재료로 그 형태를 취한다’고 했듯이, 이번 연구를 통해 뇌 신경망에서도 ‘기능의 중심’은 ‘구조의 중심’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새로운 뇌영상은 네트워크 물리학자의 관심을 끌기도 한다. 자연과 사회의 복잡계 네트워크를 연구하는 정하웅 카이스트 교수(물리학)는 “가장 중요한 기능을 하는 ‘허브’가 지리적으로도 중심에 놓여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며 “최소의 연결비용을 들이면서 잘 연결된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허브를 한가운데에 두는 구조인 것으로 해석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뇌 신경망은 네트워크 연구자들한테도 중요 관심사”라며 “신경세포의 네트워크가 정확히 그려진 건 현재 예쁜꼬마선충의 뇌 정도이지만, 사람 뇌의 신경망을 분석하려는 노력도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고해상도의 뇌 신경망 영상은 알츠하이머 같은 뇌 질환 연구 분야나, 중요한 신경세포 가닥을 피해 가야 하는 정교한 뇌 수술 분야에서, 그리고 뇌 기능이 어떤 부위들의 연합으로 일어나는 네트워크 현상인지 밝히려는 뇌과학 분야에서도 중요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바이오 및 뇌공학과)는 “우리가 사과를 보며 ‘사과’라고 인지하는 것은 형상을 지각하는 뇌 부위, 색을 지각하는 뇌 부위, 사과에 관한 옛 기억을 떠올리는 뇌 부위 등이 동시에 연결되기 때문”이라며 “어떤 부위가 어떤 기능을 한다는 식의 지식만으론 뇌의 ‘고등’ 기능을 다 이해할 수 없는데 신경섬유 가닥들을 세세히 보여주는 뇌영상이 있다면 이런 뇌 기능 연구에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철우 기자 cheolwoo@hani.co.kr

세상을 보는 정직한 눈 <한겨레>

Who's 임성혁

?
♣얼어붙은 시간의 강. 자아는 내 느낌이 주는 그것은 아니며 만물은 아나로그가 아니라 디지털에 가까울거라는 생각이 들때면 심장박동이 빨라진다.
  • ?
    엄준호 2009.03.17 11:26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관심있는 분들은 "PLoS Biology"저널에서 원문을 구할 수 있으니 원문을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저는 개인적으로 몇 가지 재미있는 사실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
    임석희 2009.03.17 11:26
    아름답고 놀라운 정보에 감사드립니다..
    마치 척수에서 쑤욱 올라온 듯한 뇌의 모습이 그대로 보이네요..
    와.. 신기해라!!!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48 공지 참여 하고 싶은데요..? 문경수 2002.10.28 3161
2647 공지 송창식 노래 "선운사" 현영석 2003.01.18 3145
2646 공지 개인 독서방 이용에 대해서.. 김선경 2002.10.28 3137
2645 공지 [링크] 열한번째와 열두번째 링크 최현기 2002.12.01 3136
2644 공지 CBS책소개 코너 현영석 2002.11.03 3136
2643 공지 9월10일 토론을 위한 책 소개 이규현 2002.08.19 3134
2642 공지 내일 모임 카풀(carpool) 하실분???? ^^ 송윤호 2002.10.21 3131
2641 공지 메일 발송에 관하여 4 강신철 2003.04.24 3122
2640 공지 홈 관리자 및 컴퓨터를 잘 다루시는 분들께 윤석련 2002.11.03 3122
2639 공지 9월10일 토론 발표를 다시 확인합니다. 이규현 2002.09.11 3113
2638 공지 스페인 열흘 다녀옵니다. 21 이정원 2008.06.23 3112
2637 공지 10월 7일 [♡사랑방 이야기♡] 5 윤보미 2008.10.09 3107
2636 공지 이종상 화백 공부하기 (1) 박문호 2007.06.20 3107
2635 공지 3천배...원성스님 윤석련 2002.11.03 3101
2634 공지 선규오빠 수고하셔썽요~^^ 이지희 2002.10.24 3099
2633 공지 홈 관리자 및 컴퓨터를 잘 다루시는 분들께 천강협 2002.11.08 3095
2632 공지 과학사 서적 추천 5 신효섭 2008.12.21 3092
2631 공지 12월 20일 송년모임... 홍혜림 2002.12.28 3092
2630 공지 박문호 박사님 보바스기념병원 초청 Event 10 고석범 2008.12.12 3087
2629 공지 11.26 독서크럽 모임에 참석하고서 현영석 2002.12.06 30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145 Next
/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