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조회 수 1960 추천 수 0 댓글 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소설, 만화, 판타지.

재미있습니다.

 

어떤 소설이나 만화는 작가가 방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하고 심혈을 기울인

명작도 있습니다.

다 좋습니다.

 

그러나

상위 20개의 대학의 도서대출 순위에

해리포터가 없는 곳은 5곳,

철학 책이 있는 곳은 2곳.

이건 아닙니다.

 

자연과학 서적은

카운트 할 수조차 없군요. 

 

 

전교육부장관은  '한국 대학생의 슬픈 현실'이라고 하는데

10, 20 년 후면 그 대학생들이 한국을 이끌어나가는 중심축이 되겠죠.

 

슬픈 한국. 상상하고 싶지 않습니다.

 

백북스에서 이야기하는 [균형독서].

그 필요성과 절실함을 느낍니다.

 



  • ?
    한정규 2009.02.14 19:47
    이대 도서 대출 순위에서 해커스 리스닝이 가장 인상적이네요.

    그런데 한가지 딴지를 걸자면 학교 도서관 대출 순위가 대학생들의 책 읽기를 대표하는 것이라는 전제가 있어야 슬픈 현실을 인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리 학교의 현실은, 특히 고전과 같은 경우는 그 책의 수가 서너 권에 불과하며 만약 수업에 쓰인다면 소위 지정도서로 지정되어 단 하루에 몇시간만 읽을 수 있게 되어있죠. 즉, 두고두고 읽고 볼 여건이 아니라는 겁니다. 내용이 많고 시간을 들여서 읽어야 할 책들이 제한된 대출 기간과 여타 시험을 위한 시간 투자 때문에 자동적으로 읽히지 않는다는 사실입니다. 그러니 자연스레 술술 읽히고 재미있는 소설이 상위에 순위로 매겨지는 건 당연지사라는 겁니다. 또 자연과학독서의 경우 주로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은 문제 풀고 대개 4차까지 있는 시험을 대비하느라 볼 확률이 떨어지고 인문,사회 계열 학생들은 대개 흥미를 가지는 분야가 아니죠.(물론 관심 많은 분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 학교의 문화라는 것이 고전과 자연과학독서를 수동적인 권장은 하지만(필독도서 200선~;무지 어려운 책들로만 되어 있습니다) 시스템적으로 능동적인 권장은 되지 않는 것이라 위와 같은 통계가 잡힌 것은 아닐까요. 아마 외국대학생들도 별로 고전 읽는 것을 좋아하지는 않을 겁니다. (주변에 외국대학 나온 친구들 말에 의하면) 다만 읽도록 시키니까 읽을 거라 생각은 합니다만... 맨날 외국하고 비교를 해서
  • ?
    임성혁 2009.02.14 19:47
    보미 선생님 너무 슬퍼 마세요. 자연과학서 철학서등은 사서 보관하며 보고 가벼운 만화나 환타지소설류는 대여해서 보는건 아닐까하고 생각해봅니다.
  • ?
    장종훈 2009.02.14 19:47
    http://cliomedia.egloos.com/2236092
    관련된 포스팅입니다. :)
  • ?
    한정규 2009.02.14 19:47
    장종훈님의 낚시같은;; 읽을 수록 질질 끌려갈 수밖에 없는;; 포스팅을 보다가 영감을 받기도 하고 재미도 느꼈습니다. 감사^^ 그러면서 한가지 생각드는 게 독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하지 않나라는 생각이 났어요. 지금 우리가 문제 삼는 대출 건수의 이상함;; 도서관의 운용이 하드웨어라면 우리가 독서를 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우리의 관심과 뇌 뿐만 아니라 읽을 수 있는 장과 바로 백북스같은 소프트웨어요 ㅎㅎ 앞으로 좀 깊이 생각을 해봐야겠어요 ㅎㅎ
  • ?
    장종훈 2009.02.14 19:47
    기우에서 말씀드립니다만.. 저 글은 제 포스팅이 아니구요. ^^ 같은 기사를 읽고 쓰신 글이지만 다른 시각에서 보고 있기에 소개해드린 것입니다.
  • ?
    procom 2009.02.14 19:47
    역시 저는 눈이 안 좋은가 봅니다. 위 글에서 일본소설은 찾아볼 수조차 없네요.
  • ?
    procom 2009.02.14 19:47
    아, 방금 하나 발견했습니다. 제목에 있군요.
  • ?
    procom 2009.02.14 19:47
    대중소설은 시작할 때 반짝했다 갈 수록 시들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고,
    명작은 시작은 보잘것없어도 끝으로 갈 수록 창대해지는 특성이 있는 것 같네요.

    안 그런가요?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768 공지 100권독서크럽 8월15일 야외모임 안내 관리자 2002.07.12 4115
2767 공지 100권독서크럽 브랜드가치 증대 3 현영석 2008.03.16 1567
2766 공지 100권독서크럽 선정책 모음 6 현영석 2007.06.28 2493
2765 공지 100권독서크럽 오디오/동영상 중계 검토 3 현영석 2007.04.01 2187
2764 공지 100권독서크럽 최근 상황 질의 및 답변 현영석 2002.10.14 3703
2763 공지 100권독서크럽의 미래 현영석 2003.02.26 2614
2762 공지 100권독서클럽에 오면 타이밍을 잡을수있다!! 6 전재영 2008.03.04 1292
2761 공지 100권독서클럽으로 오라 10 이정원 2008.02.22 2258
2760 공지 100권독서클럽을 알리는 멋진 글 3 문경목 2008.07.02 1908
2759 공지 100권독서클럽회원 계룡문고 이전 1주년 축하 방문 6.7토 13:00 현영석 2008.06.03 1821
2758 공지 100북 100배 활용법, 부탁드립니다 2 엄수민 2009.02.14 1657
2757 공지 100북스 10월 모임 참가 후 일기....... 5 김남중 2008.10.08 1645
2756 공지 100북스 경주 역사기행을 다녀와서 4 김세영 2008.05.04 2052
2755 공지 100북스 클럽 회원으로 살아가기 9 송나리 2007.11.29 1736
2754 공지 100북스 홍보 스토리문학 9월호-생활과 문학 1 황예순 2008.10.05 1496
2753 공지 100북스에 온 이유 : 왜 철학책을 덜 보고 과학책을 보기 시작했나 5 김원기 2008.09.19 1797
2752 공지 100북스크럽, 크럽하우스 그리고 독서대학 3 현영석 2008.01.08 1870
2751 공지 100회 모임 후기.. 5 리틀 서윤경 2006.08.25 2057
2750 공지 10월 25일 야외 토론회 참석자 신청해주십시오. 1 송윤호 2003.10.21 2418
2749 공지 10월 7일 [♡사랑방 이야기♡] 5 윤보미 2008.10.09 31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7 8 9 10 11 ... 145 Next
/ 145